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광장] 해외 직구 급증…국내 기업 위기
입력 2014.09.23 (07:31)
수정 2014.09.23 (0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는 '해외 직구'가 늘어나면서 국내 산업도 급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청은 지난달 말까지의 해외 전자상거래 규모가 988만 3천 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가 국내 판매가격보다 20에서 50% 이상 저렴해 선호하고 있는데요.
해외 기업들이 직구제품 A/S까지 시행해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관세청 관계자는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가 남아있어, 올해 연말 해외 직구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누리꾼들은 "이제는 저렴한 해외 직구가 대세예요." 라는 반응과 "피해도 많던데 좋은 것만은 아닌 듯."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는 '해외 직구'가 늘어나면서 국내 산업도 급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청은 지난달 말까지의 해외 전자상거래 규모가 988만 3천 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가 국내 판매가격보다 20에서 50% 이상 저렴해 선호하고 있는데요.
해외 기업들이 직구제품 A/S까지 시행해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관세청 관계자는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가 남아있어, 올해 연말 해외 직구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누리꾼들은 "이제는 저렴한 해외 직구가 대세예요." 라는 반응과 "피해도 많던데 좋은 것만은 아닌 듯."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터넷 광장] 해외 직구 급증…국내 기업 위기
-
- 입력 2014-09-23 07:37:46
- 수정2014-09-23 08:12:19

<리포트>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는 '해외 직구'가 늘어나면서 국내 산업도 급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청은 지난달 말까지의 해외 전자상거래 규모가 988만 3천 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가 국내 판매가격보다 20에서 50% 이상 저렴해 선호하고 있는데요.
해외 기업들이 직구제품 A/S까지 시행해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관세청 관계자는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가 남아있어, 올해 연말 해외 직구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누리꾼들은 "이제는 저렴한 해외 직구가 대세예요." 라는 반응과 "피해도 많던데 좋은 것만은 아닌 듯."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는 '해외 직구'가 늘어나면서 국내 산업도 급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청은 지난달 말까지의 해외 전자상거래 규모가 988만 3천 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가 국내 판매가격보다 20에서 50% 이상 저렴해 선호하고 있는데요.
해외 기업들이 직구제품 A/S까지 시행해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관세청 관계자는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가 남아있어, 올해 연말 해외 직구 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누리꾼들은 "이제는 저렴한 해외 직구가 대세예요." 라는 반응과 "피해도 많던데 좋은 것만은 아닌 듯."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