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한노총 결단 촉구…노동 개혁 압박
입력 2015.08.19 (21:04)
수정 2015.08.19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다음 소식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노동 개혁을 강력하게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어제, 일부 산별노조의 점거시위로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무산된 것을 비판하며, 정부 입법을 통한 노동개혁 뜻도 내비쳤습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결정되지 못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강경파에 밀린 한국노총 지도부의 리더십이 의심된다며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그래도 여의치 않다면 정부 입법을 통해 노동개혁을 주도하겠다는 뜻도 내비쳤습니다.
<녹취> 최경환(경제부총리) : "최대한 노사정 대타협을 유도를 하되 정부로서는 또 손 놓고만 있을 수 없습니다."
새누리당은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습니다.
일부 과격분자들이 양대 노총에 가입된 10%의 고임금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국민의 명령을 저버렸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고용 절벽 앞에 절망하는 청년과 비정규직의 눈물을 외면하고 말았습니다."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법인세 인상과 사내 유보금 사회 환원 등 재벌 개혁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권의 노동개혁은 노동 조건을 더욱 열악하게 할 뿐이라며 군사 작전하듯 밀어붙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추미애(새정치연합) : "청년일자리·노동특위 위원장 시한을 정해놓고 청와대가 지시하는대로 무조건 따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부.여당은 노동개혁 관련 법안 처리 시기를 이번 정기국회로 못박고 있어 야당과 노동계와의 긴장은 갈수록 고조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노동 개혁을 강력하게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어제, 일부 산별노조의 점거시위로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무산된 것을 비판하며, 정부 입법을 통한 노동개혁 뜻도 내비쳤습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결정되지 못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강경파에 밀린 한국노총 지도부의 리더십이 의심된다며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그래도 여의치 않다면 정부 입법을 통해 노동개혁을 주도하겠다는 뜻도 내비쳤습니다.
<녹취> 최경환(경제부총리) : "최대한 노사정 대타협을 유도를 하되 정부로서는 또 손 놓고만 있을 수 없습니다."
새누리당은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습니다.
일부 과격분자들이 양대 노총에 가입된 10%의 고임금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국민의 명령을 저버렸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고용 절벽 앞에 절망하는 청년과 비정규직의 눈물을 외면하고 말았습니다."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법인세 인상과 사내 유보금 사회 환원 등 재벌 개혁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권의 노동개혁은 노동 조건을 더욱 열악하게 할 뿐이라며 군사 작전하듯 밀어붙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추미애(새정치연합) : "청년일자리·노동특위 위원장 시한을 정해놓고 청와대가 지시하는대로 무조건 따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부.여당은 노동개혁 관련 법안 처리 시기를 이번 정기국회로 못박고 있어 야당과 노동계와의 긴장은 갈수록 고조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당정, 한노총 결단 촉구…노동 개혁 압박
-
- 입력 2015-08-19 21:05:23
- 수정2015-08-19 22:02:50

<앵커 멘트>
다음 소식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노동 개혁을 강력하게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어제, 일부 산별노조의 점거시위로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무산된 것을 비판하며, 정부 입법을 통한 노동개혁 뜻도 내비쳤습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결정되지 못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강경파에 밀린 한국노총 지도부의 리더십이 의심된다며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그래도 여의치 않다면 정부 입법을 통해 노동개혁을 주도하겠다는 뜻도 내비쳤습니다.
<녹취> 최경환(경제부총리) : "최대한 노사정 대타협을 유도를 하되 정부로서는 또 손 놓고만 있을 수 없습니다."
새누리당은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습니다.
일부 과격분자들이 양대 노총에 가입된 10%의 고임금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국민의 명령을 저버렸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고용 절벽 앞에 절망하는 청년과 비정규직의 눈물을 외면하고 말았습니다."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법인세 인상과 사내 유보금 사회 환원 등 재벌 개혁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권의 노동개혁은 노동 조건을 더욱 열악하게 할 뿐이라며 군사 작전하듯 밀어붙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추미애(새정치연합) : "청년일자리·노동특위 위원장 시한을 정해놓고 청와대가 지시하는대로 무조건 따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부.여당은 노동개혁 관련 법안 처리 시기를 이번 정기국회로 못박고 있어 야당과 노동계와의 긴장은 갈수록 고조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노동 개혁을 강력하게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어제, 일부 산별노조의 점거시위로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무산된 것을 비판하며, 정부 입법을 통한 노동개혁 뜻도 내비쳤습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결정되지 못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강경파에 밀린 한국노총 지도부의 리더십이 의심된다며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그래도 여의치 않다면 정부 입법을 통해 노동개혁을 주도하겠다는 뜻도 내비쳤습니다.
<녹취> 최경환(경제부총리) : "최대한 노사정 대타협을 유도를 하되 정부로서는 또 손 놓고만 있을 수 없습니다."
새누리당은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습니다.
일부 과격분자들이 양대 노총에 가입된 10%의 고임금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국민의 명령을 저버렸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고용 절벽 앞에 절망하는 청년과 비정규직의 눈물을 외면하고 말았습니다."
반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법인세 인상과 사내 유보금 사회 환원 등 재벌 개혁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권의 노동개혁은 노동 조건을 더욱 열악하게 할 뿐이라며 군사 작전하듯 밀어붙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추미애(새정치연합) : "청년일자리·노동특위 위원장 시한을 정해놓고 청와대가 지시하는대로 무조건 따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부.여당은 노동개혁 관련 법안 처리 시기를 이번 정기국회로 못박고 있어 야당과 노동계와의 긴장은 갈수록 고조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