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돌아가기 싫어요”…대부분 부모 학대가 원인

입력 2016.01.22 (06:38) 수정 2016.01.22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부모의 보호를 받고 학교에서 공부해야 하는 청소년들이 집을 나와 거리를 헤메고 있습니다.

이들 가출 청소년들은 가정 폭력의 악몽 때문에 집에 돌아갈 생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이현준 기자가 가출 청소년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늦은 밤, 24시 패스트푸드점 구석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청소년들, 가출해 함께 지내는 이른바 '가출팸'입니다.

17살 김 모 군은 석달 전 아버지의 폭행을 피해 집을 나왔습니다.

<인터뷰> 김 모 군(가출청소년/음성변조) : "(아버지가) 감금시키고 죽도록 맞은 적 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온몸에 다 멍들었어요. 주기적으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남자 4명과 여자 1명이 혼숙을 하고 있습니다.

냉장고는 텅 비었고, 가스비가 밀려 음식을 해 먹을 수도 없습니다.

돈을 구하기 위해 범죄의 유혹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이 모 군(가출청소년/음성변조) : "한 일주일정도 했어요. 무섭기도 했는데 돈이 급하니까…"

취재진이 만난 가출청소년들이 집을 나온 이유는 부모의 신체적, 정서적 학대였습니다.

<인터뷰> 안 모 군(가출 청소년/음성변조) : "가족들이 저 다 싫어해요. 엄마 닮았다고요. 때리는 것도 있고 그런 소리도 듣기 싫고, 그냥 일해서 방 잡고 살아야죠"

전문가들은 아동학대를 무거운 범죄로 인식하고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학대를 당한 어린이들을 초기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치유해야만 미래의 가출 청소년을 줄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에 돌아가기 싫어요”…대부분 부모 학대가 원인
    • 입력 2016-01-22 06:40:12
    • 수정2016-01-22 07:47:5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부모의 보호를 받고 학교에서 공부해야 하는 청소년들이 집을 나와 거리를 헤메고 있습니다.

이들 가출 청소년들은 가정 폭력의 악몽 때문에 집에 돌아갈 생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이현준 기자가 가출 청소년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늦은 밤, 24시 패스트푸드점 구석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청소년들, 가출해 함께 지내는 이른바 '가출팸'입니다.

17살 김 모 군은 석달 전 아버지의 폭행을 피해 집을 나왔습니다.

<인터뷰> 김 모 군(가출청소년/음성변조) : "(아버지가) 감금시키고 죽도록 맞은 적 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온몸에 다 멍들었어요. 주기적으로 일주일에 두 번 정도"

남자 4명과 여자 1명이 혼숙을 하고 있습니다.

냉장고는 텅 비었고, 가스비가 밀려 음식을 해 먹을 수도 없습니다.

돈을 구하기 위해 범죄의 유혹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이 모 군(가출청소년/음성변조) : "한 일주일정도 했어요. 무섭기도 했는데 돈이 급하니까…"

취재진이 만난 가출청소년들이 집을 나온 이유는 부모의 신체적, 정서적 학대였습니다.

<인터뷰> 안 모 군(가출 청소년/음성변조) : "가족들이 저 다 싫어해요. 엄마 닮았다고요. 때리는 것도 있고 그런 소리도 듣기 싫고, 그냥 일해서 방 잡고 살아야죠"

전문가들은 아동학대를 무거운 범죄로 인식하고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학대를 당한 어린이들을 초기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치유해야만 미래의 가출 청소년을 줄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