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밭작물 염분 피해로 복구 막막

입력 2014.07.12 (07:39) 수정 2014.07.12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태풍 너구리 영향으로 제주 농가에선 농작물에 강풍 피해도 있었지만 해안가 인근 밭작물엔 염분 피해가 더 컸습니다.

대부분 말라죽어 새로 파종하는 것 말고는 복구방법도 없습니다.

이예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태풍 너구리가 휩쓸고 간 고구마 밭입니다.

고구마 줄기는 줄줄이 바닥에 누웠고 이파리는 새카맣게 말랐습니다.

<인터뷰> 강원두(농민) : "마음이 착찹하죠. 애쓰게 농사해논건데 장마철에 태풍이 온다는건 상상도 못했는데"

인근의 콩 밭도 상황은 마찬가지.

싹이 난 지 일주일 정도밖에 안 된 새싹들이 모두 말라 버렸습니다.

<인터뷰> 강성모(농민) : "큰 피해를 안 보는 작물 중에 하난데 올해는 심은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모두 태풍이 일으킨 해풍으로 인해 염분 피해를 입은 겁니다.

제주 서부 지역에서만 120여 농가, 30헥타르가 이같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특히, 이제 막 싹을 틔운 어린 밭작물들이 직격탄을 맞아 고구마의 경우 절반 이상이 말라 죽었습니다.

이번 태풍은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데다 바람이 강하게 불어 바닷가 인근 농가의 피해가 컸습니다.

이미 말라버린 밭은 개간하고 새로 파종을 하는 것 말곤 복구할 방법도 없습니다.

올 여름에만 서너 개의 태풍이 더 한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보돼 농민들의 걱정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 밭작물 염분 피해로 복구 막막
    • 입력 2014-07-12 07:40:58
    • 수정2014-07-12 08:04:07
    뉴스광장
<앵커 멘트>

태풍 너구리 영향으로 제주 농가에선 농작물에 강풍 피해도 있었지만 해안가 인근 밭작물엔 염분 피해가 더 컸습니다.

대부분 말라죽어 새로 파종하는 것 말고는 복구방법도 없습니다.

이예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태풍 너구리가 휩쓸고 간 고구마 밭입니다.

고구마 줄기는 줄줄이 바닥에 누웠고 이파리는 새카맣게 말랐습니다.

<인터뷰> 강원두(농민) : "마음이 착찹하죠. 애쓰게 농사해논건데 장마철에 태풍이 온다는건 상상도 못했는데"

인근의 콩 밭도 상황은 마찬가지.

싹이 난 지 일주일 정도밖에 안 된 새싹들이 모두 말라 버렸습니다.

<인터뷰> 강성모(농민) : "큰 피해를 안 보는 작물 중에 하난데 올해는 심은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모두 태풍이 일으킨 해풍으로 인해 염분 피해를 입은 겁니다.

제주 서부 지역에서만 120여 농가, 30헥타르가 이같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특히, 이제 막 싹을 틔운 어린 밭작물들이 직격탄을 맞아 고구마의 경우 절반 이상이 말라 죽었습니다.

이번 태풍은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데다 바람이 강하게 불어 바닷가 인근 농가의 피해가 컸습니다.

이미 말라버린 밭은 개간하고 새로 파종을 하는 것 말곤 복구할 방법도 없습니다.

올 여름에만 서너 개의 태풍이 더 한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보돼 농민들의 걱정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