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일 하던 70대 할머니 야생진드기에 물려 중태
입력 2015.07.01 (19:12)
수정 2015.07.01 (2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경남 양산에서 밭일을 하던 70대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려 중태에 빠졌습니다.
올해 들어 이 진드기에 물려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장성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6일 경남 양산시 상북면에서 텃밭일을 하던 77살 김 모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렸습니다.
일주일 뒤 고열과 두통 등을 호소해 병원에 입원했고 세차례 검사에서 모두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고 있는 김 할머니는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조남순(양산시보건소 과장) : "연세가 많고 노약자다보니까 면역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려운 상태예요."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은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합니다.
증세가 심해지면 근육통과 의식저하 등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55명이 이 진드기에 물려 15명이 목숨을 잃었고, 올해도 전국적으로 15명의 환자가 발생해 2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진드기가 4월에서 11월 사이에 주로 활동한다면서,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옷을 털거나 세탁하고, 샤워를 하는 것이 감염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경남 양산에서 밭일을 하던 70대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려 중태에 빠졌습니다.
올해 들어 이 진드기에 물려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장성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6일 경남 양산시 상북면에서 텃밭일을 하던 77살 김 모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렸습니다.
일주일 뒤 고열과 두통 등을 호소해 병원에 입원했고 세차례 검사에서 모두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고 있는 김 할머니는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조남순(양산시보건소 과장) : "연세가 많고 노약자다보니까 면역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려운 상태예요."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은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합니다.
증세가 심해지면 근육통과 의식저하 등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55명이 이 진드기에 물려 15명이 목숨을 잃었고, 올해도 전국적으로 15명의 환자가 발생해 2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진드기가 4월에서 11월 사이에 주로 활동한다면서,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옷을 털거나 세탁하고, 샤워를 하는 것이 감염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밭일 하던 70대 할머니 야생진드기에 물려 중태
-
- 입력 2015-07-01 19:13:28
- 수정2015-07-01 20:09:05

<앵커 멘트>
경남 양산에서 밭일을 하던 70대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려 중태에 빠졌습니다.
올해 들어 이 진드기에 물려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장성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6일 경남 양산시 상북면에서 텃밭일을 하던 77살 김 모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렸습니다.
일주일 뒤 고열과 두통 등을 호소해 병원에 입원했고 세차례 검사에서 모두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고 있는 김 할머니는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조남순(양산시보건소 과장) : "연세가 많고 노약자다보니까 면역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려운 상태예요."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은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합니다.
증세가 심해지면 근육통과 의식저하 등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55명이 이 진드기에 물려 15명이 목숨을 잃었고, 올해도 전국적으로 15명의 환자가 발생해 2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진드기가 4월에서 11월 사이에 주로 활동한다면서,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옷을 털거나 세탁하고, 샤워를 하는 것이 감염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경남 양산에서 밭일을 하던 70대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려 중태에 빠졌습니다.
올해 들어 이 진드기에 물려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장성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6일 경남 양산시 상북면에서 텃밭일을 하던 77살 김 모 할머니가 야생 진드기에 물렸습니다.
일주일 뒤 고열과 두통 등을 호소해 병원에 입원했고 세차례 검사에서 모두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고 있는 김 할머니는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조남순(양산시보건소 과장) : "연세가 많고 노약자다보니까 면역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려운 상태예요."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은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합니다.
증세가 심해지면 근육통과 의식저하 등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55명이 이 진드기에 물려 15명이 목숨을 잃었고, 올해도 전국적으로 15명의 환자가 발생해 2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진드기가 4월에서 11월 사이에 주로 활동한다면서,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옷을 털거나 세탁하고, 샤워를 하는 것이 감염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
-
장성길 기자 skjang@kbs.co.kr
장성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