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엑스터시 몸살

입력 2002.03.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9시뉴스에서 탤런트 성현아 씨가 마약 엑스터시를 복용한 혐의로 구속됐다고 보도하면서 성 씨와 같은 드라마에 출연했던 탤런트 양정아 씨의 자료화면을 잘못 내보냈습니다.
이 점 바로잡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도 청소년들의 엑스터시 복용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학교 내에서까지 거래가 이루어질 정도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강선규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로스앤젤레스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끼리 버젓이 마약을 거래하고 있습니다.
캠퍼스 안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어느 고등학교에서는 마약견까지 투입해 단속을 벌이고 있으나 학내 마약 거래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값싸고 구하기 쉬운 엑스터시입니다.
⊙마약 중독 치료 중인 학생(13살): 친구들이 다 해 봤기 때문에 호기심으로 엑스터시를 복용했습니다.
⊙제이슨 리(LA경찰국 공보관): 80년대 들어서 코카인 그리고 필로폰 그렇게 유행이 됐었는데 2000년도에 들어서 엑스터시가 청소년들 사이에 굉장히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그저 호기심에서 복용했다가 중독의 수렁으로 빠지고 맙니다.
격렬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레이브파티라는 철야파티장에는 엑스터시가 필수품이 되어 있고 청소년들은 환각상태에서 광란의 밤을 지새웁니다.
이 가운데는 한인 청소년들도 적지 않습니다.
⊙한영호(LA 한인 마약 퇴치 본부장): 한인 청소년들 엑스터시 복용은 지금 계속 증가 추세에 놓여있고요.
대략 한 70%에서 한 80% 정도가 다 한번씩 접해보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기자: 이곳 로스앤젤레스에서만 엑스터시 같은 마약을 제조하는 곳이 1000군데가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000년 현재 127만명 투약 분량의 엑스터시가 미 당국에 몰수됐으며 이는 5년 전보다 갑절 이상 늘어난 것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뉴스 강선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도 엑스터시 몸살
    • 입력 2002-03-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어제 9시뉴스에서 탤런트 성현아 씨가 마약 엑스터시를 복용한 혐의로 구속됐다고 보도하면서 성 씨와 같은 드라마에 출연했던 탤런트 양정아 씨의 자료화면을 잘못 내보냈습니다. 이 점 바로잡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도 청소년들의 엑스터시 복용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학교 내에서까지 거래가 이루어질 정도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강선규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로스앤젤레스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끼리 버젓이 마약을 거래하고 있습니다. 캠퍼스 안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어느 고등학교에서는 마약견까지 투입해 단속을 벌이고 있으나 학내 마약 거래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값싸고 구하기 쉬운 엑스터시입니다. ⊙마약 중독 치료 중인 학생(13살): 친구들이 다 해 봤기 때문에 호기심으로 엑스터시를 복용했습니다. ⊙제이슨 리(LA경찰국 공보관): 80년대 들어서 코카인 그리고 필로폰 그렇게 유행이 됐었는데 2000년도에 들어서 엑스터시가 청소년들 사이에 굉장히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그저 호기심에서 복용했다가 중독의 수렁으로 빠지고 맙니다. 격렬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레이브파티라는 철야파티장에는 엑스터시가 필수품이 되어 있고 청소년들은 환각상태에서 광란의 밤을 지새웁니다. 이 가운데는 한인 청소년들도 적지 않습니다. ⊙한영호(LA 한인 마약 퇴치 본부장): 한인 청소년들 엑스터시 복용은 지금 계속 증가 추세에 놓여있고요. 대략 한 70%에서 한 80% 정도가 다 한번씩 접해보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기자: 이곳 로스앤젤레스에서만 엑스터시 같은 마약을 제조하는 곳이 1000군데가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000년 현재 127만명 투약 분량의 엑스터시가 미 당국에 몰수됐으며 이는 5년 전보다 갑절 이상 늘어난 것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뉴스 강선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