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빵’ 소득 1,800만 원? 출판계 불공정 없앤다

입력 2014.08.28 (21:31) 수정 2014.08.28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해리포터 시리즈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작가인 조앤롤링은 1조 원이 넘는 돈방석에 올랐죠.

그런데 조앤롤링이 만약 우리나라에서 책을 펴냈다면 얼마나 벌었을까요?

공정위가 칼을 빼 들었습니다.

출판계의 불공정약관을 시정하고 창작자의 권리 보장에 나섰습니다.

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구름을 넣어 만든 빵을 먹고 하늘을 날게 된 고양이 남매 이야기.

2004년 출간돼 40만 부 넘게 팔린 그림책 '구름빵'입니다.

애니메이션과 뮤지컬까지 4천억 원 넘는 가치를 창출했지만, 작가가 손에 쥔 돈은 천850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출판사가 신인작가에게는 대부분 일정 금액만 주고 저작물과 관련된 모든 권리를 갖는 불공정계약 관행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 백희나('구름빵' 원작자) : "TV시리즈든 다른 시리즈 책으로 많이 나와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저하고는 상관없이 진행된 일이거든요. 제 안에서 '구름빵' 이야기는 그 첫 이야기로 끝이 난 거예요."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런 관행을 뿌리뽑겠다며 20개 대형 출판사의 불공정 약관을 시정했습니다.

앞으로는 작가가 출판사에 저작권 전체를 양도할지, 일부만 양도할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 영화 등 2차적 콘텐츠의 저작권을 가지려면 작가와 별도의 특약을 맺어야 합니다.

<녹취> 황원철(공정위 약관심사과장) : "출판권자 등은 저작자로부터 원작 그대로 출판할 권리를 부여받을 뿐이므로, 출판권 등으로부터 2차적 사용 처리 권한이 출판사에게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야기가 가진 힘과 가치는 무궁무진합니다.

이 이야기들이 여러 산업으로 확대 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름빵’ 소득 1,800만 원? 출판계 불공정 없앤다
    • 입력 2014-08-28 21:32:12
    • 수정2014-08-28 22:14:58
    뉴스 9
<앵커 멘트>

해리포터 시리즈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작가인 조앤롤링은 1조 원이 넘는 돈방석에 올랐죠.

그런데 조앤롤링이 만약 우리나라에서 책을 펴냈다면 얼마나 벌었을까요?

공정위가 칼을 빼 들었습니다.

출판계의 불공정약관을 시정하고 창작자의 권리 보장에 나섰습니다.

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구름을 넣어 만든 빵을 먹고 하늘을 날게 된 고양이 남매 이야기.

2004년 출간돼 40만 부 넘게 팔린 그림책 '구름빵'입니다.

애니메이션과 뮤지컬까지 4천억 원 넘는 가치를 창출했지만, 작가가 손에 쥔 돈은 천850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출판사가 신인작가에게는 대부분 일정 금액만 주고 저작물과 관련된 모든 권리를 갖는 불공정계약 관행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 백희나('구름빵' 원작자) : "TV시리즈든 다른 시리즈 책으로 많이 나와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저하고는 상관없이 진행된 일이거든요. 제 안에서 '구름빵' 이야기는 그 첫 이야기로 끝이 난 거예요."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런 관행을 뿌리뽑겠다며 20개 대형 출판사의 불공정 약관을 시정했습니다.

앞으로는 작가가 출판사에 저작권 전체를 양도할지, 일부만 양도할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 영화 등 2차적 콘텐츠의 저작권을 가지려면 작가와 별도의 특약을 맺어야 합니다.

<녹취> 황원철(공정위 약관심사과장) : "출판권자 등은 저작자로부터 원작 그대로 출판할 권리를 부여받을 뿐이므로, 출판권 등으로부터 2차적 사용 처리 권한이 출판사에게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야기가 가진 힘과 가치는 무궁무진합니다.

이 이야기들이 여러 산업으로 확대 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