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무기 국산화 앞당긴다

입력 2002.03.2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산 첨단무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무기개발 예산이 대폭 늘어납니다.
국방부의 올해 정책 방향을 최문호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다가올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첨단무기들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가격이 워낙 비쌉니다.
우리 기술로 개발하고 싶어도 현재 수준의 무기개발비로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무기개발비는 전체 국방예산 가운데 4.5%인 6915억원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국방부는 첨단무기 독자 개발능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보고 무기개발비를 늘려 오는 2015년까지는 국방 예산 가운데 10%인 3조 6000억원까지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국방부는 또 국가적 대사인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특히 경기장이 있는 지역은 지역 사단장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테러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김대중 대통령도 오늘 국방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월드컵의 안전개최를 위해 군이 큰 역할을 해 주기를 당부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 안전이 첫째 문제입니다.
그래서 경찰과 또 기타 소방대원들이라든지 협력해서 하지만 군이 큰 역할을 해 주기를 바랍니다.
⊙기자: 국방부는 또 입대 대상자들이 적성과 특기를 살려 원하는 시기에 입대할 수 있도록 현역병 가운데 특기병 비율을 현재 14%에서 50%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럴 경우 연간 15만명이 운전병과 전산병 등 모두 237개 분야에서 원하는 군복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최문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첨단무기 국산화 앞당긴다
    • 입력 2002-03-2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한국산 첨단무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무기개발 예산이 대폭 늘어납니다. 국방부의 올해 정책 방향을 최문호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다가올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첨단무기들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가격이 워낙 비쌉니다. 우리 기술로 개발하고 싶어도 현재 수준의 무기개발비로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무기개발비는 전체 국방예산 가운데 4.5%인 6915억원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국방부는 첨단무기 독자 개발능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보고 무기개발비를 늘려 오는 2015년까지는 국방 예산 가운데 10%인 3조 6000억원까지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국방부는 또 국가적 대사인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특히 경기장이 있는 지역은 지역 사단장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테러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김대중 대통령도 오늘 국방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월드컵의 안전개최를 위해 군이 큰 역할을 해 주기를 당부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 안전이 첫째 문제입니다. 그래서 경찰과 또 기타 소방대원들이라든지 협력해서 하지만 군이 큰 역할을 해 주기를 바랍니다. ⊙기자: 국방부는 또 입대 대상자들이 적성과 특기를 살려 원하는 시기에 입대할 수 있도록 현역병 가운데 특기병 비율을 현재 14%에서 50%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럴 경우 연간 15만명이 운전병과 전산병 등 모두 237개 분야에서 원하는 군복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최문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