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통역, 스마트폰이 통신 없이도 ‘척척’
입력 2014.09.01 (19:21)
수정 2014.09.01 (19: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외국인을 만나면 알아들을 수없어 당황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면 이런 고민을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에 프로그램을 깔아 통신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역이 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해 선보였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말을 잘 못하는 미국인 알라씨, 한국인을 만나자 스마트폰에 대고 영어로 묻습니다.
곧이어 스마트폰에서 한국어로 자동 번역되더니 상대방의 스마트폰에 전송됩니다.
<녹취> "서울역까지 가려면 어떻게 가야하나요?"
한국인의 대답은 반대로 영어로 번역돼 알라씨의 화면에 뜹니다.
제법 복잡한 대화도 척척 풀어냅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이 앱은 한국어와 영어,일본어,중국어까지 4개 국어에서 10만 단어 까지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 음성 인식률이 90%에 달할 만큼 정확도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알라(미국인 목원대 영어 강사) : "저는 그것이 매우 멋지고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앱은 스마트폰과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돼 통신이 끊기면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앱은 통신망 연결 없이도 스마트폰 안에서 모든 처리가 이뤄지다보니 데이터 요금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B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꽂기만해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나, 해외로 나가려는 우리 국민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장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시범 사용됩니다.
<인터뷰> 김흥남(전자통신연구원 원장) : "앞으로 아시안게임을 필두도 ITU전권회의, 그리고 평창까지 확대적용해 언어장벽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연구원측은 연말까지 일반인들이 유로로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있도록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외국인을 만나면 알아들을 수없어 당황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면 이런 고민을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에 프로그램을 깔아 통신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역이 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해 선보였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말을 잘 못하는 미국인 알라씨, 한국인을 만나자 스마트폰에 대고 영어로 묻습니다.
곧이어 스마트폰에서 한국어로 자동 번역되더니 상대방의 스마트폰에 전송됩니다.
<녹취> "서울역까지 가려면 어떻게 가야하나요?"
한국인의 대답은 반대로 영어로 번역돼 알라씨의 화면에 뜹니다.
제법 복잡한 대화도 척척 풀어냅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이 앱은 한국어와 영어,일본어,중국어까지 4개 국어에서 10만 단어 까지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 음성 인식률이 90%에 달할 만큼 정확도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알라(미국인 목원대 영어 강사) : "저는 그것이 매우 멋지고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앱은 스마트폰과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돼 통신이 끊기면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앱은 통신망 연결 없이도 스마트폰 안에서 모든 처리가 이뤄지다보니 데이터 요금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B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꽂기만해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나, 해외로 나가려는 우리 국민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장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시범 사용됩니다.
<인터뷰> 김흥남(전자통신연구원 원장) : "앞으로 아시안게임을 필두도 ITU전권회의, 그리고 평창까지 확대적용해 언어장벽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연구원측은 연말까지 일반인들이 유로로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있도록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시안게임 통역, 스마트폰이 통신 없이도 ‘척척’
-
- 입력 2014-09-01 19:22:12
- 수정2014-09-01 19:32:36

<앵커 멘트>
외국인을 만나면 알아들을 수없어 당황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면 이런 고민을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에 프로그램을 깔아 통신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역이 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해 선보였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말을 잘 못하는 미국인 알라씨, 한국인을 만나자 스마트폰에 대고 영어로 묻습니다.
곧이어 스마트폰에서 한국어로 자동 번역되더니 상대방의 스마트폰에 전송됩니다.
<녹취> "서울역까지 가려면 어떻게 가야하나요?"
한국인의 대답은 반대로 영어로 번역돼 알라씨의 화면에 뜹니다.
제법 복잡한 대화도 척척 풀어냅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이 앱은 한국어와 영어,일본어,중국어까지 4개 국어에서 10만 단어 까지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 음성 인식률이 90%에 달할 만큼 정확도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알라(미국인 목원대 영어 강사) : "저는 그것이 매우 멋지고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앱은 스마트폰과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돼 통신이 끊기면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앱은 통신망 연결 없이도 스마트폰 안에서 모든 처리가 이뤄지다보니 데이터 요금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B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꽂기만해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나, 해외로 나가려는 우리 국민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장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시범 사용됩니다.
<인터뷰> 김흥남(전자통신연구원 원장) : "앞으로 아시안게임을 필두도 ITU전권회의, 그리고 평창까지 확대적용해 언어장벽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연구원측은 연말까지 일반인들이 유로로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있도록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외국인을 만나면 알아들을 수없어 당황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면 이런 고민을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에 프로그램을 깔아 통신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역이 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해 선보였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말을 잘 못하는 미국인 알라씨, 한국인을 만나자 스마트폰에 대고 영어로 묻습니다.
곧이어 스마트폰에서 한국어로 자동 번역되더니 상대방의 스마트폰에 전송됩니다.
<녹취> "서울역까지 가려면 어떻게 가야하나요?"
한국인의 대답은 반대로 영어로 번역돼 알라씨의 화면에 뜹니다.
제법 복잡한 대화도 척척 풀어냅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이 앱은 한국어와 영어,일본어,중국어까지 4개 국어에서 10만 단어 까지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 음성 인식률이 90%에 달할 만큼 정확도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알라(미국인 목원대 영어 강사) : "저는 그것이 매우 멋지고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앱은 스마트폰과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돼 통신이 끊기면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앱은 통신망 연결 없이도 스마트폰 안에서 모든 처리가 이뤄지다보니 데이터 요금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B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꽂기만해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나, 해외로 나가려는 우리 국민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장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시범 사용됩니다.
<인터뷰> 김흥남(전자통신연구원 원장) : "앞으로 아시안게임을 필두도 ITU전권회의, 그리고 평창까지 확대적용해 언어장벽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연구원측은 연말까지 일반인들이 유로로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있도록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