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비닐하우스촌 '농로실명제'…치안 해결
입력 2015.02.03 (07:42)
수정 2015.02.03 (0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비닐하우스가 들어찬 농촌 들녘에서는 위급한 상황이 일어날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은데요.
한 파출소에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긴 표지를 설치해 치안 걱정과 주민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를 받고 출동한 순찰차가 갑자기 농로 위에 멈춰섭니다.
사방이 비닐하우스로 둘러 싸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급기야 신고자에게 다시 전화를 겁니다.
<녹취> "예, 여보세요. 계신 데가 어디시죠?"
딸기와 감자를 재배하는 이 마을의 하우스만 2천 동이 넘습니다.
비닐하우스가 빽빽하게 들어선 농촌의 모습입니다.
모양이 비슷비슷하다보니, 따로 위치나 주소가 파악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녹취> 최회범(남원시 금지면) : "(예전에) 접촉 사고가 있었는데 112나 119에 신고를 했습니다. 그런데 (출동) 시간이 좀 지연되고..."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 파출소에서 직접 농로 표지를 만들어 설치했습니다.
비닐하우스와 연결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겨 노면에 새기고 전신주에 붙였습니다.
위급 상황이 일어날 경우 주민들이 표지를 보고 위치를 설명하면 경찰과 119구조대가 신속히 현장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신(경감/남원 금지파출소장) : "농로길 노면 표지를 하는 과정에서 직접 하다 보니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만 주민들이 환영하는 것을 보니까 보람도 느끼고 있습니다."
경찰이 고안한 이른바 '농로 실명제' 덕택에 치안 걱정 뿐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 불편까지 덜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비닐하우스가 들어찬 농촌 들녘에서는 위급한 상황이 일어날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은데요.
한 파출소에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긴 표지를 설치해 치안 걱정과 주민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를 받고 출동한 순찰차가 갑자기 농로 위에 멈춰섭니다.
사방이 비닐하우스로 둘러 싸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급기야 신고자에게 다시 전화를 겁니다.
<녹취> "예, 여보세요. 계신 데가 어디시죠?"
딸기와 감자를 재배하는 이 마을의 하우스만 2천 동이 넘습니다.
비닐하우스가 빽빽하게 들어선 농촌의 모습입니다.
모양이 비슷비슷하다보니, 따로 위치나 주소가 파악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녹취> 최회범(남원시 금지면) : "(예전에) 접촉 사고가 있었는데 112나 119에 신고를 했습니다. 그런데 (출동) 시간이 좀 지연되고..."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 파출소에서 직접 농로 표지를 만들어 설치했습니다.
비닐하우스와 연결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겨 노면에 새기고 전신주에 붙였습니다.
위급 상황이 일어날 경우 주민들이 표지를 보고 위치를 설명하면 경찰과 119구조대가 신속히 현장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신(경감/남원 금지파출소장) : "농로길 노면 표지를 하는 과정에서 직접 하다 보니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만 주민들이 환영하는 것을 보니까 보람도 느끼고 있습니다."
경찰이 고안한 이른바 '농로 실명제' 덕택에 치안 걱정 뿐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 불편까지 덜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규모 비닐하우스촌 '농로실명제'…치안 해결
-
- 입력 2015-02-03 07:54:32
- 수정2015-02-03 08:41:48

<앵커 멘트>
비닐하우스가 들어찬 농촌 들녘에서는 위급한 상황이 일어날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은데요.
한 파출소에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긴 표지를 설치해 치안 걱정과 주민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를 받고 출동한 순찰차가 갑자기 농로 위에 멈춰섭니다.
사방이 비닐하우스로 둘러 싸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급기야 신고자에게 다시 전화를 겁니다.
<녹취> "예, 여보세요. 계신 데가 어디시죠?"
딸기와 감자를 재배하는 이 마을의 하우스만 2천 동이 넘습니다.
비닐하우스가 빽빽하게 들어선 농촌의 모습입니다.
모양이 비슷비슷하다보니, 따로 위치나 주소가 파악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녹취> 최회범(남원시 금지면) : "(예전에) 접촉 사고가 있었는데 112나 119에 신고를 했습니다. 그런데 (출동) 시간이 좀 지연되고..."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 파출소에서 직접 농로 표지를 만들어 설치했습니다.
비닐하우스와 연결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겨 노면에 새기고 전신주에 붙였습니다.
위급 상황이 일어날 경우 주민들이 표지를 보고 위치를 설명하면 경찰과 119구조대가 신속히 현장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신(경감/남원 금지파출소장) : "농로길 노면 표지를 하는 과정에서 직접 하다 보니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만 주민들이 환영하는 것을 보니까 보람도 느끼고 있습니다."
경찰이 고안한 이른바 '농로 실명제' 덕택에 치안 걱정 뿐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 불편까지 덜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비닐하우스가 들어찬 농촌 들녘에서는 위급한 상황이 일어날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은데요.
한 파출소에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긴 표지를 설치해 치안 걱정과 주민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를 받고 출동한 순찰차가 갑자기 농로 위에 멈춰섭니다.
사방이 비닐하우스로 둘러 싸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급기야 신고자에게 다시 전화를 겁니다.
<녹취> "예, 여보세요. 계신 데가 어디시죠?"
딸기와 감자를 재배하는 이 마을의 하우스만 2천 동이 넘습니다.
비닐하우스가 빽빽하게 들어선 농촌의 모습입니다.
모양이 비슷비슷하다보니, 따로 위치나 주소가 파악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녹취> 최회범(남원시 금지면) : "(예전에) 접촉 사고가 있었는데 112나 119에 신고를 했습니다. 그런데 (출동) 시간이 좀 지연되고..."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 파출소에서 직접 농로 표지를 만들어 설치했습니다.
비닐하우스와 연결된 농로마다 이름과 번호를 매겨 노면에 새기고 전신주에 붙였습니다.
위급 상황이 일어날 경우 주민들이 표지를 보고 위치를 설명하면 경찰과 119구조대가 신속히 현장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신(경감/남원 금지파출소장) : "농로길 노면 표지를 하는 과정에서 직접 하다 보니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만 주민들이 환영하는 것을 보니까 보람도 느끼고 있습니다."
경찰이 고안한 이른바 '농로 실명제' 덕택에 치안 걱정 뿐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 불편까지 덜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
-
박웅 기자 ism@kbs.co.kr
박웅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