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탄약고 이전…도로 끊겨 마을 고립 ‘분통’

입력 2015.04.05 (21:23) 수정 2015.04.06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군 공군기지 옆에서 60년 이상 소음과 규제를 참고 살아온 마을 주민들이 이제 더 이상은 못 참겠다며 일어섰습니다.

4천 명이 사는 면 단위 마을이 고립될 지경까지 됐다는데요.

어떤 사정인지, 우한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요란한 소리를 내며 전투기가 날아 오릅니다.

강 건너 마을은 물론 근처 학교에 까지 굉음이 울려 퍼집니다.

이중 창문도 무용지물입니다.

<인터뷰> 최민혁(초등학교 5학년) : "비행기 소리가 구구구 막 그래서 시끄러워서 선생님 소리가 잘 안들려요."

마을에서 소음을 쟀더니, 100dB을 넘어갑니다.

록 콘서트장 수준.

여기에 이런저런 규제까지, 주민들은 60년 넘게 참고만 살았습니다.

<인터뷰> 차재헌(서탄면 주민) : "규제가 한 23개가 돼 있어요 지금. 고도제한 녹지..."

그런데 이번엔 국방부가 이 마을로 미군 탄약고 이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전 부지는 공교롭게 시내로 뻗은 도로 한가운데.

이 도로는 서탄면과 평택 도심을 잇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그런데 이 길이 끊기게 되면 주민들은 먼 길을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주민들은 격렬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미 공군기지 탓에 고립된 셈인데, 2020년 탄약고까지 들어서면, 유일한 도로마저 끊기게 돼 육지 속의 섬이 된다는 겁니다.

국방부는 우회 도로를 마련하겠다지만, 주민들은 기존 도로를 그대로 두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군 탄약고 이전…도로 끊겨 마을 고립 ‘분통’
    • 입력 2015-04-05 21:21:26
    • 수정2015-04-06 08:56:08
    뉴스 9
<앵커 멘트>

미군 공군기지 옆에서 60년 이상 소음과 규제를 참고 살아온 마을 주민들이 이제 더 이상은 못 참겠다며 일어섰습니다.

4천 명이 사는 면 단위 마을이 고립될 지경까지 됐다는데요.

어떤 사정인지, 우한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요란한 소리를 내며 전투기가 날아 오릅니다.

강 건너 마을은 물론 근처 학교에 까지 굉음이 울려 퍼집니다.

이중 창문도 무용지물입니다.

<인터뷰> 최민혁(초등학교 5학년) : "비행기 소리가 구구구 막 그래서 시끄러워서 선생님 소리가 잘 안들려요."

마을에서 소음을 쟀더니, 100dB을 넘어갑니다.

록 콘서트장 수준.

여기에 이런저런 규제까지, 주민들은 60년 넘게 참고만 살았습니다.

<인터뷰> 차재헌(서탄면 주민) : "규제가 한 23개가 돼 있어요 지금. 고도제한 녹지..."

그런데 이번엔 국방부가 이 마을로 미군 탄약고 이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전 부지는 공교롭게 시내로 뻗은 도로 한가운데.

이 도로는 서탄면과 평택 도심을 잇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그런데 이 길이 끊기게 되면 주민들은 먼 길을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주민들은 격렬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미 공군기지 탓에 고립된 셈인데, 2020년 탄약고까지 들어서면, 유일한 도로마저 끊기게 돼 육지 속의 섬이 된다는 겁니다.

국방부는 우회 도로를 마련하겠다지만, 주민들은 기존 도로를 그대로 두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