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할머니 설득 나선 차관들…재단 설립 작업 착수
입력 2015.12.29 (23:02)
수정 2015.12.30 (00: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외교부 1.2 차관이 오늘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가 협상 타결 내용을 설명했지만 할머니들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을 위한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첫소식 김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협상 결과를 들고 피해 할머니들을 찾아간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김복동 : "정부와 정부끼리 속닥속닥해서 우리 정부가 타결됐다…뭘 갖고 타결됐다고 하는지."
임 차관은 사전에 할머니들과 대화하지 못한 점을 사과하고, 부족하지만 최선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기시다 외무상의 사죄 표명은 일본을 대표하는 것으로 아베 총리의 말을 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임성남(외교부 1차관) : "아베 총리가 일본 내각 총리 대신으로서 할머니들에게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시한다고 분명히 얘기했습니다. (본인이 말했습니까?) 이제 본인이 또 얘기할 겁니다."
비슷한 시간, 조태열 2차관은 나눔의 집을 찾아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설득에 나섰지만,
<녹취> 조태열(외교부 2차관) : "일본 정부가 앞에 어떤 수식어도 담지 않고 책임을 통감한다고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할머니들 대부분은 협상 결과를 설명하는 조 차관을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녹취> 김군자 : "피해자는 우리인데, 정부가 그렇게 함부로 합의했습니까? 우린 인정 못해요."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일본이 정부 예산 10억 엔을 출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위안부 협상에서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한다는 건 상호적이어서 일본이 사죄와 반성, 책임 통감에 반하는 행위를 하면 합의를 위반하는 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외교부 1.2 차관이 오늘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가 협상 타결 내용을 설명했지만 할머니들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을 위한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첫소식 김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협상 결과를 들고 피해 할머니들을 찾아간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김복동 : "정부와 정부끼리 속닥속닥해서 우리 정부가 타결됐다…뭘 갖고 타결됐다고 하는지."
임 차관은 사전에 할머니들과 대화하지 못한 점을 사과하고, 부족하지만 최선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기시다 외무상의 사죄 표명은 일본을 대표하는 것으로 아베 총리의 말을 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임성남(외교부 1차관) : "아베 총리가 일본 내각 총리 대신으로서 할머니들에게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시한다고 분명히 얘기했습니다. (본인이 말했습니까?) 이제 본인이 또 얘기할 겁니다."
비슷한 시간, 조태열 2차관은 나눔의 집을 찾아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설득에 나섰지만,
<녹취> 조태열(외교부 2차관) : "일본 정부가 앞에 어떤 수식어도 담지 않고 책임을 통감한다고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할머니들 대부분은 협상 결과를 설명하는 조 차관을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녹취> 김군자 : "피해자는 우리인데, 정부가 그렇게 함부로 합의했습니까? 우린 인정 못해요."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일본이 정부 예산 10억 엔을 출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위안부 협상에서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한다는 건 상호적이어서 일본이 사죄와 반성, 책임 통감에 반하는 행위를 하면 합의를 위반하는 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피해 할머니 설득 나선 차관들…재단 설립 작업 착수
-
- 입력 2015-12-29 23:10:19
- 수정2015-12-30 00:50:43

<앵커 멘트>
외교부 1.2 차관이 오늘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가 협상 타결 내용을 설명했지만 할머니들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을 위한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첫소식 김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협상 결과를 들고 피해 할머니들을 찾아간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김복동 : "정부와 정부끼리 속닥속닥해서 우리 정부가 타결됐다…뭘 갖고 타결됐다고 하는지."
임 차관은 사전에 할머니들과 대화하지 못한 점을 사과하고, 부족하지만 최선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기시다 외무상의 사죄 표명은 일본을 대표하는 것으로 아베 총리의 말을 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임성남(외교부 1차관) : "아베 총리가 일본 내각 총리 대신으로서 할머니들에게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시한다고 분명히 얘기했습니다. (본인이 말했습니까?) 이제 본인이 또 얘기할 겁니다."
비슷한 시간, 조태열 2차관은 나눔의 집을 찾아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설득에 나섰지만,
<녹취> 조태열(외교부 2차관) : "일본 정부가 앞에 어떤 수식어도 담지 않고 책임을 통감한다고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할머니들 대부분은 협상 결과를 설명하는 조 차관을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녹취> 김군자 : "피해자는 우리인데, 정부가 그렇게 함부로 합의했습니까? 우린 인정 못해요."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일본이 정부 예산 10억 엔을 출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위안부 협상에서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한다는 건 상호적이어서 일본이 사죄와 반성, 책임 통감에 반하는 행위를 하면 합의를 위반하는 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외교부 1.2 차관이 오늘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가 협상 타결 내용을 설명했지만 할머니들의 반응은 싸늘했습니다.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을 위한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첫소식 김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협상 결과를 들고 피해 할머니들을 찾아간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김복동 : "정부와 정부끼리 속닥속닥해서 우리 정부가 타결됐다…뭘 갖고 타결됐다고 하는지."
임 차관은 사전에 할머니들과 대화하지 못한 점을 사과하고, 부족하지만 최선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기시다 외무상의 사죄 표명은 일본을 대표하는 것으로 아베 총리의 말을 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임성남(외교부 1차관) : "아베 총리가 일본 내각 총리 대신으로서 할머니들에게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시한다고 분명히 얘기했습니다. (본인이 말했습니까?) 이제 본인이 또 얘기할 겁니다."
비슷한 시간, 조태열 2차관은 나눔의 집을 찾아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설득에 나섰지만,
<녹취> 조태열(외교부 2차관) : "일본 정부가 앞에 어떤 수식어도 담지 않고 책임을 통감한다고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할머니들 대부분은 협상 결과를 설명하는 조 차관을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녹취> 김군자 : "피해자는 우리인데, 정부가 그렇게 함부로 합의했습니까? 우린 인정 못해요."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일본이 정부 예산 10억 엔을 출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위안부 협상에서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한다는 건 상호적이어서 일본이 사죄와 반성, 책임 통감에 반하는 행위를 하면 합의를 위반하는 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
-
김경수 기자 bada@kbs.co.kr
김경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