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도 ‘스마트’ 변신…제조업 제2 도약
입력 2015.08.19 (19:21)
수정 2015.08.19 (1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IT 기술을 생산시설에 접목한 이른바 '스마트 공장'이 국내에도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IT 강국의 장점을 활용해 국내 제조업이 제 2의 도약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관건은 어떻게 산업 전반에 확산될 수 있느냐입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강 소재를 생산하는 공장입니다.
모든 기계 설비에 센서 3만개를 부착해 진동과 온도 변화 등 30가지 항목을 실시간 측정합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면 불량품이 나올 경우 생산과정에서 어디가 문제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기계의 이상 징후도 미리 포착해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두환(포스코 ICT 대표) : "예전에는 고장 나기 전까지는 고장이 날지 안 날지는 몰랐어요. 그런데 지금은 고장 날 것들이 다 보이는 거예요. 이게 고장나겠다 하면 먼저 고칠수가 있죠."
3D 프린팅 등 새로운 IT 제조기법을 활용하면 한 공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생산해 낼수도 있습니다.
이미 대기업이 공장 혁신을 시도하면서 2020년까지 국내에는 만 개의 스마트 공장이 들어설 계획입니다.
값싼 노동력이 강점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을 따돌리고 IT강국인 우리만의 장점을 활용해 선진국과도 경쟁할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각범(한국미래연구원장) : "창조기업, 강소기업, 혁신기업군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어서 나가는 것이 제조업 4.0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설비 투자 비용이 큰 만큼 중소기업까지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기술 지원과 정부 주도의 세부 전략 추진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IT 기술을 생산시설에 접목한 이른바 '스마트 공장'이 국내에도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IT 강국의 장점을 활용해 국내 제조업이 제 2의 도약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관건은 어떻게 산업 전반에 확산될 수 있느냐입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강 소재를 생산하는 공장입니다.
모든 기계 설비에 센서 3만개를 부착해 진동과 온도 변화 등 30가지 항목을 실시간 측정합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면 불량품이 나올 경우 생산과정에서 어디가 문제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기계의 이상 징후도 미리 포착해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두환(포스코 ICT 대표) : "예전에는 고장 나기 전까지는 고장이 날지 안 날지는 몰랐어요. 그런데 지금은 고장 날 것들이 다 보이는 거예요. 이게 고장나겠다 하면 먼저 고칠수가 있죠."
3D 프린팅 등 새로운 IT 제조기법을 활용하면 한 공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생산해 낼수도 있습니다.
이미 대기업이 공장 혁신을 시도하면서 2020년까지 국내에는 만 개의 스마트 공장이 들어설 계획입니다.
값싼 노동력이 강점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을 따돌리고 IT강국인 우리만의 장점을 활용해 선진국과도 경쟁할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각범(한국미래연구원장) : "창조기업, 강소기업, 혁신기업군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어서 나가는 것이 제조업 4.0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설비 투자 비용이 큰 만큼 중소기업까지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기술 지원과 정부 주도의 세부 전략 추진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장도 ‘스마트’ 변신…제조업 제2 도약
-
- 입력 2015-08-19 19:23:12
- 수정2015-08-19 19:39:10

<앵커 멘트>
IT 기술을 생산시설에 접목한 이른바 '스마트 공장'이 국내에도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IT 강국의 장점을 활용해 국내 제조업이 제 2의 도약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관건은 어떻게 산업 전반에 확산될 수 있느냐입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강 소재를 생산하는 공장입니다.
모든 기계 설비에 센서 3만개를 부착해 진동과 온도 변화 등 30가지 항목을 실시간 측정합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면 불량품이 나올 경우 생산과정에서 어디가 문제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기계의 이상 징후도 미리 포착해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두환(포스코 ICT 대표) : "예전에는 고장 나기 전까지는 고장이 날지 안 날지는 몰랐어요. 그런데 지금은 고장 날 것들이 다 보이는 거예요. 이게 고장나겠다 하면 먼저 고칠수가 있죠."
3D 프린팅 등 새로운 IT 제조기법을 활용하면 한 공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생산해 낼수도 있습니다.
이미 대기업이 공장 혁신을 시도하면서 2020년까지 국내에는 만 개의 스마트 공장이 들어설 계획입니다.
값싼 노동력이 강점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을 따돌리고 IT강국인 우리만의 장점을 활용해 선진국과도 경쟁할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각범(한국미래연구원장) : "창조기업, 강소기업, 혁신기업군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어서 나가는 것이 제조업 4.0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설비 투자 비용이 큰 만큼 중소기업까지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기술 지원과 정부 주도의 세부 전략 추진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IT 기술을 생산시설에 접목한 이른바 '스마트 공장'이 국내에도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IT 강국의 장점을 활용해 국내 제조업이 제 2의 도약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관건은 어떻게 산업 전반에 확산될 수 있느냐입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강 소재를 생산하는 공장입니다.
모든 기계 설비에 센서 3만개를 부착해 진동과 온도 변화 등 30가지 항목을 실시간 측정합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하면 불량품이 나올 경우 생산과정에서 어디가 문제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기계의 이상 징후도 미리 포착해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최두환(포스코 ICT 대표) : "예전에는 고장 나기 전까지는 고장이 날지 안 날지는 몰랐어요. 그런데 지금은 고장 날 것들이 다 보이는 거예요. 이게 고장나겠다 하면 먼저 고칠수가 있죠."
3D 프린팅 등 새로운 IT 제조기법을 활용하면 한 공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생산해 낼수도 있습니다.
이미 대기업이 공장 혁신을 시도하면서 2020년까지 국내에는 만 개의 스마트 공장이 들어설 계획입니다.
값싼 노동력이 강점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을 따돌리고 IT강국인 우리만의 장점을 활용해 선진국과도 경쟁할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각범(한국미래연구원장) : "창조기업, 강소기업, 혁신기업군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어서 나가는 것이 제조업 4.0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설비 투자 비용이 큰 만큼 중소기업까지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기술 지원과 정부 주도의 세부 전략 추진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김학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