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난민의 날’ 생사기로에 선 예멘 난민촌 가다
입력 2015.06.20 (21:20)
수정 2015.06.20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난민의 날' 입니다.
내전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난민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그 중 예멘 난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복창현 특파원이 아프리카 북동부 지부티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전으로 끊이지 않는 총성과 포격 소리.
살기 위해 고향을 등진 예멘 난민 행렬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건너 예멘과 불과 60㎞ 가량 떨어진 아프리카 북동부의 지부티.
항구에서 차로 20여 분 달리면 사막 한 가운데 예멘 난민촌이 나타납니다.
섭씨 40도를 넘는 뙤약볕에다 모래바람을 천막 하나로 견뎌내고 있습니다.
<녹취> 하난 사예브(예멘 난민) : "밤에는 벌레들이 많아요. 때로는 뱀과 하이에나도 나타나 무섭습니다."
전기도 없고 구호 식량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합니다.
무엇보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걱정입니다.
<녹취> 모하마드 유니스(예멘 난민) : "얼마 전 9달 된 어린 아이가 숨졌어요. 여기에서 지급되는 약은 진통제 정돕니다.이젠 지칩니다."
지부티 언제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이곳에 정착한 예멘 난민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텨내고 있습니다.
난민 촌을 떠나 도시로 나온 난민들도 많지만 막상 일자리가 없어 생계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녹취> 자말 이브라힘(예멘 난민) : "채소와 생선 고기를 살 돈이 없습니다."
내전을 피해 예멘을 떠난 난민들은 백만 명, 목숨은 건졌지만 생계난으로 또다시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습니다.
지부티에서 KBS 뉴스 복창현입니다.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난민의 날' 입니다.
내전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난민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그 중 예멘 난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복창현 특파원이 아프리카 북동부 지부티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전으로 끊이지 않는 총성과 포격 소리.
살기 위해 고향을 등진 예멘 난민 행렬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건너 예멘과 불과 60㎞ 가량 떨어진 아프리카 북동부의 지부티.
항구에서 차로 20여 분 달리면 사막 한 가운데 예멘 난민촌이 나타납니다.
섭씨 40도를 넘는 뙤약볕에다 모래바람을 천막 하나로 견뎌내고 있습니다.
<녹취> 하난 사예브(예멘 난민) : "밤에는 벌레들이 많아요. 때로는 뱀과 하이에나도 나타나 무섭습니다."
전기도 없고 구호 식량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합니다.
무엇보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걱정입니다.
<녹취> 모하마드 유니스(예멘 난민) : "얼마 전 9달 된 어린 아이가 숨졌어요. 여기에서 지급되는 약은 진통제 정돕니다.이젠 지칩니다."
지부티 언제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이곳에 정착한 예멘 난민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텨내고 있습니다.
난민 촌을 떠나 도시로 나온 난민들도 많지만 막상 일자리가 없어 생계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녹취> 자말 이브라힘(예멘 난민) : "채소와 생선 고기를 살 돈이 없습니다."
내전을 피해 예멘을 떠난 난민들은 백만 명, 목숨은 건졌지만 생계난으로 또다시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습니다.
지부티에서 KBS 뉴스 복창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 난민의 날’ 생사기로에 선 예멘 난민촌 가다
-
- 입력 2015-06-20 21:22:21
- 수정2015-06-20 22:00:28

<앵커 멘트>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난민의 날' 입니다.
내전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난민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그 중 예멘 난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복창현 특파원이 아프리카 북동부 지부티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전으로 끊이지 않는 총성과 포격 소리.
살기 위해 고향을 등진 예멘 난민 행렬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건너 예멘과 불과 60㎞ 가량 떨어진 아프리카 북동부의 지부티.
항구에서 차로 20여 분 달리면 사막 한 가운데 예멘 난민촌이 나타납니다.
섭씨 40도를 넘는 뙤약볕에다 모래바람을 천막 하나로 견뎌내고 있습니다.
<녹취> 하난 사예브(예멘 난민) : "밤에는 벌레들이 많아요. 때로는 뱀과 하이에나도 나타나 무섭습니다."
전기도 없고 구호 식량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합니다.
무엇보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걱정입니다.
<녹취> 모하마드 유니스(예멘 난민) : "얼마 전 9달 된 어린 아이가 숨졌어요. 여기에서 지급되는 약은 진통제 정돕니다.이젠 지칩니다."
지부티 언제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이곳에 정착한 예멘 난민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텨내고 있습니다.
난민 촌을 떠나 도시로 나온 난민들도 많지만 막상 일자리가 없어 생계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녹취> 자말 이브라힘(예멘 난민) : "채소와 생선 고기를 살 돈이 없습니다."
내전을 피해 예멘을 떠난 난민들은 백만 명, 목숨은 건졌지만 생계난으로 또다시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습니다.
지부티에서 KBS 뉴스 복창현입니다.
오늘은 유엔이 정한 '세계 난민의 날' 입니다.
내전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난민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그 중 예멘 난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복창현 특파원이 아프리카 북동부 지부티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전으로 끊이지 않는 총성과 포격 소리.
살기 위해 고향을 등진 예멘 난민 행렬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건너 예멘과 불과 60㎞ 가량 떨어진 아프리카 북동부의 지부티.
항구에서 차로 20여 분 달리면 사막 한 가운데 예멘 난민촌이 나타납니다.
섭씨 40도를 넘는 뙤약볕에다 모래바람을 천막 하나로 견뎌내고 있습니다.
<녹취> 하난 사예브(예멘 난민) : "밤에는 벌레들이 많아요. 때로는 뱀과 하이에나도 나타나 무섭습니다."
전기도 없고 구호 식량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합니다.
무엇보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걱정입니다.
<녹취> 모하마드 유니스(예멘 난민) : "얼마 전 9달 된 어린 아이가 숨졌어요. 여기에서 지급되는 약은 진통제 정돕니다.이젠 지칩니다."
지부티 언제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이곳에 정착한 예멘 난민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텨내고 있습니다.
난민 촌을 떠나 도시로 나온 난민들도 많지만 막상 일자리가 없어 생계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녹취> 자말 이브라힘(예멘 난민) : "채소와 생선 고기를 살 돈이 없습니다."
내전을 피해 예멘을 떠난 난민들은 백만 명, 목숨은 건졌지만 생계난으로 또다시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습니다.
지부티에서 KBS 뉴스 복창현입니다.
-
-
복창현 기자 changhyun@kbs.co.kr
복창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