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어린이집 내일 집단행동…보육 대란 오나?
입력 2015.10.27 (19:11)
수정 2015.10.27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민간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집단 행동에 돌입합니다.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맞벌이 부부들의 우려가 큰데요.
일단 보육대란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간 어린이집들이 예고대로 내일부터 보육료 인상과 보육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에 들어갑니다.
한국 민간 어린이집 연합회는 소속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사흘 동안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등 비상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연합회의 집단 행동에는 소속 어린이집 만 4천여 곳 가운데 70%인 9800여 곳이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려됐던 '보육 대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각 지역 어린이집들을 조사한 결과 전체 보육 교사의 1/3 이상이 정상 출근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면 휴원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등원 의사를 밝힌 학부모의 자녀들은 평상시처럼 돌보겠다며 학부들의 불편과 아이들 안전에는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보육 교사가 학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임의로 연차를 낼 경우 관련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그동안 영아반 보육료 예산 인상과 누리과정 보육료 30만 원 지원, 종일반 보육 8시간제 전환 등을 요구하며 정부와 협의를 진행해왔습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민간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집단 행동에 돌입합니다.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맞벌이 부부들의 우려가 큰데요.
일단 보육대란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간 어린이집들이 예고대로 내일부터 보육료 인상과 보육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에 들어갑니다.
한국 민간 어린이집 연합회는 소속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사흘 동안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등 비상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연합회의 집단 행동에는 소속 어린이집 만 4천여 곳 가운데 70%인 9800여 곳이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려됐던 '보육 대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각 지역 어린이집들을 조사한 결과 전체 보육 교사의 1/3 이상이 정상 출근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면 휴원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등원 의사를 밝힌 학부모의 자녀들은 평상시처럼 돌보겠다며 학부들의 불편과 아이들 안전에는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보육 교사가 학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임의로 연차를 낼 경우 관련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그동안 영아반 보육료 예산 인상과 누리과정 보육료 30만 원 지원, 종일반 보육 8시간제 전환 등을 요구하며 정부와 협의를 진행해왔습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간 어린이집 내일 집단행동…보육 대란 오나?
-
- 입력 2015-10-27 19:12:58
- 수정2015-10-27 19:47:14

<앵커 멘트>
민간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집단 행동에 돌입합니다.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맞벌이 부부들의 우려가 큰데요.
일단 보육대란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간 어린이집들이 예고대로 내일부터 보육료 인상과 보육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에 들어갑니다.
한국 민간 어린이집 연합회는 소속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사흘 동안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등 비상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연합회의 집단 행동에는 소속 어린이집 만 4천여 곳 가운데 70%인 9800여 곳이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려됐던 '보육 대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각 지역 어린이집들을 조사한 결과 전체 보육 교사의 1/3 이상이 정상 출근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면 휴원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등원 의사를 밝힌 학부모의 자녀들은 평상시처럼 돌보겠다며 학부들의 불편과 아이들 안전에는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보육 교사가 학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임의로 연차를 낼 경우 관련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그동안 영아반 보육료 예산 인상과 누리과정 보육료 30만 원 지원, 종일반 보육 8시간제 전환 등을 요구하며 정부와 협의를 진행해왔습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민간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집단 행동에 돌입합니다.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은 맞벌이 부부들의 우려가 큰데요.
일단 보육대란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간 어린이집들이 예고대로 내일부터 보육료 인상과 보육교사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에 들어갑니다.
한국 민간 어린이집 연합회는 소속 어린이집들이 내일부터 사흘 동안 보육교사들이 동시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등 비상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연합회의 집단 행동에는 소속 어린이집 만 4천여 곳 가운데 70%인 9800여 곳이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려됐던 '보육 대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각 지역 어린이집들을 조사한 결과 전체 보육 교사의 1/3 이상이 정상 출근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면 휴원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등원 의사를 밝힌 학부모의 자녀들은 평상시처럼 돌보겠다며 학부들의 불편과 아이들 안전에는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보육 교사가 학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임의로 연차를 낼 경우 관련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회는 그동안 영아반 보육료 예산 인상과 누리과정 보육료 30만 원 지원, 종일반 보육 8시간제 전환 등을 요구하며 정부와 협의를 진행해왔습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
-
이중근 기자 news24@kbs.co.kr
이중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