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수의 신문 브리핑] ‘安 동조’ 현역의원들 17일 탈당 공식화 외

입력 2015.12.15 (06:35) 수정 2015.12.15 (0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정치권에서 안철수 의원의 탈당 후폭풍이 주목되고 있는데요.

신문에서는 어떻게 전하고 있나요?

<기자 멘트>

세계일보는 썰렁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총회 모습을 크게 실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의 문병호, 유성엽, 황주홍 의원이 모레죠, 오는 17일 동반 탈당하기로 했다는 기사입니다.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유성엽, 황주홍 의원과 함께 오는 17일 탈당 기자회견을 가질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비주류 좌장 격인 김한길 전 대표도 "거취에 대해 고민이 깊다"며 탈당을 고심 중임을 시사했다는 내용입니다.

신문은 현역 의원들의 첫 집단 탈당이 이뤄지면 '탈당 도미노' 가능성과 함께 제1야당의 분당이 현실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중앙일보는 안철수 의원의 탈당에 대해 전국의 성인 남녀 800명 가운데 54.4%가 "잘한 일"이라고 답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의 54.4%는 "잘못한 일"이라고 응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실었습니다.

또 '내일 총선 투표를 한다면 어느 당에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새누리당이 30%, 새정치민주연합은 23%, 안철수 신당은 19%로 나타나, 야당의 분열로 새누리당이 반사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신문은 분석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총선 예비후보등록이 오늘부터 시작되는데도 여야가 선거구 획정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기사를 실었습니다.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정치신인들은 자신의 선거구도 몰라 전략을 세우지 못하는 반면 현역 의원들은 의정보고서를 돌리는 등 홍보 이득을 누리고 있다며, 연말까지 새로운 선거구 획정을 하지 못하면 선거구 대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조선일보는 은행담보대출 기간이 서울 등 수도권은 내년 2월부터 그 외의 지역은 내년 5월부터 단축되면서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문턱이 높아진다는 기사를 올렸습니다.

신규대출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비율이나 소득대비채무비율이 60%를 초과하는 대출에 대해 매달 이자만 내면 되는 거치 기간이 현행 3-5년 이던 것이, 앞으로는 1년 이내로 단축 되면서 대략 25만 명이 올해보다 엄격한 대출 심사를 받게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3000만 원이 넘는 지방세를 1년 넘게 내지 않은 전국의 고액체납자들의 이름이 추가로 공개됐습니다.

납세 유도를 위한 일종의 '충격 요법'인데요.

그런데도 자진 납부율은 미미하다는 기사입니다.

행정자치부가 각 시·도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에 공개한 3000만 원 이상 고액체납자 명단을 보면 최현주 전 쉐일벤처투자회사 대표가 72억 원을 밀려 가장 많았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생이 4억 2천여만 원, 그리고 차남 재용 씨도 3억 7000여만 원을 체납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명단이 공개된 뒤에도 세금을 내지 않은 사람이 만8천여 명에 달해, 실효성 있는 제재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등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 새해 교부금 382억 원이 삭감된다는 기사입니다.

이는 최근 5년 내 최대 규모로, 업무추진비 부당 집행 등 재정 운영을 잘못했다는 것이 행정자치부의 삭감 이유라고 설명했는데요.

경북도가 약 60억 원이 삭감돼 가장 큰 폭을 기록했으며, 서울시가 52억여 원으로 두 번째로 많은 교부금이 삭감됐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세계평화지수가 143개국 가운데 전년보다 4단계 하락한 51위를 기록했다는 기사입니다.

이는 세계평화포럼이 정치와 군사·외교 분야 등의 통계지표를 바탕으로 분석해 수치화하는데, 국내 정치 부분의 평화 수준이 크게 후퇴한 탓으로 분석됐으며, 지난해 평화 수준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89.6점을 얻은 독일로 나타났다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사회복지비가 급증하면서 25년 뒤에는 1인당 사회복지비용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최대 491만원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는 기삽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1인당 사회복지비용은 최대 366만원이지만 2040년에는 491만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되면서, 생산가능인구 감소의 보완을 위해 이민확대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신문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인수의 신문 브리핑] ‘安 동조’ 현역의원들 17일 탈당 공식화 외
    • 입력 2015-12-15 06:33:52
    • 수정2015-12-15 07:28:56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정치권에서 안철수 의원의 탈당 후폭풍이 주목되고 있는데요.

신문에서는 어떻게 전하고 있나요?

<기자 멘트>

세계일보는 썰렁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총회 모습을 크게 실었는데요.

새정치민주연합의 문병호, 유성엽, 황주홍 의원이 모레죠, 오는 17일 동반 탈당하기로 했다는 기사입니다.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유성엽, 황주홍 의원과 함께 오는 17일 탈당 기자회견을 가질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비주류 좌장 격인 김한길 전 대표도 "거취에 대해 고민이 깊다"며 탈당을 고심 중임을 시사했다는 내용입니다.

신문은 현역 의원들의 첫 집단 탈당이 이뤄지면 '탈당 도미노' 가능성과 함께 제1야당의 분당이 현실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중앙일보는 안철수 의원의 탈당에 대해 전국의 성인 남녀 800명 가운데 54.4%가 "잘한 일"이라고 답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의 54.4%는 "잘못한 일"이라고 응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실었습니다.

또 '내일 총선 투표를 한다면 어느 당에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새누리당이 30%, 새정치민주연합은 23%, 안철수 신당은 19%로 나타나, 야당의 분열로 새누리당이 반사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신문은 분석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총선 예비후보등록이 오늘부터 시작되는데도 여야가 선거구 획정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기사를 실었습니다.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정치신인들은 자신의 선거구도 몰라 전략을 세우지 못하는 반면 현역 의원들은 의정보고서를 돌리는 등 홍보 이득을 누리고 있다며, 연말까지 새로운 선거구 획정을 하지 못하면 선거구 대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조선일보는 은행담보대출 기간이 서울 등 수도권은 내년 2월부터 그 외의 지역은 내년 5월부터 단축되면서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문턱이 높아진다는 기사를 올렸습니다.

신규대출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비율이나 소득대비채무비율이 60%를 초과하는 대출에 대해 매달 이자만 내면 되는 거치 기간이 현행 3-5년 이던 것이, 앞으로는 1년 이내로 단축 되면서 대략 25만 명이 올해보다 엄격한 대출 심사를 받게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3000만 원이 넘는 지방세를 1년 넘게 내지 않은 전국의 고액체납자들의 이름이 추가로 공개됐습니다.

납세 유도를 위한 일종의 '충격 요법'인데요.

그런데도 자진 납부율은 미미하다는 기사입니다.

행정자치부가 각 시·도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에 공개한 3000만 원 이상 고액체납자 명단을 보면 최현주 전 쉐일벤처투자회사 대표가 72억 원을 밀려 가장 많았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생이 4억 2천여만 원, 그리고 차남 재용 씨도 3억 7000여만 원을 체납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명단이 공개된 뒤에도 세금을 내지 않은 사람이 만8천여 명에 달해, 실효성 있는 제재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등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 새해 교부금 382억 원이 삭감된다는 기사입니다.

이는 최근 5년 내 최대 규모로, 업무추진비 부당 집행 등 재정 운영을 잘못했다는 것이 행정자치부의 삭감 이유라고 설명했는데요.

경북도가 약 60억 원이 삭감돼 가장 큰 폭을 기록했으며, 서울시가 52억여 원으로 두 번째로 많은 교부금이 삭감됐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세계평화지수가 143개국 가운데 전년보다 4단계 하락한 51위를 기록했다는 기사입니다.

이는 세계평화포럼이 정치와 군사·외교 분야 등의 통계지표를 바탕으로 분석해 수치화하는데, 국내 정치 부분의 평화 수준이 크게 후퇴한 탓으로 분석됐으며, 지난해 평화 수준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89.6점을 얻은 독일로 나타났다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사회복지비가 급증하면서 25년 뒤에는 1인당 사회복지비용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최대 491만원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는 기삽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1인당 사회복지비용은 최대 366만원이지만 2040년에는 491만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되면서, 생산가능인구 감소의 보완을 위해 이민확대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신문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