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통풍’ 환자 급증…주의할 음식은?

입력 2015.12.06 (21:20) 수정 2015.12.06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통풍의 지난해 국내 진료 환자는 모두 31만명 정도입니다.

2010년엔 22만 3천명 남짓했으니 연평균 8.5%씩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남성이 28만 3천명, 여성 보다 무려 10.7배 많습니다.

특히 30대에선 22배나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호르몬이 통풍의 원인인 요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술이 요산을 많이 만들고, 요산 배출을 방해한다고 건강보험공단이 설명했습니다.

연말입니다.

무엇을 조심하셔야되시는지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직장인들의 회식 자리. 빠지지 않는 게 술과 고기입니다.

한, 두잔 조심하려고해도 분위기가 무르익으면 과음하기 쉽습니다.

<인터뷰> 최진아(서울 서초구) : "마시다 보면 한두 잔 더 늘어나게 되고 그러다보면 그 다음날 좀 많이 힘들어요."

통풍이 있는 이 남성은 술을 많이 마신 다음 날, 왼쪽 발에 심한 통증이 생겼습니다.

증상이 심해진 겁니다.

<인터뷰> 신재근(통풍 환자) : "다음날 또 술을 먹기 시작하는데 그 때 이제 다시 발작이 온 거예요 갑자기. 그 때 하고 술 바로 끊고 나서 약을 먹고..."

통풍은 관절에 요산이 쌓여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심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알코올은 콩팥에서 요산 배출을 억제해 통풍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특히, 맥주는 요산을 높이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통풍에 가장 해롭습니다.

하지만, 요산 성분이 많은 육류나 생선을 너무 가릴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음식을 철저히 피해도 요산 수치가 1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전체 열량 섭취를 줄여야 요산 수치가 더 떨어집니다.

<인터뷰> 박성환(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 "대사증후군에 동반된 그런 합병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그걸 조절하려면은 결국은 전체적인 칼로리를 줄여야 되고 탄수화물 섭취도 상대적으로 줄여야지.."

탄산음료나 과일주스도 요산을 올릴 수 있어 많이 마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말 ‘통풍’ 환자 급증…주의할 음식은?
    • 입력 2015-12-06 21:21:55
    • 수정2015-12-06 22:02:47
    뉴스 9
<앵커 멘트>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통풍의 지난해 국내 진료 환자는 모두 31만명 정도입니다.

2010년엔 22만 3천명 남짓했으니 연평균 8.5%씩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남성이 28만 3천명, 여성 보다 무려 10.7배 많습니다.

특히 30대에선 22배나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호르몬이 통풍의 원인인 요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술이 요산을 많이 만들고, 요산 배출을 방해한다고 건강보험공단이 설명했습니다.

연말입니다.

무엇을 조심하셔야되시는지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직장인들의 회식 자리. 빠지지 않는 게 술과 고기입니다.

한, 두잔 조심하려고해도 분위기가 무르익으면 과음하기 쉽습니다.

<인터뷰> 최진아(서울 서초구) : "마시다 보면 한두 잔 더 늘어나게 되고 그러다보면 그 다음날 좀 많이 힘들어요."

통풍이 있는 이 남성은 술을 많이 마신 다음 날, 왼쪽 발에 심한 통증이 생겼습니다.

증상이 심해진 겁니다.

<인터뷰> 신재근(통풍 환자) : "다음날 또 술을 먹기 시작하는데 그 때 이제 다시 발작이 온 거예요 갑자기. 그 때 하고 술 바로 끊고 나서 약을 먹고..."

통풍은 관절에 요산이 쌓여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심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알코올은 콩팥에서 요산 배출을 억제해 통풍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특히, 맥주는 요산을 높이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통풍에 가장 해롭습니다.

하지만, 요산 성분이 많은 육류나 생선을 너무 가릴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음식을 철저히 피해도 요산 수치가 1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전체 열량 섭취를 줄여야 요산 수치가 더 떨어집니다.

<인터뷰> 박성환(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 "대사증후군에 동반된 그런 합병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그걸 조절하려면은 결국은 전체적인 칼로리를 줄여야 되고 탄수화물 섭취도 상대적으로 줄여야지.."

탄산음료나 과일주스도 요산을 올릴 수 있어 많이 마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