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말이산 고분군 정밀 토목기술 사용
입력 2014.07.17 (00:10)
수정 2014.07.17 (0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 정밀한 토목 기술이 쓰인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가야국이 과거 강력한 고대 왕국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온 겁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는 113개의 가야시대 고분이 몰려 있습니다.
직경 18미터 고분을 쌓아 올리며 지름 30센티미터의 목제 측량 장비를 동원한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하승철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발굴팀장) : "돌과 돌 사이에 있는 이곳은 나무가 있던 자리로 측량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분을 쌓는 재료로는 개울 흙 등 20가지 흙을 섞어 1년에 외부에서 물이 0.3mm 이하로 스며들도록 정밀한 방수 토목 기술을 동원했습니다.
이 지역 바위가 아닌 길이 2.8미터의 무덤 덮개 바위에 대한 비밀도 풀렸습니다.
고분에 사용된 이 바위는 창원 진동이 원산지입니다.
이동 거리는 무려 20km.
엄청난 노동력이 동원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발굴로 말이산 고분군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적 등재에 성큼 다가서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광수 (함안군 문화관광과 과장) : "추가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할 전시관을 확정해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준비하겠다."
신라와 백제 유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이 적었던 가야왕국은 말이산 고분군 발굴로 번영했던 역사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 정밀한 토목 기술이 쓰인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가야국이 과거 강력한 고대 왕국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온 겁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는 113개의 가야시대 고분이 몰려 있습니다.
직경 18미터 고분을 쌓아 올리며 지름 30센티미터의 목제 측량 장비를 동원한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하승철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발굴팀장) : "돌과 돌 사이에 있는 이곳은 나무가 있던 자리로 측량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분을 쌓는 재료로는 개울 흙 등 20가지 흙을 섞어 1년에 외부에서 물이 0.3mm 이하로 스며들도록 정밀한 방수 토목 기술을 동원했습니다.
이 지역 바위가 아닌 길이 2.8미터의 무덤 덮개 바위에 대한 비밀도 풀렸습니다.
고분에 사용된 이 바위는 창원 진동이 원산지입니다.
이동 거리는 무려 20km.
엄청난 노동력이 동원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발굴로 말이산 고분군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적 등재에 성큼 다가서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광수 (함안군 문화관광과 과장) : "추가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할 전시관을 확정해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준비하겠다."
신라와 백제 유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이 적었던 가야왕국은 말이산 고분군 발굴로 번영했던 역사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함안 말이산 고분군 정밀 토목기술 사용
-
- 입력 2014-07-17 00:14:41
- 수정2014-07-17 08:36:45

<앵커 멘트>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 정밀한 토목 기술이 쓰인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가야국이 과거 강력한 고대 왕국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온 겁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는 113개의 가야시대 고분이 몰려 있습니다.
직경 18미터 고분을 쌓아 올리며 지름 30센티미터의 목제 측량 장비를 동원한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하승철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발굴팀장) : "돌과 돌 사이에 있는 이곳은 나무가 있던 자리로 측량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분을 쌓는 재료로는 개울 흙 등 20가지 흙을 섞어 1년에 외부에서 물이 0.3mm 이하로 스며들도록 정밀한 방수 토목 기술을 동원했습니다.
이 지역 바위가 아닌 길이 2.8미터의 무덤 덮개 바위에 대한 비밀도 풀렸습니다.
고분에 사용된 이 바위는 창원 진동이 원산지입니다.
이동 거리는 무려 20km.
엄청난 노동력이 동원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발굴로 말이산 고분군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적 등재에 성큼 다가서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광수 (함안군 문화관광과 과장) : "추가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할 전시관을 확정해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준비하겠다."
신라와 백제 유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이 적었던 가야왕국은 말이산 고분군 발굴로 번영했던 역사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 정밀한 토목 기술이 쓰인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가야국이 과거 강력한 고대 왕국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온 겁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는 113개의 가야시대 고분이 몰려 있습니다.
직경 18미터 고분을 쌓아 올리며 지름 30센티미터의 목제 측량 장비를 동원한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하승철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발굴팀장) : "돌과 돌 사이에 있는 이곳은 나무가 있던 자리로 측량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분을 쌓는 재료로는 개울 흙 등 20가지 흙을 섞어 1년에 외부에서 물이 0.3mm 이하로 스며들도록 정밀한 방수 토목 기술을 동원했습니다.
이 지역 바위가 아닌 길이 2.8미터의 무덤 덮개 바위에 대한 비밀도 풀렸습니다.
고분에 사용된 이 바위는 창원 진동이 원산지입니다.
이동 거리는 무려 20km.
엄청난 노동력이 동원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발굴로 말이산 고분군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적 등재에 성큼 다가서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광수 (함안군 문화관광과 과장) : "추가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할 전시관을 확정해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준비하겠다."
신라와 백제 유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이 적었던 가야왕국은 말이산 고분군 발굴로 번영했던 역사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
-
배수영 기자 sooyoung@kbs.co.kr
배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