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녀 음식’ 등 이색 어촌문화 중국인 관광상품 등장
입력 2014.10.02 (07:41)
수정 2014.10.04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인 관광하면 유명 관광지와 면세점 쇼핑 등에 치우쳐 지역 경제에 별 도움이 못한다는 지적이 많은데요,
제주의 한 어촌마을이 해녀 음식과 같은 어촌 문화를 관광자원화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하선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다와 화산이 만들어낸 제주의 돌염전, 일명 '소금빌레'.
옛 제주 어촌의 멋을 간직한 바닷가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드라마에서나 보았던 고운 한복을 차려입고, 시원한 바다를 배경으로 설렘 가득한 추억을 남깁니다.
<인터뷰> 정 씨(중국 하문시) : "보는 관광만 하다가 여기 와서 이렇게 아름다운 바다에서 한복 체험도 하니까,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한쪽에선 해녀들이 즐겨먹던 톳밥을 손수 만들며 중국인 관광객들은 어느새 해녀 문화와 친숙해집니다.
<인터뷰> 팅팅(중국 복주) : "한국에 와서 이런 톳밥을 처음 먹어보는데 느낌이 아주 특이하고 맛있습니다."
이런 인기 속에 이번 국경절 연휴에만 중국인 관광객 천명 가량이 이번 어촌체험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송영민(구엄리 어촌계장) : "우리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자부심, 자긍심이 키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유명 관광지와 쇼핑 일색이었던 중국인 관광이 제주 어촌문화와 만나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중국인 관광하면 유명 관광지와 면세점 쇼핑 등에 치우쳐 지역 경제에 별 도움이 못한다는 지적이 많은데요,
제주의 한 어촌마을이 해녀 음식과 같은 어촌 문화를 관광자원화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하선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다와 화산이 만들어낸 제주의 돌염전, 일명 '소금빌레'.
옛 제주 어촌의 멋을 간직한 바닷가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드라마에서나 보았던 고운 한복을 차려입고, 시원한 바다를 배경으로 설렘 가득한 추억을 남깁니다.
<인터뷰> 정 씨(중국 하문시) : "보는 관광만 하다가 여기 와서 이렇게 아름다운 바다에서 한복 체험도 하니까,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한쪽에선 해녀들이 즐겨먹던 톳밥을 손수 만들며 중국인 관광객들은 어느새 해녀 문화와 친숙해집니다.
<인터뷰> 팅팅(중국 복주) : "한국에 와서 이런 톳밥을 처음 먹어보는데 느낌이 아주 특이하고 맛있습니다."
이런 인기 속에 이번 국경절 연휴에만 중국인 관광객 천명 가량이 이번 어촌체험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송영민(구엄리 어촌계장) : "우리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자부심, 자긍심이 키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유명 관광지와 쇼핑 일색이었던 중국인 관광이 제주 어촌문화와 만나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녀 음식’ 등 이색 어촌문화 중국인 관광상품 등장
-
- 입력 2014-10-02 07:44:04
- 수정2014-10-04 08:50:58

<앵커 멘트>
중국인 관광하면 유명 관광지와 면세점 쇼핑 등에 치우쳐 지역 경제에 별 도움이 못한다는 지적이 많은데요,
제주의 한 어촌마을이 해녀 음식과 같은 어촌 문화를 관광자원화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하선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다와 화산이 만들어낸 제주의 돌염전, 일명 '소금빌레'.
옛 제주 어촌의 멋을 간직한 바닷가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드라마에서나 보았던 고운 한복을 차려입고, 시원한 바다를 배경으로 설렘 가득한 추억을 남깁니다.
<인터뷰> 정 씨(중국 하문시) : "보는 관광만 하다가 여기 와서 이렇게 아름다운 바다에서 한복 체험도 하니까,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한쪽에선 해녀들이 즐겨먹던 톳밥을 손수 만들며 중국인 관광객들은 어느새 해녀 문화와 친숙해집니다.
<인터뷰> 팅팅(중국 복주) : "한국에 와서 이런 톳밥을 처음 먹어보는데 느낌이 아주 특이하고 맛있습니다."
이런 인기 속에 이번 국경절 연휴에만 중국인 관광객 천명 가량이 이번 어촌체험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송영민(구엄리 어촌계장) : "우리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자부심, 자긍심이 키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유명 관광지와 쇼핑 일색이었던 중국인 관광이 제주 어촌문화와 만나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중국인 관광하면 유명 관광지와 면세점 쇼핑 등에 치우쳐 지역 경제에 별 도움이 못한다는 지적이 많은데요,
제주의 한 어촌마을이 해녀 음식과 같은 어촌 문화를 관광자원화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하선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다와 화산이 만들어낸 제주의 돌염전, 일명 '소금빌레'.
옛 제주 어촌의 멋을 간직한 바닷가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드라마에서나 보았던 고운 한복을 차려입고, 시원한 바다를 배경으로 설렘 가득한 추억을 남깁니다.
<인터뷰> 정 씨(중국 하문시) : "보는 관광만 하다가 여기 와서 이렇게 아름다운 바다에서 한복 체험도 하니까,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한쪽에선 해녀들이 즐겨먹던 톳밥을 손수 만들며 중국인 관광객들은 어느새 해녀 문화와 친숙해집니다.
<인터뷰> 팅팅(중국 복주) : "한국에 와서 이런 톳밥을 처음 먹어보는데 느낌이 아주 특이하고 맛있습니다."
이런 인기 속에 이번 국경절 연휴에만 중국인 관광객 천명 가량이 이번 어촌체험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인터뷰> 송영민(구엄리 어촌계장) : "우리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자부심, 자긍심이 키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유명 관광지와 쇼핑 일색이었던 중국인 관광이 제주 어촌문화와 만나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
-
하선아 기자 saha@kbs.co.kr
하선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