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증도가자, 위조 가능성 높다”
입력 2015.10.27 (12:11)
수정 2015.10.27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알려진 '증도가자'는 지난 5년 동안 진위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국과수가 그 가운데 일부를 검사한 결과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송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은 1377년 간행된 직지심체요절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을 찍어낸 금속 활자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5년전 직지심체요절보다 100여 년 앞선 금속활자가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진위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고려 불교서적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증도가자'라는 금속활자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 가운데 청주고인쇄박물관이 소장한 금속 활자 7개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고,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놓았습니다.
국과수는 이 활자들을 3차원 단층촬영해 보니, 활자의 안쪽과 바깥쪽의 금속 밀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수백년에 걸쳐 부식된 것처럼 꾸미기 위해 겉을 다른 물질로 감싼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또 일부 활자 뒷면에 땜질한 것 같은 흔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국과수의 연구결과 등을 참고해 증도가자로 추정되는 다른 활자들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알려진 '증도가자'는 지난 5년 동안 진위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국과수가 그 가운데 일부를 검사한 결과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송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은 1377년 간행된 직지심체요절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을 찍어낸 금속 활자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5년전 직지심체요절보다 100여 년 앞선 금속활자가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진위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고려 불교서적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증도가자'라는 금속활자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 가운데 청주고인쇄박물관이 소장한 금속 활자 7개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고,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놓았습니다.
국과수는 이 활자들을 3차원 단층촬영해 보니, 활자의 안쪽과 바깥쪽의 금속 밀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수백년에 걸쳐 부식된 것처럼 꾸미기 위해 겉을 다른 물질로 감싼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또 일부 활자 뒷면에 땜질한 것 같은 흔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국과수의 연구결과 등을 참고해 증도가자로 추정되는 다른 활자들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증도가자, 위조 가능성 높다”
-
- 입력 2015-10-27 12:12:06
- 수정2015-10-27 21:55:27

<앵커 멘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알려진 '증도가자'는 지난 5년 동안 진위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국과수가 그 가운데 일부를 검사한 결과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송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은 1377년 간행된 직지심체요절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을 찍어낸 금속 활자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5년전 직지심체요절보다 100여 년 앞선 금속활자가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진위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고려 불교서적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증도가자'라는 금속활자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 가운데 청주고인쇄박물관이 소장한 금속 활자 7개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고,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놓았습니다.
국과수는 이 활자들을 3차원 단층촬영해 보니, 활자의 안쪽과 바깥쪽의 금속 밀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수백년에 걸쳐 부식된 것처럼 꾸미기 위해 겉을 다른 물질로 감싼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또 일부 활자 뒷면에 땜질한 것 같은 흔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국과수의 연구결과 등을 참고해 증도가자로 추정되는 다른 활자들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알려진 '증도가자'는 지난 5년 동안 진위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국과수가 그 가운데 일부를 검사한 결과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송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은 1377년 간행된 직지심체요절입니다.
직지심체요절을 찍어낸 금속 활자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5년전 직지심체요절보다 100여 년 앞선 금속활자가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진위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고려 불교서적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증도가자'라는 금속활자입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 가운데 청주고인쇄박물관이 소장한 금속 활자 7개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고, 위조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놓았습니다.
국과수는 이 활자들을 3차원 단층촬영해 보니, 활자의 안쪽과 바깥쪽의 금속 밀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수백년에 걸쳐 부식된 것처럼 꾸미기 위해 겉을 다른 물질로 감싼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또 일부 활자 뒷면에 땜질한 것 같은 흔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국과수의 연구결과 등을 참고해 증도가자로 추정되는 다른 활자들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
송명훈 기자 smh@kbs.co.kr
송명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