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잇단 위협’ 靑 긴급 NSC 소집…“철저히 응징”

입력 2015.05.09 (21:02) 수정 2015.05.09 (2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잇따른 북한 도발에 청와대는 NSC 상임위를 긴급 소집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군 당국은 잠수함 발사 미사일이 아직은 초기 단계로 보인다면서도, 도발에는 강력히 대응하겠단 의지를 밝혔습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와대는 오늘 오후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긴급 소집했습니다.

외교안보 부처 장관들이 모두 참석한 회의에서는 북한이 연이틀 협박성 전통문을 보내 조준타격을 위협하고 잠수함 발사 미사일 실험을 공개하는 등 도발한 의도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최윤희 합참의장은 해군 2함대를 찾아 북한이 도발하면 도발원점과 지원세력까지 응징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최윤희(합참의장) : "해군은 물론이고 육해공군의 막강한 전력이 전부 여러분을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에 두려움을 갖지 말고 부여된 임무를..."

군 당국은 북한 잠수함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수면 위 100미터 정도 날아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미사일을 물 밖으로 솟아오르게 하는 초기 단계 사출실험으로 본격적인 비행실험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이 때문에 전력화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북한이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을 실전배치하게 되면 우리 군은 킬체인과 KAMD 등 북핵과 대잠수함 전력을 전면 재검토해야합니다.

우리 군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은 2020년대 중반에나 가능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잇단 위협’ 靑 긴급 NSC 소집…“철저히 응징”
    • 입력 2015-05-09 21:03:14
    • 수정2015-05-09 23:00:36
    뉴스 9
<앵커 멘트>

잇따른 북한 도발에 청와대는 NSC 상임위를 긴급 소집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군 당국은 잠수함 발사 미사일이 아직은 초기 단계로 보인다면서도, 도발에는 강력히 대응하겠단 의지를 밝혔습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와대는 오늘 오후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긴급 소집했습니다.

외교안보 부처 장관들이 모두 참석한 회의에서는 북한이 연이틀 협박성 전통문을 보내 조준타격을 위협하고 잠수함 발사 미사일 실험을 공개하는 등 도발한 의도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최윤희 합참의장은 해군 2함대를 찾아 북한이 도발하면 도발원점과 지원세력까지 응징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최윤희(합참의장) : "해군은 물론이고 육해공군의 막강한 전력이 전부 여러분을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에 두려움을 갖지 말고 부여된 임무를..."

군 당국은 북한 잠수함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수면 위 100미터 정도 날아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미사일을 물 밖으로 솟아오르게 하는 초기 단계 사출실험으로 본격적인 비행실험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이 때문에 전력화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북한이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을 실전배치하게 되면 우리 군은 킬체인과 KAMD 등 북핵과 대잠수함 전력을 전면 재검토해야합니다.

우리 군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은 2020년대 중반에나 가능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