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밥솥 사고 매년 급증…절반 이상 영유아”
입력 2014.09.23 (12:10)
수정 2014.09.24 (08: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압력밥솥에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 등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가 있는 집에서는 각별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압력밥솥으로 화상을 입는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라고 합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은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받은 압력밥솥 안전사고는 모두 317건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올 상반기는 102건이 접수돼 2011년 한 해 발생한 사고보다 두 배나 많았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화상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처 부위는 손과 손목이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만 6세 이하의 영유아의 비중이 절반이 넘는 5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압력밥솥을 직접 사용하는 성인의 비중이 31%로 뒤를 이었습니다.
제품별로는 전기 압력밥솥에서 발생한 사고가 85%로 가스 압력밥솥 사고보다 5배 이상 많았습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전기 압력밥솥 사고가 전체의 94%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피부 두께가 얇아서 같은 온도의 뜨거운 물질에 닿아도 더 깊게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영유아가 있는 가정은 압력밥솥, 특히 전기 압력밥솥을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놓고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압력밥솥에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 등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가 있는 집에서는 각별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압력밥솥으로 화상을 입는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라고 합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은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받은 압력밥솥 안전사고는 모두 317건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올 상반기는 102건이 접수돼 2011년 한 해 발생한 사고보다 두 배나 많았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화상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처 부위는 손과 손목이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만 6세 이하의 영유아의 비중이 절반이 넘는 5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압력밥솥을 직접 사용하는 성인의 비중이 31%로 뒤를 이었습니다.
제품별로는 전기 압력밥솥에서 발생한 사고가 85%로 가스 압력밥솥 사고보다 5배 이상 많았습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전기 압력밥솥 사고가 전체의 94%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피부 두께가 얇아서 같은 온도의 뜨거운 물질에 닿아도 더 깊게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영유아가 있는 가정은 압력밥솥, 특히 전기 압력밥솥을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놓고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압력밥솥 사고 매년 급증…절반 이상 영유아”
-
- 입력 2014-09-23 12:11:11
- 수정2014-09-24 08:33:53

<앵커 멘트>
압력밥솥에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 등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가 있는 집에서는 각별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압력밥솥으로 화상을 입는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라고 합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은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받은 압력밥솥 안전사고는 모두 317건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올 상반기는 102건이 접수돼 2011년 한 해 발생한 사고보다 두 배나 많았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화상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처 부위는 손과 손목이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만 6세 이하의 영유아의 비중이 절반이 넘는 5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압력밥솥을 직접 사용하는 성인의 비중이 31%로 뒤를 이었습니다.
제품별로는 전기 압력밥솥에서 발생한 사고가 85%로 가스 압력밥솥 사고보다 5배 이상 많았습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전기 압력밥솥 사고가 전체의 94%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피부 두께가 얇아서 같은 온도의 뜨거운 물질에 닿아도 더 깊게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영유아가 있는 가정은 압력밥솥, 특히 전기 압력밥솥을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놓고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압력밥솥에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 등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가 있는 집에서는 각별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압력밥솥으로 화상을 입는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라고 합니다.
유지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은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접수받은 압력밥솥 안전사고는 모두 317건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올 상반기는 102건이 접수돼 2011년 한 해 발생한 사고보다 두 배나 많았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화상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처 부위는 손과 손목이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만 6세 이하의 영유아의 비중이 절반이 넘는 5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압력밥솥을 직접 사용하는 성인의 비중이 31%로 뒤를 이었습니다.
제품별로는 전기 압력밥솥에서 발생한 사고가 85%로 가스 압력밥솥 사고보다 5배 이상 많았습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전기 압력밥솥 사고가 전체의 94%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피부 두께가 얇아서 같은 온도의 뜨거운 물질에 닿아도 더 깊게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영유아가 있는 가정은 압력밥솥, 특히 전기 압력밥솥을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놓고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