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 기자 꿀! 정보] 안 쓰는 ‘웹사이트’ 간편 탈퇴법!
입력 2015.06.04 (08:43)
수정 2015.06.04 (0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인터넷 사이트, 한번 필요할 때 아쉬워서 가입해 놓고 다시는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많으시죠?
주민등록번호랑 개인정보 다 넣고 가입했는데, 어떤 사이트였는지 생각나지 않아서 괜히 찜찜한 기분이 드는데요.
여러 사이트들을 모아 한번에 편리하게 탈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 따라해보세요.
우리 생활에서 필수 요소가 된 인터넷.
그러나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회원가입을 해야 이용 가능한 사이트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이민형(서울시 구로구) : “회원 가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입은 하지만 전부 다 기억은 못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혜원(서울시 영등포구) : “자주 가는 사이트만 기억하고 자주 안 가는 사이트는 기억 못 하고 있어요.”
가입하고 깜빡 잊고 지내는 사이트도 많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개인정보가 도용돼 가입된 사이트도 있을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개인 정보가 다량으로 유출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한 번에 탈퇴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 기억하세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클린센터는 도용이 의심되거나 오랫동안 방치한 웹사이트를 정리 또는 탈퇴하도록 지원해서 개인정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 그럼 방법 알려드릴게요.
첫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휴대전화나 아이핀,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하면 웹사이트 갯수가 죽 나옵니다.
참고로, 2006년 이전의 개인정보는 이미 다 폐기됐고요.
지난해부터는 주민등록번호 인증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사이 기간에 가입한 것들이 해당됩니다.
탈퇴 신청 목록에서 어떤 사이트인지 확인하시고요.
간혹 탈퇴 불가인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 직접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서 탈퇴 신청을 해야만 가능합니다.
탈퇴하고 싶은 사이트를 선택한 후 탈퇴 목록 추가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만약 당시의 아이디가 기억나지 않는다면 그냥 ‘모름’이라고 적은 뒤 탈퇴 요청하기를 눌러도 됩니다.
제법 간단하죠? 그런데 바로 탈퇴가 되는 건가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탈퇴 신청부터 결과 통보까지 약 2~3주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러나 해당 웹사이트의 운영 상황이나 혹은 탈퇴 정책에 따라서 최대 6개월 정도 소요되기도 합니다.”
하나하나 탈퇴하기 번거로워서 모르는 척하고 있었든 안 쓰는 사이트들, 이번 기회에 말끔히 정리해보세요.
인터넷 사이트, 한번 필요할 때 아쉬워서 가입해 놓고 다시는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많으시죠?
주민등록번호랑 개인정보 다 넣고 가입했는데, 어떤 사이트였는지 생각나지 않아서 괜히 찜찜한 기분이 드는데요.
여러 사이트들을 모아 한번에 편리하게 탈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 따라해보세요.
우리 생활에서 필수 요소가 된 인터넷.
그러나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회원가입을 해야 이용 가능한 사이트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이민형(서울시 구로구) : “회원 가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입은 하지만 전부 다 기억은 못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혜원(서울시 영등포구) : “자주 가는 사이트만 기억하고 자주 안 가는 사이트는 기억 못 하고 있어요.”
가입하고 깜빡 잊고 지내는 사이트도 많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개인정보가 도용돼 가입된 사이트도 있을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개인 정보가 다량으로 유출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한 번에 탈퇴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 기억하세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클린센터는 도용이 의심되거나 오랫동안 방치한 웹사이트를 정리 또는 탈퇴하도록 지원해서 개인정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 그럼 방법 알려드릴게요.
첫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휴대전화나 아이핀,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하면 웹사이트 갯수가 죽 나옵니다.
참고로, 2006년 이전의 개인정보는 이미 다 폐기됐고요.
지난해부터는 주민등록번호 인증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사이 기간에 가입한 것들이 해당됩니다.
탈퇴 신청 목록에서 어떤 사이트인지 확인하시고요.
간혹 탈퇴 불가인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 직접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서 탈퇴 신청을 해야만 가능합니다.
탈퇴하고 싶은 사이트를 선택한 후 탈퇴 목록 추가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만약 당시의 아이디가 기억나지 않는다면 그냥 ‘모름’이라고 적은 뒤 탈퇴 요청하기를 눌러도 됩니다.
제법 간단하죠? 그런데 바로 탈퇴가 되는 건가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탈퇴 신청부터 결과 통보까지 약 2~3주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러나 해당 웹사이트의 운영 상황이나 혹은 탈퇴 정책에 따라서 최대 6개월 정도 소요되기도 합니다.”
하나하나 탈퇴하기 번거로워서 모르는 척하고 있었든 안 쓰는 사이트들, 이번 기회에 말끔히 정리해보세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똑! 기자 꿀! 정보] 안 쓰는 ‘웹사이트’ 간편 탈퇴법!
-
- 입력 2015-06-04 08:45:42
- 수정2015-06-04 09:19:00

<기자 멘트>
인터넷 사이트, 한번 필요할 때 아쉬워서 가입해 놓고 다시는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많으시죠?
주민등록번호랑 개인정보 다 넣고 가입했는데, 어떤 사이트였는지 생각나지 않아서 괜히 찜찜한 기분이 드는데요.
여러 사이트들을 모아 한번에 편리하게 탈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 따라해보세요.
우리 생활에서 필수 요소가 된 인터넷.
그러나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회원가입을 해야 이용 가능한 사이트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이민형(서울시 구로구) : “회원 가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입은 하지만 전부 다 기억은 못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혜원(서울시 영등포구) : “자주 가는 사이트만 기억하고 자주 안 가는 사이트는 기억 못 하고 있어요.”
가입하고 깜빡 잊고 지내는 사이트도 많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개인정보가 도용돼 가입된 사이트도 있을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개인 정보가 다량으로 유출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한 번에 탈퇴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 기억하세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클린센터는 도용이 의심되거나 오랫동안 방치한 웹사이트를 정리 또는 탈퇴하도록 지원해서 개인정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 그럼 방법 알려드릴게요.
첫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휴대전화나 아이핀,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하면 웹사이트 갯수가 죽 나옵니다.
참고로, 2006년 이전의 개인정보는 이미 다 폐기됐고요.
지난해부터는 주민등록번호 인증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사이 기간에 가입한 것들이 해당됩니다.
탈퇴 신청 목록에서 어떤 사이트인지 확인하시고요.
간혹 탈퇴 불가인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 직접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서 탈퇴 신청을 해야만 가능합니다.
탈퇴하고 싶은 사이트를 선택한 후 탈퇴 목록 추가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만약 당시의 아이디가 기억나지 않는다면 그냥 ‘모름’이라고 적은 뒤 탈퇴 요청하기를 눌러도 됩니다.
제법 간단하죠? 그런데 바로 탈퇴가 되는 건가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탈퇴 신청부터 결과 통보까지 약 2~3주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러나 해당 웹사이트의 운영 상황이나 혹은 탈퇴 정책에 따라서 최대 6개월 정도 소요되기도 합니다.”
하나하나 탈퇴하기 번거로워서 모르는 척하고 있었든 안 쓰는 사이트들, 이번 기회에 말끔히 정리해보세요.
인터넷 사이트, 한번 필요할 때 아쉬워서 가입해 놓고 다시는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많으시죠?
주민등록번호랑 개인정보 다 넣고 가입했는데, 어떤 사이트였는지 생각나지 않아서 괜히 찜찜한 기분이 드는데요.
여러 사이트들을 모아 한번에 편리하게 탈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 따라해보세요.
우리 생활에서 필수 요소가 된 인터넷.
그러나 단순한 정보 검색을 넘어 회원가입을 해야 이용 가능한 사이트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이민형(서울시 구로구) : “회원 가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입은 하지만 전부 다 기억은 못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혜원(서울시 영등포구) : “자주 가는 사이트만 기억하고 자주 안 가는 사이트는 기억 못 하고 있어요.”
가입하고 깜빡 잊고 지내는 사이트도 많지만,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개인정보가 도용돼 가입된 사이트도 있을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개인 정보가 다량으로 유출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한 번에 탈퇴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 기억하세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클린센터는 도용이 의심되거나 오랫동안 방치한 웹사이트를 정리 또는 탈퇴하도록 지원해서 개인정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 그럼 방법 알려드릴게요.
첫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휴대전화나 아이핀, 공인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하면 웹사이트 갯수가 죽 나옵니다.
참고로, 2006년 이전의 개인정보는 이미 다 폐기됐고요.
지난해부터는 주민등록번호 인증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사이 기간에 가입한 것들이 해당됩니다.
탈퇴 신청 목록에서 어떤 사이트인지 확인하시고요.
간혹 탈퇴 불가인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 직접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서 탈퇴 신청을 해야만 가능합니다.
탈퇴하고 싶은 사이트를 선택한 후 탈퇴 목록 추가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만약 당시의 아이디가 기억나지 않는다면 그냥 ‘모름’이라고 적은 뒤 탈퇴 요청하기를 눌러도 됩니다.
제법 간단하죠? 그런데 바로 탈퇴가 되는 건가요?
<인터뷰> 박정섭(한국인터넷진흥원 안전정책팀) : “탈퇴 신청부터 결과 통보까지 약 2~3주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러나 해당 웹사이트의 운영 상황이나 혹은 탈퇴 정책에 따라서 최대 6개월 정도 소요되기도 합니다.”
하나하나 탈퇴하기 번거로워서 모르는 척하고 있었든 안 쓰는 사이트들, 이번 기회에 말끔히 정리해보세요.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