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 비엔날레 개막…세계 공예작 한자리에

입력 2015.09.16 (12:37) 수정 2015.09.16 (1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유일의 국제 '공예' 비엔날레가 오늘, 충북 청주에서 개막해 40일 동안 열립니다.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전 세계 7천여 점의 공예 작품이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미영 기자가 미리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50여 년 동안 담배 공장으로 쓰이다 문을 닫은 건물이 수십만 장의 CD로 뒤덮입니다.

버려진 CD 49만 장에 세계인들의 꿈과 소망을 적어 외벽에 붙인 공공 미술입니다.

63 빌딩을 누인 크기와 맞먹어 기네스북에 등재됐습니다.

<인터뷰> 전병삼(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 : "버려진 공간도 문화·예술의 힘을 더하면 꿈의 공장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시민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만들었고요."

수백여 개 크리스탈 컵과 장식물로 문화, 'Culture'의 c를 붙여넣기 단축키, Ctrl+C로 형상화했고, 보는 위치에 따라 투명한 서양 유리 볼이 순백색 동양 도자 접시로 바뀌기도 합니다.

영국의 유명 작가, 알랭 드 보통이 예술 감독으로 참여해 '아름다움과 행복'을 주제로 한 우리 공예 작품을 소개합니다.

<인터뷰> 알랭 드 보통(작가·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 : "작가들이 실용적인 가치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치유, 영적인 효용까지 작품에 담아냈습니다."

아날로그 모니터 166개로 거대한 거북을 형상화 한 백남준의 설치 작품, 3D 프린터를 활용한 실시간 디지털 도예까지.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넘나드는 공예의 무한 변신을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국제 공예 비엔날레입니다.

전 세계 45개국 7천여 점의 공예 작품이 선보일 이번 청주 국제 공예 비엔날레는 다음 달 25일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예’ 비엔날레 개막…세계 공예작 한자리에
    • 입력 2015-09-16 12:38:57
    • 수정2015-09-16 12:59:32
    뉴스 12
<앵커 멘트>

국내 유일의 국제 '공예' 비엔날레가 오늘, 충북 청주에서 개막해 40일 동안 열립니다.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전 세계 7천여 점의 공예 작품이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미영 기자가 미리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50여 년 동안 담배 공장으로 쓰이다 문을 닫은 건물이 수십만 장의 CD로 뒤덮입니다.

버려진 CD 49만 장에 세계인들의 꿈과 소망을 적어 외벽에 붙인 공공 미술입니다.

63 빌딩을 누인 크기와 맞먹어 기네스북에 등재됐습니다.

<인터뷰> 전병삼(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 : "버려진 공간도 문화·예술의 힘을 더하면 꿈의 공장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시민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만들었고요."

수백여 개 크리스탈 컵과 장식물로 문화, 'Culture'의 c를 붙여넣기 단축키, Ctrl+C로 형상화했고, 보는 위치에 따라 투명한 서양 유리 볼이 순백색 동양 도자 접시로 바뀌기도 합니다.

영국의 유명 작가, 알랭 드 보통이 예술 감독으로 참여해 '아름다움과 행복'을 주제로 한 우리 공예 작품을 소개합니다.

<인터뷰> 알랭 드 보통(작가·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 : "작가들이 실용적인 가치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치유, 영적인 효용까지 작품에 담아냈습니다."

아날로그 모니터 166개로 거대한 거북을 형상화 한 백남준의 설치 작품, 3D 프린터를 활용한 실시간 디지털 도예까지.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넘나드는 공예의 무한 변신을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국제 공예 비엔날레입니다.

전 세계 45개국 7천여 점의 공예 작품이 선보일 이번 청주 국제 공예 비엔날레는 다음 달 25일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