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2030세대 받는 혜택보다 1억 원 더 내야”

입력 2014.07.28 (21:17) 수정 2014.07.29 (0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15살에서 64살까지를 생산가능인구라고 하는데요, 저출산의 영향으로 2010년 3천598만 명에서 2030년에는 3천301만 명, 2050년엔 2천421만 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 수도 2010년 15.2명에서 2050년에는 75.4명으로 5배나 많아집니다.

그만큼 젊은층의 부담이 커진다는 얘긴데요, 현재의 20-30대는 세금이나 공공 보험료로 부담해야 하는 돈이 받는 혜택보다 1억 원 이상 많을 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공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로 직장생활 6년차인 34살 김모 씨.

이번 달 월급명세서를 보니, 소득세 13만 5천 원, 국민연금 15만 7천 원 등 공공부문에 낸 돈이 모두 44만 원.

전체 월급의 13%에 이릅니다.

<녹취> 김모 씨(직장인/34세) : "공제되는 금액이 워낙 크다 보니까 승진을 해서 인상된 급여가 체감이 되지 않을 정도"

그렇다면, 나중에 노인이 됐을 때 낸 만큼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현재 2-30대 젊은층은 평생 자신이 공공부문에서 받은 혜택보다 1인당 평균 1억 원 이상을 더 부담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25세 미만은 1인당 1억 천만 원, 35-40세 미만은 1억 6백만 원을 더 내야합니다.

또, 지난 2012년 이후 태어난 미래세대의 1인당 부담액은 평균 3억 9천여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대로 현재 50대 후반부터는 받는 혜택이 내는 돈보다 더 많습니다.

특히, 60대는 4천만 원대로 혜택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인터뷰> 김영신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 "갑작스런 노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를 우리 사회가 겪고 있으면서 젊은층의 사회부담을 포함한 공공부담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번 조사는 2011년을 기준으로 공공 연금과 보험 지출 구조가 유지되고 통계청의 인구추계가 맞아떨어진다는 가정하에 진행됐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2030세대 받는 혜택보다 1억 원 더 내야”
    • 입력 2014-07-28 21:20:39
    • 수정2014-07-29 09:55:16
    뉴스 9
<앵커 멘트>

15살에서 64살까지를 생산가능인구라고 하는데요, 저출산의 영향으로 2010년 3천598만 명에서 2030년에는 3천301만 명, 2050년엔 2천421만 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 수도 2010년 15.2명에서 2050년에는 75.4명으로 5배나 많아집니다.

그만큼 젊은층의 부담이 커진다는 얘긴데요, 현재의 20-30대는 세금이나 공공 보험료로 부담해야 하는 돈이 받는 혜택보다 1억 원 이상 많을 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공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로 직장생활 6년차인 34살 김모 씨.

이번 달 월급명세서를 보니, 소득세 13만 5천 원, 국민연금 15만 7천 원 등 공공부문에 낸 돈이 모두 44만 원.

전체 월급의 13%에 이릅니다.

<녹취> 김모 씨(직장인/34세) : "공제되는 금액이 워낙 크다 보니까 승진을 해서 인상된 급여가 체감이 되지 않을 정도"

그렇다면, 나중에 노인이 됐을 때 낸 만큼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현재 2-30대 젊은층은 평생 자신이 공공부문에서 받은 혜택보다 1인당 평균 1억 원 이상을 더 부담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25세 미만은 1인당 1억 천만 원, 35-40세 미만은 1억 6백만 원을 더 내야합니다.

또, 지난 2012년 이후 태어난 미래세대의 1인당 부담액은 평균 3억 9천여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대로 현재 50대 후반부터는 받는 혜택이 내는 돈보다 더 많습니다.

특히, 60대는 4천만 원대로 혜택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인터뷰> 김영신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 "갑작스런 노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를 우리 사회가 겪고 있으면서 젊은층의 사회부담을 포함한 공공부담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번 조사는 2011년을 기준으로 공공 연금과 보험 지출 구조가 유지되고 통계청의 인구추계가 맞아떨어진다는 가정하에 진행됐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