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휴대전화 비용·위자료 지급해야”
입력 2014.12.09 (23:12)
수정 2014.12.10 (0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한 아이폰 이용자가 애플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이겼습니다.
고장 난 아이폰을 수리 센터에 맡겼는데, 애플 측이 기기를 고칠 수 없으니 재활용 부품이 들어간 휴대전화를 사 가라고 한 게 발단이었습니다.
이런 일 당한 분들 많으실텐데 앞으로 비슷한 소송이 잇따를 지 주목됩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오원국 씨는 지난해 고장 난 아이폰을 애플 지정 수리업체에 맡겼습니다.
하지만 업체는 수리가 어렵다며 대신 부품을 재활용한 '리퍼폰'을 34만 원에 구매해 쓰라고 답했습니다.
비용이 부담스러웠던 오 씨는 아이폰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애플 측은 "교환된 제품은 회사 자산"이라며 반환을 거부했습니다.
오 씨는 아이폰을 되찾기 위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오늘 애플이 휴대전화 비용과 위자료 등 150여만 원을 지급하라며 오 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인터뷰> 오원국 (아이폰 이용자) : "대기업 정책이 대한민국 법 위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이길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에 대해 애플은 공식 답변이 어렵다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011년엔 한 아이폰 이용자가 '리퍼폰' 구입 비용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냈고, 최근에는 한 시민단체가 공정위에 아이폰 수리 약관 심사를 청구했습니다.
<인터뷰> 박지호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 "(애플은) 면책 조항이 다양하게 들어간 약관을 계속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책임을 인정한 오늘 판결로 유사한 소송이 대거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국내 한 아이폰 이용자가 애플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이겼습니다.
고장 난 아이폰을 수리 센터에 맡겼는데, 애플 측이 기기를 고칠 수 없으니 재활용 부품이 들어간 휴대전화를 사 가라고 한 게 발단이었습니다.
이런 일 당한 분들 많으실텐데 앞으로 비슷한 소송이 잇따를 지 주목됩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오원국 씨는 지난해 고장 난 아이폰을 애플 지정 수리업체에 맡겼습니다.
하지만 업체는 수리가 어렵다며 대신 부품을 재활용한 '리퍼폰'을 34만 원에 구매해 쓰라고 답했습니다.
비용이 부담스러웠던 오 씨는 아이폰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애플 측은 "교환된 제품은 회사 자산"이라며 반환을 거부했습니다.
오 씨는 아이폰을 되찾기 위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오늘 애플이 휴대전화 비용과 위자료 등 150여만 원을 지급하라며 오 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인터뷰> 오원국 (아이폰 이용자) : "대기업 정책이 대한민국 법 위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이길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에 대해 애플은 공식 답변이 어렵다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011년엔 한 아이폰 이용자가 '리퍼폰' 구입 비용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냈고, 최근에는 한 시민단체가 공정위에 아이폰 수리 약관 심사를 청구했습니다.
<인터뷰> 박지호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 "(애플은) 면책 조항이 다양하게 들어간 약관을 계속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책임을 인정한 오늘 판결로 유사한 소송이 대거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애플, 휴대전화 비용·위자료 지급해야”
-
- 입력 2014-12-09 23:17:54
- 수정2014-12-10 00:07:01
<앵커 멘트>
국내 한 아이폰 이용자가 애플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이겼습니다.
고장 난 아이폰을 수리 센터에 맡겼는데, 애플 측이 기기를 고칠 수 없으니 재활용 부품이 들어간 휴대전화를 사 가라고 한 게 발단이었습니다.
이런 일 당한 분들 많으실텐데 앞으로 비슷한 소송이 잇따를 지 주목됩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오원국 씨는 지난해 고장 난 아이폰을 애플 지정 수리업체에 맡겼습니다.
하지만 업체는 수리가 어렵다며 대신 부품을 재활용한 '리퍼폰'을 34만 원에 구매해 쓰라고 답했습니다.
비용이 부담스러웠던 오 씨는 아이폰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애플 측은 "교환된 제품은 회사 자산"이라며 반환을 거부했습니다.
오 씨는 아이폰을 되찾기 위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오늘 애플이 휴대전화 비용과 위자료 등 150여만 원을 지급하라며 오 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인터뷰> 오원국 (아이폰 이용자) : "대기업 정책이 대한민국 법 위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이길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에 대해 애플은 공식 답변이 어렵다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011년엔 한 아이폰 이용자가 '리퍼폰' 구입 비용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냈고, 최근에는 한 시민단체가 공정위에 아이폰 수리 약관 심사를 청구했습니다.
<인터뷰> 박지호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 "(애플은) 면책 조항이 다양하게 들어간 약관을 계속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책임을 인정한 오늘 판결로 유사한 소송이 대거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국내 한 아이폰 이용자가 애플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이겼습니다.
고장 난 아이폰을 수리 센터에 맡겼는데, 애플 측이 기기를 고칠 수 없으니 재활용 부품이 들어간 휴대전화를 사 가라고 한 게 발단이었습니다.
이런 일 당한 분들 많으실텐데 앞으로 비슷한 소송이 잇따를 지 주목됩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오원국 씨는 지난해 고장 난 아이폰을 애플 지정 수리업체에 맡겼습니다.
하지만 업체는 수리가 어렵다며 대신 부품을 재활용한 '리퍼폰'을 34만 원에 구매해 쓰라고 답했습니다.
비용이 부담스러웠던 오 씨는 아이폰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애플 측은 "교환된 제품은 회사 자산"이라며 반환을 거부했습니다.
오 씨는 아이폰을 되찾기 위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오늘 애플이 휴대전화 비용과 위자료 등 150여만 원을 지급하라며 오 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인터뷰> 오원국 (아이폰 이용자) : "대기업 정책이 대한민국 법 위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이길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에 대해 애플은 공식 답변이 어렵다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2011년엔 한 아이폰 이용자가 '리퍼폰' 구입 비용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냈고, 최근에는 한 시민단체가 공정위에 아이폰 수리 약관 심사를 청구했습니다.
<인터뷰> 박지호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 : "(애플은) 면책 조항이 다양하게 들어간 약관을 계속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책임을 인정한 오늘 판결로 유사한 소송이 대거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
-
양창희 기자 share@kbs.co.kr
양창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