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예술가들 손끝으로 되살아난 ‘안중근 의사’

입력 2015.03.17 (21:45) 수정 2015.03.17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안중근 의사 순국 105주년을 맞아, 한국과 중국 예술가들이 안중근 의사를 주제로 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항일 투쟁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중국 예술가들은 안 의사는 국적을 떠나 우리 모두의 영웅이라며 그림과 글로 존경의 뜻을 표했습니다.

최광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하얼빈 역에 도착한 이토 히로부미에게 총알이 발사됩니다.

하얼빈에서 열린 안중근 의사의 뮤지컬엔 수천 명의 중국인들이 몰려들었습니다.

항일 투쟁의 경험을 공유한 중국인들의 손에서 안 의사가 되살아났습니다.

독립운동을 결의하며 스스로 잘라낸 손가락, 형형하게 빛나는 눈빛이 거친 붓놀림으로 표현됐습니다.

안 의사가 남겼던 말은 안 의사의 필체 그대로 재현됐습니다.

<인터뷰> 뤼쉬보(중국 화가) : "안중근 의사는 국적이 어디인지를 떠나 한국과 중국이 함께 공유하는 항일 영웅입니다."

이미 한 달 전, 하얼빈의 안중근 기념관에서 예술전을 진행했던 양국 예술가들.

이번에는 안 의사의 조국에서 안 의사를 주제로 탄생시킨 150여 점의 작품을 전시했습니다.

<인터뷰> 양재희(관객) : "애틋함이 녹아나는 것 같아요. 중국인들임에도 불구하고 안중근의사를 정말 사랑한 것 같고..."

한국의 청소년들도 안 의사를 기리는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인터뷰> 하정민(안중근문화예술전 조직위원장) : "안중근 의사를 오늘날 재탄생시키고 그걸 보면서 현대인들이 좋아할 수 있도록..."

105년 전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안 의사의 애국혼은 한.중 양국의 후손들에게 여전히 숨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예술가들 손끝으로 되살아난 ‘안중근 의사’
    • 입력 2015-03-17 21:46:23
    • 수정2015-03-17 22:09:57
    뉴스 9
<앵커 멘트>

안중근 의사 순국 105주년을 맞아, 한국과 중국 예술가들이 안중근 의사를 주제로 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항일 투쟁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중국 예술가들은 안 의사는 국적을 떠나 우리 모두의 영웅이라며 그림과 글로 존경의 뜻을 표했습니다.

최광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하얼빈 역에 도착한 이토 히로부미에게 총알이 발사됩니다.

하얼빈에서 열린 안중근 의사의 뮤지컬엔 수천 명의 중국인들이 몰려들었습니다.

항일 투쟁의 경험을 공유한 중국인들의 손에서 안 의사가 되살아났습니다.

독립운동을 결의하며 스스로 잘라낸 손가락, 형형하게 빛나는 눈빛이 거친 붓놀림으로 표현됐습니다.

안 의사가 남겼던 말은 안 의사의 필체 그대로 재현됐습니다.

<인터뷰> 뤼쉬보(중국 화가) : "안중근 의사는 국적이 어디인지를 떠나 한국과 중국이 함께 공유하는 항일 영웅입니다."

이미 한 달 전, 하얼빈의 안중근 기념관에서 예술전을 진행했던 양국 예술가들.

이번에는 안 의사의 조국에서 안 의사를 주제로 탄생시킨 150여 점의 작품을 전시했습니다.

<인터뷰> 양재희(관객) : "애틋함이 녹아나는 것 같아요. 중국인들임에도 불구하고 안중근의사를 정말 사랑한 것 같고..."

한국의 청소년들도 안 의사를 기리는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인터뷰> 하정민(안중근문화예술전 조직위원장) : "안중근 의사를 오늘날 재탄생시키고 그걸 보면서 현대인들이 좋아할 수 있도록..."

105년 전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안 의사의 애국혼은 한.중 양국의 후손들에게 여전히 숨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