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소형 폐전자기기 의무 회수”

입력 2015.03.19 (09:46) 수정 2015.03.19 (10: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휴대전화….

하나쯤 갖고 계신 분들, 많을 텐데요,

어디 처분할 곳이 마땅찮은 것이 사실입니다.

정부가 이렇게 A4 용지 크기 이하의 소형 폐전자기기를 제조사가 의무적으로 회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리포트>

전자기기 속에는 고 가치의 자원이 숨어 있습니다.

고장 난 스마트폰만 하더라도, 금이나 알루미늄, 구리 등 60가지에 이르는 유용한 자원이 들어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폐전자기기들이 책상 서랍 속에서 잠자고 있거나 일반 쓰레기에 섞여 버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헨드릭스(연방환경부장관) :" 현재 재활용하고 있는 폐전자기기는 1인당 9kg에 불과한데, 실제로 재활용할 수 있는 양은 23kg이나 됩니다."

현재 일부 제조사들이 자율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폐전자기기 회수 대책을 정부는 앞으로 의무화할 방침입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대형 제조사들은 25cm 이하의 폐전자기기를 회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고객이 해당 제품을 어디에서 샀는지는 상관없습니다.

이번 계획은 이르면 올해 안에 시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일 “소형 폐전자기기 의무 회수”
    • 입력 2015-03-19 10:07:44
    • 수정2015-03-19 10:57:09
    930뉴스
<앵커 멘트>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휴대전화….

하나쯤 갖고 계신 분들, 많을 텐데요,

어디 처분할 곳이 마땅찮은 것이 사실입니다.

정부가 이렇게 A4 용지 크기 이하의 소형 폐전자기기를 제조사가 의무적으로 회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리포트>

전자기기 속에는 고 가치의 자원이 숨어 있습니다.

고장 난 스마트폰만 하더라도, 금이나 알루미늄, 구리 등 60가지에 이르는 유용한 자원이 들어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폐전자기기들이 책상 서랍 속에서 잠자고 있거나 일반 쓰레기에 섞여 버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헨드릭스(연방환경부장관) :" 현재 재활용하고 있는 폐전자기기는 1인당 9kg에 불과한데, 실제로 재활용할 수 있는 양은 23kg이나 됩니다."

현재 일부 제조사들이 자율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폐전자기기 회수 대책을 정부는 앞으로 의무화할 방침입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대형 제조사들은 25cm 이하의 폐전자기기를 회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고객이 해당 제품을 어디에서 샀는지는 상관없습니다.

이번 계획은 이르면 올해 안에 시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