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안 국회 제출­…여야 ‘증세 논란’ 공방 가열

입력 2014.09.23 (17:01) 수정 2014.09.23 (17: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자 이른바 증세 논란이 다시 가열되고 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명백한 서민 증세라며 부자 감세부터 철회해야 한다고 비난했고 새누리당은 야당이 사실관계를 왜곡했다며 정치 공세를 멈추라고 반박했습니다.

김기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376조 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서민 증세 정책을 반대한다며 부자 감세부터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정부가 내년 경로당 냉난방비 예산 603억 원까지 전액 삭감했다고 비난했습니다.

우윤근 정책위의장도 복지 예산은 대폭 인상돼야 하지만, 그 재원이 서민 증세를 통해서 마련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전국 246개 지역위원회별로 담뱃세와 주민세, 자동차세 등 서민 증세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정책 홍보용 현수막을 일제히 내걸었습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부자 감세, 서민 증세' 주장은 정치 공세라고 반박했습니다.

나성린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이명박 정부 후반기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부자 증세와 대기업 증세를 했다며, 올 연말 소득 정산 때 오히려 중산층 이상 계층에서 불만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담뱃세 인상과 관련해선 중산층, 고소득층의 담배소비세 증가가 더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나 부의장은 주민세와 자동차세 인상도 주로 야당 자치단체장들이 요구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여당은 새해 예산안 심사를 별 차질 없이 진행 하기 위해선 26일에는 본회의를 개최해야 한다고 밝혔지만, 야당은 세월호법 타결 없이는 본회의 참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KBS 뉴스 김기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예산안 국회 제출­…여야 ‘증세 논란’ 공방 가열
    • 입력 2014-09-23 17:05:01
    • 수정2014-09-23 17:26:47
    뉴스 5
<앵커 멘트>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자 이른바 증세 논란이 다시 가열되고 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명백한 서민 증세라며 부자 감세부터 철회해야 한다고 비난했고 새누리당은 야당이 사실관계를 왜곡했다며 정치 공세를 멈추라고 반박했습니다.

김기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376조 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서민 증세 정책을 반대한다며 부자 감세부터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정부가 내년 경로당 냉난방비 예산 603억 원까지 전액 삭감했다고 비난했습니다.

우윤근 정책위의장도 복지 예산은 대폭 인상돼야 하지만, 그 재원이 서민 증세를 통해서 마련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새정치연합은 전국 246개 지역위원회별로 담뱃세와 주민세, 자동차세 등 서민 증세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정책 홍보용 현수막을 일제히 내걸었습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부자 감세, 서민 증세' 주장은 정치 공세라고 반박했습니다.

나성린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이명박 정부 후반기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부자 증세와 대기업 증세를 했다며, 올 연말 소득 정산 때 오히려 중산층 이상 계층에서 불만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담뱃세 인상과 관련해선 중산층, 고소득층의 담배소비세 증가가 더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나 부의장은 주민세와 자동차세 인상도 주로 야당 자치단체장들이 요구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여당은 새해 예산안 심사를 별 차질 없이 진행 하기 위해선 26일에는 본회의를 개최해야 한다고 밝혔지만, 야당은 세월호법 타결 없이는 본회의 참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KBS 뉴스 김기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