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현충원 묏자리는 상도동 쪽

입력 2015.11.24 (07:06) 수정 2015.11.24 (13: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안장식을 이틀 앞두고 지금 국립 서울현충원에선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가 들어설 주변 정리 작업이 한창입니다.

서울 현충원 묫자리는 생전에 살았던 상도동 옆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도 가깝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현충원 서쪽 한 야산, 나무를 베고 길을 내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소 진입로를 만드는 겁니다.

묫자리 터닦기 공사도 진행 중입니다.

김 전 대통령의 묫자리는 장군 제3묘역 능선 부분입니다.

동지이자 경쟁자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로부터 300미터 남짓 떨어진 곳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자택이 있는 상도동을 향해 있습니다.

<인터뷰> 황영웅(영남대 풍수지리 교수) : "봉황이 알을 품은 형국이라고 해서 동작동인데 지금 김영삼 전 대통령이 오실 자리는 왼쪽 날개에 알을 품은 자리... 유족 측에서 한 2,3년 전에 요청이 있기에 (알려줬다.)"

규모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법에 따라 260제곱미터 넓이에 봉분과 묘비, 상석, 그리고 추모비 등이 세워집니다.

<녹취> 최장혁(행자부 대변인) : "안장식 이후에도 묘비 건립과 주변 조경 작업까지 끝나려면 한 달 정도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서울현충원 측은 안장식을 하루 앞둔 내일, 김 전 대통령이 영면할 자리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현충원 묏자리는 상도동 쪽
    • 입력 2015-11-24 07:10:48
    • 수정2015-11-24 13:20:20
    뉴스광장
<앵커 멘트>

안장식을 이틀 앞두고 지금 국립 서울현충원에선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가 들어설 주변 정리 작업이 한창입니다.

서울 현충원 묫자리는 생전에 살았던 상도동 옆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도 가깝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현충원 서쪽 한 야산, 나무를 베고 길을 내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소 진입로를 만드는 겁니다.

묫자리 터닦기 공사도 진행 중입니다.

김 전 대통령의 묫자리는 장군 제3묘역 능선 부분입니다.

동지이자 경쟁자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로부터 300미터 남짓 떨어진 곳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자택이 있는 상도동을 향해 있습니다.

<인터뷰> 황영웅(영남대 풍수지리 교수) : "봉황이 알을 품은 형국이라고 해서 동작동인데 지금 김영삼 전 대통령이 오실 자리는 왼쪽 날개에 알을 품은 자리... 유족 측에서 한 2,3년 전에 요청이 있기에 (알려줬다.)"

규모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법에 따라 260제곱미터 넓이에 봉분과 묘비, 상석, 그리고 추모비 등이 세워집니다.

<녹취> 최장혁(행자부 대변인) : "안장식 이후에도 묘비 건립과 주변 조경 작업까지 끝나려면 한 달 정도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서울현충원 측은 안장식을 하루 앞둔 내일, 김 전 대통령이 영면할 자리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