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수급’ 고비는 넘겼지만…주민 강력 반발

입력 2015.02.27 (21:12) 수정 2015.02.27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결정으로 정부는 노후원전의 수명을 연장해 원전비중을 높여간다는 에너지 정책을 일단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수명연장 논의가 나올 때마다 환경단체와 주민 반발 등의 진통이 되풀이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는 20년 뒤인 2035년의 전력 수요가 2011년보다 80%나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놓은 해법이 현재 26%인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29%까지 늘리겠다는 겁니다.

전력 1킬로와트 당 생산비가 원전이 LNG나 석유류 등 다른 연료보다 크게 저렴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오는 6월까지 수명 연장 여부를 결론내야 하는 고리1호기를 포함해, 10여년 안에 설계 수명이 끝나는 원전 11기 모두 수명 연장을 신청하는 것으로 전력 수급계획이 짜여져 있습니다.

하지만, 원전 인근 주민들의 반발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재가동이 결정된 월성1호기 주변에서는 오늘도 주민들의 반대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녹취> 지역주민 : "(원전을) 돌려서 다시 전기 생산하는 것만 생각하지 지역주민들이 고통스럽고, 어떻게 살아가는지, 위험을 느끼는지 그걸 몰라요."

지난 달 '계속운전' 결정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반드시 수렴하도록 법이 개정돼, 주민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녹취> 한수원 조석 사장 : "(수명 연장) 지역 주민과의 소통에 총력을 기울여서 지역 주민들이 납득할 만한 상생방안을 마련하도록 할 것이며..."

정부는 3년 뒤 중장기 에너지 정책을 다시 짤 예정입니다.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이나 원전 증설 과정에서 주민들과의 상생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원전 비중의 재조정이 불가피할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력 수급’ 고비는 넘겼지만…주민 강력 반발
    • 입력 2015-02-27 21:13:44
    • 수정2015-02-27 22:12:18
    뉴스 9
<앵커 멘트>

이번 결정으로 정부는 노후원전의 수명을 연장해 원전비중을 높여간다는 에너지 정책을 일단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수명연장 논의가 나올 때마다 환경단체와 주민 반발 등의 진통이 되풀이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는 20년 뒤인 2035년의 전력 수요가 2011년보다 80%나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놓은 해법이 현재 26%인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29%까지 늘리겠다는 겁니다.

전력 1킬로와트 당 생산비가 원전이 LNG나 석유류 등 다른 연료보다 크게 저렴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오는 6월까지 수명 연장 여부를 결론내야 하는 고리1호기를 포함해, 10여년 안에 설계 수명이 끝나는 원전 11기 모두 수명 연장을 신청하는 것으로 전력 수급계획이 짜여져 있습니다.

하지만, 원전 인근 주민들의 반발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재가동이 결정된 월성1호기 주변에서는 오늘도 주민들의 반대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녹취> 지역주민 : "(원전을) 돌려서 다시 전기 생산하는 것만 생각하지 지역주민들이 고통스럽고, 어떻게 살아가는지, 위험을 느끼는지 그걸 몰라요."

지난 달 '계속운전' 결정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반드시 수렴하도록 법이 개정돼, 주민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녹취> 한수원 조석 사장 : "(수명 연장) 지역 주민과의 소통에 총력을 기울여서 지역 주민들이 납득할 만한 상생방안을 마련하도록 할 것이며..."

정부는 3년 뒤 중장기 에너지 정책을 다시 짤 예정입니다.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이나 원전 증설 과정에서 주민들과의 상생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원전 비중의 재조정이 불가피할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