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 기자 꿀! 정보] 천장 높으면 자녀들 창의력도 ‘쑥’
입력 2015.06.04 (08:38)
수정 2015.06.04 (0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같은 사람들이 성공한 이유가 뭘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창의력을 꼽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자녀들의 창의력을 높이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모은희 기자, 창의력과 관련해서 재밌는 연구 결과가 있다면서요?
<리포트>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이나 일반적인 사무실의 천장 높이 아세요?
대부분 2.3m 정도 되는데요.
이 천장의 높이가 30㎝씩 높아질 때마다 창의력도 2배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합니다.
창의력이 주목받는 이 시대에 솔깃한 얘기가 아닐 수 없는데요.
그렇다면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 당장 천장이 높은 건물에서 일하고 공부하면 좋을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세계 유수의 명문대 도서관들은 천장이 높고 확 트여 있는데요.
천장 높이와 창의력이 밀접한 관련이 있답니다.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사람들은 공간이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낮은 천장에서는 우리가 공간을 좁게 해석하는 반면 천장이 높으면 우리는 훨씬 더 넓게 공간을 해석하고 사고를 확장합니다.”
천장의 높이와 창의력의 관계를 보여준 것은 미국의 조너스 소크 박사인데요.
천장이 높은 성당에서 소아마비 백신 개발의 실마리를 찾은 소크 박사는 높은 천장일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연구소를 세울 때 보통의 천장 높이보다 70센티미터를 높여서 3미터로 지었는데요.
정말 천장이 높아서였을까요?
소크 연구소는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5명이나 배출했습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의 조안 마이어스 레비 교수팀에서도 천장의 높이가 인지사고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는데요.
진짜 그런지 간략하게 확인해볼게요.
창의력 프로그램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7살 어린이들이 여기 모였습니다.
천장의 높이가 3.1미터인 교실과 2.4미터인 교실에 각각 10명의 아이들을 두 모둠으로 나눈 뒤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유아 창의력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도형 창의성 검사를 해봤습니다.
<녹취> “여기 나와 있는 눈사람 말고 다른 것을 그려보는 거예요. 재미있는 그림을 그려보세요.”
정해진 시간 동안 S자를 다양하게 해석하는 동일한 문제를 풀도록 했습니다. 창의력이 필요하겠죠.
공간이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 결과가 궁금한데요.
채점 결과, 천장이 높은 쪽 실험군의 점수가 예상대로 높았습니다. 평균 8점이나 차이가 나네요.
<인터뷰> 전경원(‘ㅎ’ 창의성 연구소 상상력 전문가) : “천장이 높은 곳에 있던 유아들이 창의적인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습니다. 창의적인 양과 질에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천장이 낮은 곳에 있던 유아들은 창의력보다는 집중력이 상당히 뛰어난 것으로 보였습니다.”
높은 천장 아래서 문제를 푼 아이들은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도형을 해석했지만, 낮은 천장 쪽 아이들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꼼꼼하게 문제를 푸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공간이 갖고 있는 힘이 크다는 얘기인데요.
그런데 집의 천장을 높일 수는 없잖아요.
천장의 높이는 것 외에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강제로 무언가를 채우려고 하기보다 공백의 상태로 내버려 둘 때 훨씬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고 두 번째로 환경의 색깔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벽지나 배경색을 파란색으로 하면 주파수가 낮아져서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므로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훨씬 좋습니다.”
집중력 향상을 위해서는 낮고 좁은 곳,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는 높고 넓은 곳, 기억하셨죠?
상황에 맞게 공간을 연출해 보세요.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같은 사람들이 성공한 이유가 뭘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창의력을 꼽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자녀들의 창의력을 높이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모은희 기자, 창의력과 관련해서 재밌는 연구 결과가 있다면서요?
<리포트>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이나 일반적인 사무실의 천장 높이 아세요?
대부분 2.3m 정도 되는데요.
이 천장의 높이가 30㎝씩 높아질 때마다 창의력도 2배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합니다.
창의력이 주목받는 이 시대에 솔깃한 얘기가 아닐 수 없는데요.
그렇다면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 당장 천장이 높은 건물에서 일하고 공부하면 좋을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세계 유수의 명문대 도서관들은 천장이 높고 확 트여 있는데요.
천장 높이와 창의력이 밀접한 관련이 있답니다.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사람들은 공간이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낮은 천장에서는 우리가 공간을 좁게 해석하는 반면 천장이 높으면 우리는 훨씬 더 넓게 공간을 해석하고 사고를 확장합니다.”
천장의 높이와 창의력의 관계를 보여준 것은 미국의 조너스 소크 박사인데요.
천장이 높은 성당에서 소아마비 백신 개발의 실마리를 찾은 소크 박사는 높은 천장일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연구소를 세울 때 보통의 천장 높이보다 70센티미터를 높여서 3미터로 지었는데요.
정말 천장이 높아서였을까요?
소크 연구소는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5명이나 배출했습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의 조안 마이어스 레비 교수팀에서도 천장의 높이가 인지사고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는데요.
진짜 그런지 간략하게 확인해볼게요.
창의력 프로그램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7살 어린이들이 여기 모였습니다.
천장의 높이가 3.1미터인 교실과 2.4미터인 교실에 각각 10명의 아이들을 두 모둠으로 나눈 뒤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유아 창의력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도형 창의성 검사를 해봤습니다.
<녹취> “여기 나와 있는 눈사람 말고 다른 것을 그려보는 거예요. 재미있는 그림을 그려보세요.”
정해진 시간 동안 S자를 다양하게 해석하는 동일한 문제를 풀도록 했습니다. 창의력이 필요하겠죠.
공간이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 결과가 궁금한데요.
채점 결과, 천장이 높은 쪽 실험군의 점수가 예상대로 높았습니다. 평균 8점이나 차이가 나네요.
<인터뷰> 전경원(‘ㅎ’ 창의성 연구소 상상력 전문가) : “천장이 높은 곳에 있던 유아들이 창의적인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습니다. 창의적인 양과 질에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천장이 낮은 곳에 있던 유아들은 창의력보다는 집중력이 상당히 뛰어난 것으로 보였습니다.”
높은 천장 아래서 문제를 푼 아이들은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도형을 해석했지만, 낮은 천장 쪽 아이들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꼼꼼하게 문제를 푸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공간이 갖고 있는 힘이 크다는 얘기인데요.
그런데 집의 천장을 높일 수는 없잖아요.
천장의 높이는 것 외에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강제로 무언가를 채우려고 하기보다 공백의 상태로 내버려 둘 때 훨씬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고 두 번째로 환경의 색깔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벽지나 배경색을 파란색으로 하면 주파수가 낮아져서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므로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훨씬 좋습니다.”
집중력 향상을 위해서는 낮고 좁은 곳,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는 높고 넓은 곳, 기억하셨죠?
상황에 맞게 공간을 연출해 보세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똑! 기자 꿀! 정보] 천장 높으면 자녀들 창의력도 ‘쑥’
-
- 입력 2015-06-04 08:43:34
- 수정2015-06-04 09:19:00

<앵커 멘트>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같은 사람들이 성공한 이유가 뭘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창의력을 꼽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자녀들의 창의력을 높이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모은희 기자, 창의력과 관련해서 재밌는 연구 결과가 있다면서요?
<리포트>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이나 일반적인 사무실의 천장 높이 아세요?
대부분 2.3m 정도 되는데요.
이 천장의 높이가 30㎝씩 높아질 때마다 창의력도 2배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합니다.
창의력이 주목받는 이 시대에 솔깃한 얘기가 아닐 수 없는데요.
그렇다면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 당장 천장이 높은 건물에서 일하고 공부하면 좋을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세계 유수의 명문대 도서관들은 천장이 높고 확 트여 있는데요.
천장 높이와 창의력이 밀접한 관련이 있답니다.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사람들은 공간이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낮은 천장에서는 우리가 공간을 좁게 해석하는 반면 천장이 높으면 우리는 훨씬 더 넓게 공간을 해석하고 사고를 확장합니다.”
천장의 높이와 창의력의 관계를 보여준 것은 미국의 조너스 소크 박사인데요.
천장이 높은 성당에서 소아마비 백신 개발의 실마리를 찾은 소크 박사는 높은 천장일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연구소를 세울 때 보통의 천장 높이보다 70센티미터를 높여서 3미터로 지었는데요.
정말 천장이 높아서였을까요?
소크 연구소는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5명이나 배출했습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의 조안 마이어스 레비 교수팀에서도 천장의 높이가 인지사고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는데요.
진짜 그런지 간략하게 확인해볼게요.
창의력 프로그램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7살 어린이들이 여기 모였습니다.
천장의 높이가 3.1미터인 교실과 2.4미터인 교실에 각각 10명의 아이들을 두 모둠으로 나눈 뒤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유아 창의력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도형 창의성 검사를 해봤습니다.
<녹취> “여기 나와 있는 눈사람 말고 다른 것을 그려보는 거예요. 재미있는 그림을 그려보세요.”
정해진 시간 동안 S자를 다양하게 해석하는 동일한 문제를 풀도록 했습니다. 창의력이 필요하겠죠.
공간이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 결과가 궁금한데요.
채점 결과, 천장이 높은 쪽 실험군의 점수가 예상대로 높았습니다. 평균 8점이나 차이가 나네요.
<인터뷰> 전경원(‘ㅎ’ 창의성 연구소 상상력 전문가) : “천장이 높은 곳에 있던 유아들이 창의적인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습니다. 창의적인 양과 질에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천장이 낮은 곳에 있던 유아들은 창의력보다는 집중력이 상당히 뛰어난 것으로 보였습니다.”
높은 천장 아래서 문제를 푼 아이들은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도형을 해석했지만, 낮은 천장 쪽 아이들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꼼꼼하게 문제를 푸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공간이 갖고 있는 힘이 크다는 얘기인데요.
그런데 집의 천장을 높일 수는 없잖아요.
천장의 높이는 것 외에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강제로 무언가를 채우려고 하기보다 공백의 상태로 내버려 둘 때 훨씬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고 두 번째로 환경의 색깔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벽지나 배경색을 파란색으로 하면 주파수가 낮아져서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므로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훨씬 좋습니다.”
집중력 향상을 위해서는 낮고 좁은 곳,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는 높고 넓은 곳, 기억하셨죠?
상황에 맞게 공간을 연출해 보세요.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같은 사람들이 성공한 이유가 뭘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창의력을 꼽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자녀들의 창의력을 높이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모은희 기자, 창의력과 관련해서 재밌는 연구 결과가 있다면서요?
<리포트>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이나 일반적인 사무실의 천장 높이 아세요?
대부분 2.3m 정도 되는데요.
이 천장의 높이가 30㎝씩 높아질 때마다 창의력도 2배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합니다.
창의력이 주목받는 이 시대에 솔깃한 얘기가 아닐 수 없는데요.
그렇다면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 당장 천장이 높은 건물에서 일하고 공부하면 좋을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세계 유수의 명문대 도서관들은 천장이 높고 확 트여 있는데요.
천장 높이와 창의력이 밀접한 관련이 있답니다.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사람들은 공간이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낮은 천장에서는 우리가 공간을 좁게 해석하는 반면 천장이 높으면 우리는 훨씬 더 넓게 공간을 해석하고 사고를 확장합니다.”
천장의 높이와 창의력의 관계를 보여준 것은 미국의 조너스 소크 박사인데요.
천장이 높은 성당에서 소아마비 백신 개발의 실마리를 찾은 소크 박사는 높은 천장일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연구소를 세울 때 보통의 천장 높이보다 70센티미터를 높여서 3미터로 지었는데요.
정말 천장이 높아서였을까요?
소크 연구소는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5명이나 배출했습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의 조안 마이어스 레비 교수팀에서도 천장의 높이가 인지사고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는데요.
진짜 그런지 간략하게 확인해볼게요.
창의력 프로그램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7살 어린이들이 여기 모였습니다.
천장의 높이가 3.1미터인 교실과 2.4미터인 교실에 각각 10명의 아이들을 두 모둠으로 나눈 뒤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유아 창의력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도형 창의성 검사를 해봤습니다.
<녹취> “여기 나와 있는 눈사람 말고 다른 것을 그려보는 거예요. 재미있는 그림을 그려보세요.”
정해진 시간 동안 S자를 다양하게 해석하는 동일한 문제를 풀도록 했습니다. 창의력이 필요하겠죠.
공간이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 결과가 궁금한데요.
채점 결과, 천장이 높은 쪽 실험군의 점수가 예상대로 높았습니다. 평균 8점이나 차이가 나네요.
<인터뷰> 전경원(‘ㅎ’ 창의성 연구소 상상력 전문가) : “천장이 높은 곳에 있던 유아들이 창의적인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습니다. 창의적인 양과 질에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천장이 낮은 곳에 있던 유아들은 창의력보다는 집중력이 상당히 뛰어난 것으로 보였습니다.”
높은 천장 아래서 문제를 푼 아이들은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도형을 해석했지만, 낮은 천장 쪽 아이들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고 꼼꼼하게 문제를 푸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공간이 갖고 있는 힘이 크다는 얘기인데요.
그런데 집의 천장을 높일 수는 없잖아요.
천장의 높이는 것 외에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인터뷰> 김정곤(건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강제로 무언가를 채우려고 하기보다 공백의 상태로 내버려 둘 때 훨씬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고 두 번째로 환경의 색깔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벽지나 배경색을 파란색으로 하면 주파수가 낮아져서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므로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훨씬 좋습니다.”
집중력 향상을 위해서는 낮고 좁은 곳, 창의력 향상을 위해서는 높고 넓은 곳, 기억하셨죠?
상황에 맞게 공간을 연출해 보세요.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