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암호 같은 청소년 은어…세대간 ‘불통’ 심각

입력 2015.07.13 (21:41) 수정 2015.07.13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청소년들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에서 자주 쓰는 '은어'입니다.

'노잼'은 영어 'NO'에 '재미'를 합한 것으로 "재미 없다", '열폭'은 "열등감 폭발", '낫닝겐'은 영어 NOT에 일본어 인간을 뜻하는 닝겐을 합해, "인간이 아니다"를 말합니다.

설명을 듣지 않고서는 도저히 그 뜻을 알기 어려운데요.

최근 들어 청소년들의 은어 사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 간의 소통을 가로막는 청소년 은어 사용의 실태와 문제점을 우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학생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녹취> "이 단어 의미 아는 사람?"

한 두 명을 빼고는 모두 다 안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른들에겐 낯선 외계어와 같은 단어입니다.

<녹취> "(짐작이 가세요? 어떤 뜻인지?) 뜻도 모르겠는데요. 난닝구(러닝셔츠) 이런 거 생각나는데 뜻은 모르죠."

국민대통합위원회가 이 단어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했더니 10대와 40대 이상의 성인 사이에선 확연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밖에도 버스 정류장은 '버정' 버스 카드는 '버카' 볼수록 매력 있음은 '볼매' 등 어른들이 모르는 단어가 청소년들에겐 거의 일상 언어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취> 중학교 2학년 : "은어를 쓰면 어른들이 못 알아듣기 때문에 저희들만의 소속감이 들어서 친구들끼리 단합도 잘 되고."

문제는 이 같은 청소년들의 은어가 세대 간의 의사 소통을 가로막고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한은정(아동청소년상담전문가) : "어떤 생각을 가지고 이 아이들이 이런 것들(은어)을 쓰는지에 대한 관심을 갖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대다수 청소년들이 은어가 인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런 만큼 청소년 스스로 그 해법을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암호 같은 청소년 은어…세대간 ‘불통’ 심각
    • 입력 2015-07-13 21:43:12
    • 수정2015-07-13 22:01:15
    뉴스 9
<앵커 멘트>

요즘 청소년들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에서 자주 쓰는 '은어'입니다.

'노잼'은 영어 'NO'에 '재미'를 합한 것으로 "재미 없다", '열폭'은 "열등감 폭발", '낫닝겐'은 영어 NOT에 일본어 인간을 뜻하는 닝겐을 합해, "인간이 아니다"를 말합니다.

설명을 듣지 않고서는 도저히 그 뜻을 알기 어려운데요.

최근 들어 청소년들의 은어 사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 간의 소통을 가로막는 청소년 은어 사용의 실태와 문제점을 우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학생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녹취> "이 단어 의미 아는 사람?"

한 두 명을 빼고는 모두 다 안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른들에겐 낯선 외계어와 같은 단어입니다.

<녹취> "(짐작이 가세요? 어떤 뜻인지?) 뜻도 모르겠는데요. 난닝구(러닝셔츠) 이런 거 생각나는데 뜻은 모르죠."

국민대통합위원회가 이 단어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했더니 10대와 40대 이상의 성인 사이에선 확연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밖에도 버스 정류장은 '버정' 버스 카드는 '버카' 볼수록 매력 있음은 '볼매' 등 어른들이 모르는 단어가 청소년들에겐 거의 일상 언어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취> 중학교 2학년 : "은어를 쓰면 어른들이 못 알아듣기 때문에 저희들만의 소속감이 들어서 친구들끼리 단합도 잘 되고."

문제는 이 같은 청소년들의 은어가 세대 간의 의사 소통을 가로막고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한은정(아동청소년상담전문가) : "어떤 생각을 가지고 이 아이들이 이런 것들(은어)을 쓰는지에 대한 관심을 갖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대다수 청소년들이 은어가 인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런 만큼 청소년 스스로 그 해법을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