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사찰 몰라…국정원 ‘카톡 해킹’ 기능 요청”

입력 2015.07.31 (21:14) 수정 2015.07.31 (2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탈리아 해킹팀의 전 보안 담당자가 국정원과 이메일을 많이 주고 받았지만 민간인 사찰 여부를 규명할 자료는 가지고 있지 않다고 KBS와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해킹 툴은 합법적인 수사를 위해 개발됐고, 국가 안보 등을 위해 합법적 해킹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병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년 넘게 이탈리아 해킹 팀에서 일하다가 올 2월 말 회사를 그만 둔 서지 운 씨.

국정원이 카카오톡 해킹을 요청했지만 올 2월까지 개발하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서지 운

자살한 국정원 직원 임 씨와 이메일로 주고 받았으며, 한국도 방문했지만 만났던 직원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는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해킹 툴은 합법적인 수사를 위해 개발됐고 국정원도 그런 목적으로 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국정원이 민간인을 사찰했는지 여부는 알지 못한다고 전했습니다.

<녹취> "국정원이 조사(수사?) 목적으로 툴을 사용했다며, 나는 타당한 이유가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서지 운 씨는 국정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프로그램을 사갔다고 전했습니다.

또, 지난해 시티즌 랩이 해킹팀의 존재를 폭로하자 익명성을 유지하길 바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해킹의 원천 코드가 유출된 이후 한국을 포함해 많은 나라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해졌다고 후폭풍을 우려했습니다.

<녹취> 서지 운

그는 끝으로 국가 안보를 위해 해킹의 합법적 사용은 꼭 필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찰 의혹이 있다면, 감시할 독립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간인 사찰 몰라…국정원 ‘카톡 해킹’ 기능 요청”
    • 입력 2015-07-31 21:16:21
    • 수정2015-07-31 22:28:43
    뉴스 9
<앵커 멘트>

이탈리아 해킹팀의 전 보안 담당자가 국정원과 이메일을 많이 주고 받았지만 민간인 사찰 여부를 규명할 자료는 가지고 있지 않다고 KBS와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해킹 툴은 합법적인 수사를 위해 개발됐고, 국가 안보 등을 위해 합법적 해킹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병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년 넘게 이탈리아 해킹 팀에서 일하다가 올 2월 말 회사를 그만 둔 서지 운 씨.

국정원이 카카오톡 해킹을 요청했지만 올 2월까지 개발하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서지 운

자살한 국정원 직원 임 씨와 이메일로 주고 받았으며, 한국도 방문했지만 만났던 직원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는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해킹 툴은 합법적인 수사를 위해 개발됐고 국정원도 그런 목적으로 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국정원이 민간인을 사찰했는지 여부는 알지 못한다고 전했습니다.

<녹취> "국정원이 조사(수사?) 목적으로 툴을 사용했다며, 나는 타당한 이유가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서지 운 씨는 국정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프로그램을 사갔다고 전했습니다.

또, 지난해 시티즌 랩이 해킹팀의 존재를 폭로하자 익명성을 유지하길 바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해킹의 원천 코드가 유출된 이후 한국을 포함해 많은 나라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해졌다고 후폭풍을 우려했습니다.

<녹취> 서지 운

그는 끝으로 국가 안보를 위해 해킹의 합법적 사용은 꼭 필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찰 의혹이 있다면, 감시할 독립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