끊이지 않는 22사단 사고…왜?

입력 2014.06.24 (12:11) 수정 2014.06.24 (13: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사건이 발생한 22사단은 전방 부대 가운데 특히 사건 사고가 많았습니다.

22사단이 왜 사고 부대가 됐는지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위도상으로 우리나라 최북단 부대인 22사단.

전방과 해안경계를 동시에 맡아 GOP 사단 중 담당 경계선이 가장 깁니다.

병력 규모는 다른 사단과 비슷한데도, 맡아야 할 경계선 길이는 다른 전방 사단의 거의 3배나 됩니다.

또 예하에 3개 이상의 연대를 두고 그 중 한 개는 후방 예비 연대로 운영하는 다른 전방사단과 달리, 22사단은 3개 연대 모두가 경계근무에 투입돼 예비 연대가 없습니다.

아울러 22사단이 속한 8군단은 사단이 22,23사단 2개밖에 없어 다른 군단에 비해 사단 수가 1개 적습니다.

담당 구역이 넓고 업무부담이 그만큼 과중해 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녹취> 양욱(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육상과 해상방어 임무를 1개 사단이 동시에 수행하다 보니 인원이 늘 부족하며 사건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서 사단 2개로 경계를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2012년 이른바 '노크 귀순' 사건 직후에도 이런 문제점이 지적돼 1개 사단을 더 보충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실행되진 못했습니다.

전체 병력 자원이 부족한데다, 적의 주 침투 경로가 아니라는 이유로 병력 투입의 우선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입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끊이지 않는 22사단 사고…왜?
    • 입력 2014-06-24 12:14:26
    • 수정2014-06-24 13:03:52
    뉴스 12
<앵커 멘트>

이번 사건이 발생한 22사단은 전방 부대 가운데 특히 사건 사고가 많았습니다.

22사단이 왜 사고 부대가 됐는지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위도상으로 우리나라 최북단 부대인 22사단.

전방과 해안경계를 동시에 맡아 GOP 사단 중 담당 경계선이 가장 깁니다.

병력 규모는 다른 사단과 비슷한데도, 맡아야 할 경계선 길이는 다른 전방 사단의 거의 3배나 됩니다.

또 예하에 3개 이상의 연대를 두고 그 중 한 개는 후방 예비 연대로 운영하는 다른 전방사단과 달리, 22사단은 3개 연대 모두가 경계근무에 투입돼 예비 연대가 없습니다.

아울러 22사단이 속한 8군단은 사단이 22,23사단 2개밖에 없어 다른 군단에 비해 사단 수가 1개 적습니다.

담당 구역이 넓고 업무부담이 그만큼 과중해 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녹취> 양욱(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육상과 해상방어 임무를 1개 사단이 동시에 수행하다 보니 인원이 늘 부족하며 사건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서 사단 2개로 경계를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2012년 이른바 '노크 귀순' 사건 직후에도 이런 문제점이 지적돼 1개 사단을 더 보충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실행되진 못했습니다.

전체 병력 자원이 부족한데다, 적의 주 침투 경로가 아니라는 이유로 병력 투입의 우선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입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