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 2천억 원 지원”…조선업 개편 불가피

입력 2015.10.29 (23:24) 수정 2015.10.30 (00: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손실 규모가 올해만 최대 5조 원에 이를 수도 있다는 대우조선 해양에 채권단이 4조 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조선 산업 전반에 대해 강력한 구조조정이 함께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벼랑 끝에 몰렸던 대우조선이 큰 고비를 넘겼습니다.

4조2천억 원에 이르는 자금 지원이 결정됐기 때문입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2조6천억 원을, 돈을 가장 많이 빌려준 수출입은행도 1조6천억 원을 떠안았습니다.

<인터뷰> 정용석(산업은행 구조조정본부장) : "(대우조선을)정상화시키지 않으면 채권단이나 국가경제에 초래될 수 있는 손실을 비교해서 어느 것이 합리적인지 판단했습니다."

이번 지원도 인력 감축과 자산 매각 같은 자구노력을 전제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천문학적 규모의 부실이 발생한데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비난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번 지원도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업계에선 이번 자금 지원을 계기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가수주 경쟁 탓에 올해 1조원 대의 손실이 예상되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역시 잔뜩 긴장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선박공급 과잉과 중국경기 둔화 같은 변수가 당분간 이어질 거란 전망도 위기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조 2천억 원 지원”…조선업 개편 불가피
    • 입력 2015-10-29 23:33:19
    • 수정2015-10-30 00:41:45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손실 규모가 올해만 최대 5조 원에 이를 수도 있다는 대우조선 해양에 채권단이 4조 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조선 산업 전반에 대해 강력한 구조조정이 함께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벼랑 끝에 몰렸던 대우조선이 큰 고비를 넘겼습니다.

4조2천억 원에 이르는 자금 지원이 결정됐기 때문입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2조6천억 원을, 돈을 가장 많이 빌려준 수출입은행도 1조6천억 원을 떠안았습니다.

<인터뷰> 정용석(산업은행 구조조정본부장) : "(대우조선을)정상화시키지 않으면 채권단이나 국가경제에 초래될 수 있는 손실을 비교해서 어느 것이 합리적인지 판단했습니다."

이번 지원도 인력 감축과 자산 매각 같은 자구노력을 전제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천문학적 규모의 부실이 발생한데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비난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번 지원도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업계에선 이번 자금 지원을 계기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가수주 경쟁 탓에 올해 1조원 대의 손실이 예상되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역시 잔뜩 긴장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선박공급 과잉과 중국경기 둔화 같은 변수가 당분간 이어질 거란 전망도 위기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