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품질 검사제’ 악용…식품 불안 고조
입력 2014.10.22 (12:35)
수정 2014.10.22 (12: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유명식품회사 제품에서 잇따라 대장균군 등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품질 검사를 하는 제도를 악용한 건데, 이 제도 자체가 허술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장균군이 발견된 시리얼 4개 종류를 다른 것과 섞어 판매한 동서식품.
크라운제과는 유기농웨하스에서 식중독균을 확인하고도 5년 동안 31억원어치를 유통시켰습니다.
이 두 업체 모두 자가품질검사제를 악용했습니다.
생산 과정에서 세균 관련 자체 품질검사를 한 뒤 부적합 제품이 확인되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업체가 이를 숨기면 관계당국이 파악할 길이 없는 겁니다.
지난 6년 동안 자가품질검사 대상업체 4천 7백여개 가운데 부적합 제품을 보고한 사례는 단 한건도 없습니다.
<녹취> 박지호(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간사) : "식약처는 물론 그 누구도 모르는 사실이 되는거죠. 제조공정 안에 속해있는 사람들만 알게되는 그들만의 영업비밀이 돼버리면 모든 피해는 소비자..."
실제 '대장균 시리얼' 파문 이후 대형마트 등에선 반품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관련 매출도 40%나 급감했고, 소비자들의 불안도 더 커지고 있습니다.
<녹취> 최지환(서울 영등포구) : "바쁠 때 급하게 먹고 나가는 음식 중 하나인데, 거기서 그런 것들이 검출됐다고 그러면 많이 걱정이 되죠."
식약처는 뒤늦게서야 처벌 기준을 강화하고, 한 달에 한 번 이상 자가품질검사를 하게 하는 등의 개선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최근 유명식품회사 제품에서 잇따라 대장균군 등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품질 검사를 하는 제도를 악용한 건데, 이 제도 자체가 허술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장균군이 발견된 시리얼 4개 종류를 다른 것과 섞어 판매한 동서식품.
크라운제과는 유기농웨하스에서 식중독균을 확인하고도 5년 동안 31억원어치를 유통시켰습니다.
이 두 업체 모두 자가품질검사제를 악용했습니다.
생산 과정에서 세균 관련 자체 품질검사를 한 뒤 부적합 제품이 확인되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업체가 이를 숨기면 관계당국이 파악할 길이 없는 겁니다.
지난 6년 동안 자가품질검사 대상업체 4천 7백여개 가운데 부적합 제품을 보고한 사례는 단 한건도 없습니다.
<녹취> 박지호(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간사) : "식약처는 물론 그 누구도 모르는 사실이 되는거죠. 제조공정 안에 속해있는 사람들만 알게되는 그들만의 영업비밀이 돼버리면 모든 피해는 소비자..."
실제 '대장균 시리얼' 파문 이후 대형마트 등에선 반품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관련 매출도 40%나 급감했고, 소비자들의 불안도 더 커지고 있습니다.
<녹취> 최지환(서울 영등포구) : "바쁠 때 급하게 먹고 나가는 음식 중 하나인데, 거기서 그런 것들이 검출됐다고 그러면 많이 걱정이 되죠."
식약처는 뒤늦게서야 처벌 기준을 강화하고, 한 달에 한 번 이상 자가품질검사를 하게 하는 등의 개선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가 품질 검사제’ 악용…식품 불안 고조
-
- 입력 2014-10-22 12:35:59
- 수정2014-10-22 12:54:14

<앵커 멘트>
최근 유명식품회사 제품에서 잇따라 대장균군 등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품질 검사를 하는 제도를 악용한 건데, 이 제도 자체가 허술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장균군이 발견된 시리얼 4개 종류를 다른 것과 섞어 판매한 동서식품.
크라운제과는 유기농웨하스에서 식중독균을 확인하고도 5년 동안 31억원어치를 유통시켰습니다.
이 두 업체 모두 자가품질검사제를 악용했습니다.
생산 과정에서 세균 관련 자체 품질검사를 한 뒤 부적합 제품이 확인되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업체가 이를 숨기면 관계당국이 파악할 길이 없는 겁니다.
지난 6년 동안 자가품질검사 대상업체 4천 7백여개 가운데 부적합 제품을 보고한 사례는 단 한건도 없습니다.
<녹취> 박지호(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간사) : "식약처는 물론 그 누구도 모르는 사실이 되는거죠. 제조공정 안에 속해있는 사람들만 알게되는 그들만의 영업비밀이 돼버리면 모든 피해는 소비자..."
실제 '대장균 시리얼' 파문 이후 대형마트 등에선 반품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관련 매출도 40%나 급감했고, 소비자들의 불안도 더 커지고 있습니다.
<녹취> 최지환(서울 영등포구) : "바쁠 때 급하게 먹고 나가는 음식 중 하나인데, 거기서 그런 것들이 검출됐다고 그러면 많이 걱정이 되죠."
식약처는 뒤늦게서야 처벌 기준을 강화하고, 한 달에 한 번 이상 자가품질검사를 하게 하는 등의 개선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최근 유명식품회사 제품에서 잇따라 대장균군 등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품질 검사를 하는 제도를 악용한 건데, 이 제도 자체가 허술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장균군이 발견된 시리얼 4개 종류를 다른 것과 섞어 판매한 동서식품.
크라운제과는 유기농웨하스에서 식중독균을 확인하고도 5년 동안 31억원어치를 유통시켰습니다.
이 두 업체 모두 자가품질검사제를 악용했습니다.
생산 과정에서 세균 관련 자체 품질검사를 한 뒤 부적합 제품이 확인되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업체가 이를 숨기면 관계당국이 파악할 길이 없는 겁니다.
지난 6년 동안 자가품질검사 대상업체 4천 7백여개 가운데 부적합 제품을 보고한 사례는 단 한건도 없습니다.
<녹취> 박지호(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간사) : "식약처는 물론 그 누구도 모르는 사실이 되는거죠. 제조공정 안에 속해있는 사람들만 알게되는 그들만의 영업비밀이 돼버리면 모든 피해는 소비자..."
실제 '대장균 시리얼' 파문 이후 대형마트 등에선 반품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관련 매출도 40%나 급감했고, 소비자들의 불안도 더 커지고 있습니다.
<녹취> 최지환(서울 영등포구) : "바쁠 때 급하게 먹고 나가는 음식 중 하나인데, 거기서 그런 것들이 검출됐다고 그러면 많이 걱정이 되죠."
식약처는 뒤늦게서야 처벌 기준을 강화하고, 한 달에 한 번 이상 자가품질검사를 하게 하는 등의 개선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
정성호 기자 andreas@kbs.co.kr
정성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