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전셋값 ‘껑충’…학군·재건축 수요 영향
입력 2015.01.23 (19:04)
수정 2015.01.2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연초부터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개학을 앞두고 학군 인기지역에 수요가 몰린데다 강남지역에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치면서 겨울 비수기에도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잠실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아파트의 경우 한 달 전보다 전셋값이 5천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
학군이 좋다는 소문에 개학을 앞두고 이주 수요가 몰렸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젊은 엄마들이 애들 교육시키려고 다들 여기로 들어오다 보니까 단지 내에 초중고가 다 좋다 보니까 그래서 더 전세가 딸리는 것 같아요."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강남과 서초, 강동구의 아파트 전셋값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은경(삼성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 "특히 재건축 이주 수요만 하더라도 서울시 기준으로 5만8천여 가구 정도 돼 작년보다 3배 정도 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전세가격이 크게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전세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서울 전세값은 지난주보다 0.16% 올랐고 수도권 전체로는 3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전세난 속에 일부 지역에서는 부녀회를 중심으로 가격 담합까지 이뤄지고 있습니다.
<녹취> 공인중개사(음성변조) : "가격을 조금 저렴하게 우리가 응한다든지 하면 왜 우리 아파트 이렇게 싸냐고, 가격 좀 올려달라고 노골적으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의 전세대란이 수도권까지 확산된 가운데 월세비중은 55%로 사상최대를 기록하면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은 급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연초부터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개학을 앞두고 학군 인기지역에 수요가 몰린데다 강남지역에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치면서 겨울 비수기에도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잠실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아파트의 경우 한 달 전보다 전셋값이 5천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
학군이 좋다는 소문에 개학을 앞두고 이주 수요가 몰렸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젊은 엄마들이 애들 교육시키려고 다들 여기로 들어오다 보니까 단지 내에 초중고가 다 좋다 보니까 그래서 더 전세가 딸리는 것 같아요."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강남과 서초, 강동구의 아파트 전셋값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은경(삼성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 "특히 재건축 이주 수요만 하더라도 서울시 기준으로 5만8천여 가구 정도 돼 작년보다 3배 정도 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전세가격이 크게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전세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서울 전세값은 지난주보다 0.16% 올랐고 수도권 전체로는 3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전세난 속에 일부 지역에서는 부녀회를 중심으로 가격 담합까지 이뤄지고 있습니다.
<녹취> 공인중개사(음성변조) : "가격을 조금 저렴하게 우리가 응한다든지 하면 왜 우리 아파트 이렇게 싸냐고, 가격 좀 올려달라고 노골적으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의 전세대란이 수도권까지 확산된 가운데 월세비중은 55%로 사상최대를 기록하면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은 급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초부터 전셋값 ‘껑충’…학군·재건축 수요 영향
-
- 입력 2015-01-23 19:06:01
- 수정2015-01-23 22:02:59

<앵커 멘트>
연초부터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개학을 앞두고 학군 인기지역에 수요가 몰린데다 강남지역에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치면서 겨울 비수기에도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잠실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아파트의 경우 한 달 전보다 전셋값이 5천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
학군이 좋다는 소문에 개학을 앞두고 이주 수요가 몰렸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젊은 엄마들이 애들 교육시키려고 다들 여기로 들어오다 보니까 단지 내에 초중고가 다 좋다 보니까 그래서 더 전세가 딸리는 것 같아요."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강남과 서초, 강동구의 아파트 전셋값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은경(삼성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 "특히 재건축 이주 수요만 하더라도 서울시 기준으로 5만8천여 가구 정도 돼 작년보다 3배 정도 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전세가격이 크게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전세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서울 전세값은 지난주보다 0.16% 올랐고 수도권 전체로는 3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전세난 속에 일부 지역에서는 부녀회를 중심으로 가격 담합까지 이뤄지고 있습니다.
<녹취> 공인중개사(음성변조) : "가격을 조금 저렴하게 우리가 응한다든지 하면 왜 우리 아파트 이렇게 싸냐고, 가격 좀 올려달라고 노골적으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의 전세대란이 수도권까지 확산된 가운데 월세비중은 55%로 사상최대를 기록하면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은 급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연초부터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개학을 앞두고 학군 인기지역에 수요가 몰린데다 강남지역에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치면서 겨울 비수기에도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잠실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아파트의 경우 한 달 전보다 전셋값이 5천만 원 정도 올랐습니다.
학군이 좋다는 소문에 개학을 앞두고 이주 수요가 몰렸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치순(공인중개사) : "젊은 엄마들이 애들 교육시키려고 다들 여기로 들어오다 보니까 단지 내에 초중고가 다 좋다 보니까 그래서 더 전세가 딸리는 것 같아요."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강남과 서초, 강동구의 아파트 전셋값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은경(삼성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 "특히 재건축 이주 수요만 하더라도 서울시 기준으로 5만8천여 가구 정도 돼 작년보다 3배 정도 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전세가격이 크게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전세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서울 전세값은 지난주보다 0.16% 올랐고 수도권 전체로는 3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전세난 속에 일부 지역에서는 부녀회를 중심으로 가격 담합까지 이뤄지고 있습니다.
<녹취> 공인중개사(음성변조) : "가격을 조금 저렴하게 우리가 응한다든지 하면 왜 우리 아파트 이렇게 싸냐고, 가격 좀 올려달라고 노골적으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의 전세대란이 수도권까지 확산된 가운데 월세비중은 55%로 사상최대를 기록하면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은 급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