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난자 이용 인간배아 복제 논란
입력 2002.03.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소의 난자에 사람의 세포핵을 넣어서 인간배아를 만드는 연구가 국내에서 성공했습니다.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찬반논란에 또다시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기자: 세포분열을 하고 있는 복제된 인간의 배아입니다.
이 배아를 만드는 데 쓰인 난자는 사람의 것이 아닌 소의 난자입니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연구팀은 핵을 제거한 소의 난자에 인간 피부세포의 핵을 넣어 배아를 만든 뒤 일주일 후 배반포기까지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배아의 유전형질은 99% 이상이 인간의 것이지만 소의 유전형질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구진은 사람의 난자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박세필(박사/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사용되는 인간의 난자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끔 초기연구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종교단체는 이번 연구는 자연의 순리에 어긋난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한재각(참여연대 간사): 소의 난자를 이용해서 배아복제를 했다는 것은 동물과 사람이 합쳐진 이종간 교잡행위가 돼서 큰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생명공학 연구자들은 이 같은 배아는 개체로 탄생할 수 없는 연구용일뿐이라며 세계적인 흐름을 생각한다면 연구를 포기할 수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임정묵(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 현재 의료기술로써 극복이 불가능한 난치병 치료를 위해서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필수적입니다.
⊙기자: 정부는 배아복제에 대한 관련법을 연내에 제정한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배아 복제에 관한 찬반 양론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찬반논란에 또다시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기자: 세포분열을 하고 있는 복제된 인간의 배아입니다.
이 배아를 만드는 데 쓰인 난자는 사람의 것이 아닌 소의 난자입니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연구팀은 핵을 제거한 소의 난자에 인간 피부세포의 핵을 넣어 배아를 만든 뒤 일주일 후 배반포기까지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배아의 유전형질은 99% 이상이 인간의 것이지만 소의 유전형질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구진은 사람의 난자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박세필(박사/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사용되는 인간의 난자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끔 초기연구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종교단체는 이번 연구는 자연의 순리에 어긋난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한재각(참여연대 간사): 소의 난자를 이용해서 배아복제를 했다는 것은 동물과 사람이 합쳐진 이종간 교잡행위가 돼서 큰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생명공학 연구자들은 이 같은 배아는 개체로 탄생할 수 없는 연구용일뿐이라며 세계적인 흐름을 생각한다면 연구를 포기할 수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임정묵(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 현재 의료기술로써 극복이 불가능한 난치병 치료를 위해서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필수적입니다.
⊙기자: 정부는 배아복제에 대한 관련법을 연내에 제정한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배아 복제에 관한 찬반 양론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 난자 이용 인간배아 복제 논란
-
- 입력 2002-03-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소의 난자에 사람의 세포핵을 넣어서 인간배아를 만드는 연구가 국내에서 성공했습니다.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찬반논란에 또다시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기자: 세포분열을 하고 있는 복제된 인간의 배아입니다.
이 배아를 만드는 데 쓰인 난자는 사람의 것이 아닌 소의 난자입니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연구팀은 핵을 제거한 소의 난자에 인간 피부세포의 핵을 넣어 배아를 만든 뒤 일주일 후 배반포기까지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배아의 유전형질은 99% 이상이 인간의 것이지만 소의 유전형질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구진은 사람의 난자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어쩔 수 없다고 말합니다.
⊙박세필(박사/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사용되는 인간의 난자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끔 초기연구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종교단체는 이번 연구는 자연의 순리에 어긋난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한재각(참여연대 간사): 소의 난자를 이용해서 배아복제를 했다는 것은 동물과 사람이 합쳐진 이종간 교잡행위가 돼서 큰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생명공학 연구자들은 이 같은 배아는 개체로 탄생할 수 없는 연구용일뿐이라며 세계적인 흐름을 생각한다면 연구를 포기할 수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임정묵(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 현재 의료기술로써 극복이 불가능한 난치병 치료를 위해서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필수적입니다.
⊙기자: 정부는 배아복제에 대한 관련법을 연내에 제정한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배아 복제에 관한 찬반 양론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