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포로훈련’…특전사 대원 2명 질식사

입력 2014.09.03 (23:15) 수정 2014.09.04 (07: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포로로 잡힌 상황을 가정해 고강도 훈련을 받던 특전사 대원 두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위험한 훈련이었지만 진행을 맡은 교관들은 대원들을 옆에서 지켜보지 않았습니다.

진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병원 응급실로 구급차가 들어오고, 군인들이 잇따라 들것에 실려 들어옵니다.

어젯밤 10시 반쯤 육군 제13공수특전여단에서 야간 훈련을 받던 특전사 대원 3명이 쓰러진 것입니다.

다행히 24살 전 모 하사는 의식을 회복했지만, 24살 이 모, 22살 조모 하사는 끝내 숨졌습니다.

사인은 질식사로, 이들은 적군에 포로로 잡혔을 때를 가정한 고강도 훈련을 받고 있었습니다.

독방 9곳에 한 명씩 들어가, 머리에 검은 주머니를 뒤집어 쓰고 양팔이 묶인 상태에서 독방을 탈출하는 훈련을 받다가 일부 대원들이 호흡 곤란을 호소한 것입니다.

<인터뷰> 이홍주(특전사 헌병대 수사관) : "호흡이 힘들다고 통증을 호소하는 훈련 인원이 있어서 확인한 결과, 상태가 조금 더 안 좋은 2명이 확인돼서 응급조치를 하면서..."

대원 가운데 일부는 수해 복구 작업에 투입된 당초 훈련 대상 대원을 대신해 휴가 복귀 직후에 급히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녹취> 사망 하사 유족(음성변조) : "8월 31일에 (휴가) 복귀를 했는데, 9월 1일부터 훈련에 들어간 거예요. 얘네들은 이 훈련을 하는지도 몰랐던 거야."

더구나 이번 훈련을 진행한 4명의 교관은 사고 당시 대원들의 위급 상황을 제때 알 수 없는 상황실에 가 있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 것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죽음의 ‘포로훈련’…특전사 대원 2명 질식사
    • 입력 2014-09-03 23:16:42
    • 수정2014-09-04 07:24:00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포로로 잡힌 상황을 가정해 고강도 훈련을 받던 특전사 대원 두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위험한 훈련이었지만 진행을 맡은 교관들은 대원들을 옆에서 지켜보지 않았습니다.

진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병원 응급실로 구급차가 들어오고, 군인들이 잇따라 들것에 실려 들어옵니다.

어젯밤 10시 반쯤 육군 제13공수특전여단에서 야간 훈련을 받던 특전사 대원 3명이 쓰러진 것입니다.

다행히 24살 전 모 하사는 의식을 회복했지만, 24살 이 모, 22살 조모 하사는 끝내 숨졌습니다.

사인은 질식사로, 이들은 적군에 포로로 잡혔을 때를 가정한 고강도 훈련을 받고 있었습니다.

독방 9곳에 한 명씩 들어가, 머리에 검은 주머니를 뒤집어 쓰고 양팔이 묶인 상태에서 독방을 탈출하는 훈련을 받다가 일부 대원들이 호흡 곤란을 호소한 것입니다.

<인터뷰> 이홍주(특전사 헌병대 수사관) : "호흡이 힘들다고 통증을 호소하는 훈련 인원이 있어서 확인한 결과, 상태가 조금 더 안 좋은 2명이 확인돼서 응급조치를 하면서..."

대원 가운데 일부는 수해 복구 작업에 투입된 당초 훈련 대상 대원을 대신해 휴가 복귀 직후에 급히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녹취> 사망 하사 유족(음성변조) : "8월 31일에 (휴가) 복귀를 했는데, 9월 1일부터 훈련에 들어간 거예요. 얘네들은 이 훈련을 하는지도 몰랐던 거야."

더구나 이번 훈련을 진행한 4명의 교관은 사고 당시 대원들의 위급 상황을 제때 알 수 없는 상황실에 가 있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 것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