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남편 이름 따르도록 한 조항’ 위헌 소송
입력 2015.11.06 (12:32)
수정 2015.11.06 (13: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부부가 같은 성을 쓰도록 법으로 의무화된 일본에선 여성이 결혼 후 남편을 따라 본명을 바꾸는 게 일반화돼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 때문에 고통을 겪어온 여성들이 정식으로 위헌소송을 제기하면서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사회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대학 연구원인 요시이씨는 결혼 뒤 이름 문제로 줄곧 여러움을 겪고 있습니다.
혼인신고와 함께 호적 뿐 아니라 운전면허와 은행계좌 등 모든 이름이 남편 성을 따라 바뀌었지만 직장 연구활동에선 계속 본명을 쓰고 있습니다.
그동안 펴낸 연구논문이나 저서가 본래 이름으로 등록돼 있어 경력관리를 위해선 불가피한 일이었습니다.
<인터뷰> 요시이(위헌소송 원고) : "결혼 후에도 일을 계속하려는 여성들은 모두 직접 겪고 있는 문제입니다."
모모세씨는 자신의 본명을 지키기 위해 결혼 4년만에 남편과 서류상 이혼신고를 한 뒤 사실혼 형태로 결혼생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이 담긴 이름을 결혼과 함께 포기하도록 규정한 법률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모모세(위헌소송 원고) : "28년간 살아온 ‘모모세’라는 내 존재가 결혼과 함께 말살돼 버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이처럼 결혼과 함께 부부가 같은 성을 갖도록 규정한 민법 조항에 대해 위헌 심사를 시작했습니다.
약 2만 명이 서명해 제기된 이번 소송은 전통과 남녀평등을 둘러싼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빠르면 올해 안에 최종판결이 예상됩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부부가 같은 성을 쓰도록 법으로 의무화된 일본에선 여성이 결혼 후 남편을 따라 본명을 바꾸는 게 일반화돼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 때문에 고통을 겪어온 여성들이 정식으로 위헌소송을 제기하면서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사회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대학 연구원인 요시이씨는 결혼 뒤 이름 문제로 줄곧 여러움을 겪고 있습니다.
혼인신고와 함께 호적 뿐 아니라 운전면허와 은행계좌 등 모든 이름이 남편 성을 따라 바뀌었지만 직장 연구활동에선 계속 본명을 쓰고 있습니다.
그동안 펴낸 연구논문이나 저서가 본래 이름으로 등록돼 있어 경력관리를 위해선 불가피한 일이었습니다.
<인터뷰> 요시이(위헌소송 원고) : "결혼 후에도 일을 계속하려는 여성들은 모두 직접 겪고 있는 문제입니다."
모모세씨는 자신의 본명을 지키기 위해 결혼 4년만에 남편과 서류상 이혼신고를 한 뒤 사실혼 형태로 결혼생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이 담긴 이름을 결혼과 함께 포기하도록 규정한 법률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모모세(위헌소송 원고) : "28년간 살아온 ‘모모세’라는 내 존재가 결혼과 함께 말살돼 버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이처럼 결혼과 함께 부부가 같은 성을 갖도록 규정한 민법 조항에 대해 위헌 심사를 시작했습니다.
약 2만 명이 서명해 제기된 이번 소송은 전통과 남녀평등을 둘러싼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빠르면 올해 안에 최종판결이 예상됩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남편 이름 따르도록 한 조항’ 위헌 소송
-
- 입력 2015-11-06 12:33:32
- 수정2015-11-06 13:08:10

<앵커 멘트>
부부가 같은 성을 쓰도록 법으로 의무화된 일본에선 여성이 결혼 후 남편을 따라 본명을 바꾸는 게 일반화돼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 때문에 고통을 겪어온 여성들이 정식으로 위헌소송을 제기하면서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사회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대학 연구원인 요시이씨는 결혼 뒤 이름 문제로 줄곧 여러움을 겪고 있습니다.
혼인신고와 함께 호적 뿐 아니라 운전면허와 은행계좌 등 모든 이름이 남편 성을 따라 바뀌었지만 직장 연구활동에선 계속 본명을 쓰고 있습니다.
그동안 펴낸 연구논문이나 저서가 본래 이름으로 등록돼 있어 경력관리를 위해선 불가피한 일이었습니다.
<인터뷰> 요시이(위헌소송 원고) : "결혼 후에도 일을 계속하려는 여성들은 모두 직접 겪고 있는 문제입니다."
모모세씨는 자신의 본명을 지키기 위해 결혼 4년만에 남편과 서류상 이혼신고를 한 뒤 사실혼 형태로 결혼생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이 담긴 이름을 결혼과 함께 포기하도록 규정한 법률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모모세(위헌소송 원고) : "28년간 살아온 ‘모모세’라는 내 존재가 결혼과 함께 말살돼 버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이처럼 결혼과 함께 부부가 같은 성을 갖도록 규정한 민법 조항에 대해 위헌 심사를 시작했습니다.
약 2만 명이 서명해 제기된 이번 소송은 전통과 남녀평등을 둘러싼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빠르면 올해 안에 최종판결이 예상됩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부부가 같은 성을 쓰도록 법으로 의무화된 일본에선 여성이 결혼 후 남편을 따라 본명을 바꾸는 게 일반화돼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도 때문에 고통을 겪어온 여성들이 정식으로 위헌소송을 제기하면서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사회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도쿄 윤석구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대학 연구원인 요시이씨는 결혼 뒤 이름 문제로 줄곧 여러움을 겪고 있습니다.
혼인신고와 함께 호적 뿐 아니라 운전면허와 은행계좌 등 모든 이름이 남편 성을 따라 바뀌었지만 직장 연구활동에선 계속 본명을 쓰고 있습니다.
그동안 펴낸 연구논문이나 저서가 본래 이름으로 등록돼 있어 경력관리를 위해선 불가피한 일이었습니다.
<인터뷰> 요시이(위헌소송 원고) : "결혼 후에도 일을 계속하려는 여성들은 모두 직접 겪고 있는 문제입니다."
모모세씨는 자신의 본명을 지키기 위해 결혼 4년만에 남편과 서류상 이혼신고를 한 뒤 사실혼 형태로 결혼생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이 담긴 이름을 결혼과 함께 포기하도록 규정한 법률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모모세(위헌소송 원고) : "28년간 살아온 ‘모모세’라는 내 존재가 결혼과 함께 말살돼 버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이처럼 결혼과 함께 부부가 같은 성을 갖도록 규정한 민법 조항에 대해 위헌 심사를 시작했습니다.
약 2만 명이 서명해 제기된 이번 소송은 전통과 남녀평등을 둘러싼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빠르면 올해 안에 최종판결이 예상됩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윤석구입니다.
-
-
윤석구 기자 sukkoo@kbs.co.kr
윤석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