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월호 수습·보상, 유병언 일가가 책임져야”
입력 2014.09.01 (06:29)
수정 2014.09.01 (07: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정부는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세월호 수습과 피해 보상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은닉 재산을 쉽게 환수할 수 있는 유병언 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 유병언 일가 등에 대해 가압류와 추징 보전한 재산은 천 7백억원대입니다.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사고 수습.보상 비용의 3분의 1도 되지 않습니다.
여기에다 이른바 유병언 법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면서 가차명으로 숨겨둔 은닉재산 환수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때문에 정부는 긴급 차관회의를 소집해 세월호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며 유병언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 "현재 약 6,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사고수습 비용의 대부분을 국민의 세금으로 부담해야할 상황입니다. 그래서는 절대 안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정부는 채무자 회생과 파산에 관한 법률의 국회 통과도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법이 통과돼야 빚만 탕감 받고 경영권을 다시 가져가는 '유병언식 기업 재건'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정부는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세월호 수습과 피해 보상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은닉 재산을 쉽게 환수할 수 있는 유병언 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 유병언 일가 등에 대해 가압류와 추징 보전한 재산은 천 7백억원대입니다.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사고 수습.보상 비용의 3분의 1도 되지 않습니다.
여기에다 이른바 유병언 법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면서 가차명으로 숨겨둔 은닉재산 환수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때문에 정부는 긴급 차관회의를 소집해 세월호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며 유병언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 "현재 약 6,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사고수습 비용의 대부분을 국민의 세금으로 부담해야할 상황입니다. 그래서는 절대 안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정부는 채무자 회생과 파산에 관한 법률의 국회 통과도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법이 통과돼야 빚만 탕감 받고 경영권을 다시 가져가는 '유병언식 기업 재건'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세월호 수습·보상, 유병언 일가가 책임져야”
-
- 입력 2014-09-01 06:30:20
- 수정2014-09-01 07:40:41

<앵커 멘트>
정부는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세월호 수습과 피해 보상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은닉 재산을 쉽게 환수할 수 있는 유병언 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 유병언 일가 등에 대해 가압류와 추징 보전한 재산은 천 7백억원대입니다.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사고 수습.보상 비용의 3분의 1도 되지 않습니다.
여기에다 이른바 유병언 법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면서 가차명으로 숨겨둔 은닉재산 환수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때문에 정부는 긴급 차관회의를 소집해 세월호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며 유병언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 "현재 약 6,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사고수습 비용의 대부분을 국민의 세금으로 부담해야할 상황입니다. 그래서는 절대 안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정부는 채무자 회생과 파산에 관한 법률의 국회 통과도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법이 통과돼야 빚만 탕감 받고 경영권을 다시 가져가는 '유병언식 기업 재건'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정부는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세월호 수습과 피해 보상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은닉 재산을 쉽게 환수할 수 있는 유병언 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 유병언 일가 등에 대해 가압류와 추징 보전한 재산은 천 7백억원대입니다.
6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사고 수습.보상 비용의 3분의 1도 되지 않습니다.
여기에다 이른바 유병언 법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면서 가차명으로 숨겨둔 은닉재산 환수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때문에 정부는 긴급 차관회의를 소집해 세월호 비용은 유병언 일가 등이 책임져야 한다며 유병언법의 국회 처리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 "현재 약 6,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사고수습 비용의 대부분을 국민의 세금으로 부담해야할 상황입니다. 그래서는 절대 안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정부는 채무자 회생과 파산에 관한 법률의 국회 통과도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법이 통과돼야 빚만 탕감 받고 경영권을 다시 가져가는 '유병언식 기업 재건'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정부는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
-
송창언 기자 heiper@kbs.co.kr
송창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