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어촌 이주 1등’ 전남 완도…비결은?
입력 2016.02.09 (21:34)
수정 2016.02.09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도시를 떠나 물고기를 잡고, 어패류를 키우며 일구는 제2의 인생.
이런 생각 해보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정부가 어촌으로 이주하는 '귀어인' 수를 추산해보니, 해마다 30% 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닷일은 고되기는 하지만, 어촌 소득이 농촌보다 15% 가량 높은데요.
귀어인들이 가장 희망하는 지역은 전남입니다.
국내 갯벌의 40%, 양식장의 70%가 몰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귀어는 투자비나 어업 면허 같은 진입 장벽도 만만치 않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국내 귀어 1번지, 전남 완도를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건축업을 접고 귀어한 장헌주 씨 형제.
가업을 이어받아 전복 양식을 하고 있습니다.
형제가 힘을 모은 덕분에 귀어 7년 만에 양식장 규모를 6배나 늘렸습니다.
<인터뷰> 장헌주-장헌철(귀어 8년 차) : "바다 사업이라는 게 부가가치가 앞으로 미래 전망 있다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8년 전 귀어한 지명철 씨는 톳과 다시마 양식을 합니다.
기술부족으로 고전했지만, 이제는 연간 6백 톤의 해조류를 생산하는 부자 어민이 됐습니다.
<인터뷰> 지명철(귀어 9년 차) : "마을 사람들도 좋고 인심 좋고 또 돈 벌이도 어느 정도 잘 되고 그래 가지고 내려오길 잘했구나."
최근 5년 사이 완도에 귀어한 사람은 8백여 명, 이중 70%가 20~40대의 청년 어부입니다.
귀어는 성공하면 농업보다 소득이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투자비용도 많습니다.
또 기술을 익혀야 하고, 어업권 획득까지 길게는 10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일(완도군 양식기획팀장) : "일정 기간 어촌계에 정착해야 되고 어촌 계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이 때문에 귀어 결정에 앞서 정부가 운영하는 '귀어귀촌 종합센터'와 지자체의 '어업인 교육기관' 도움을 받아 충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도시를 떠나 물고기를 잡고, 어패류를 키우며 일구는 제2의 인생.
이런 생각 해보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정부가 어촌으로 이주하는 '귀어인' 수를 추산해보니, 해마다 30% 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닷일은 고되기는 하지만, 어촌 소득이 농촌보다 15% 가량 높은데요.
귀어인들이 가장 희망하는 지역은 전남입니다.
국내 갯벌의 40%, 양식장의 70%가 몰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귀어는 투자비나 어업 면허 같은 진입 장벽도 만만치 않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국내 귀어 1번지, 전남 완도를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건축업을 접고 귀어한 장헌주 씨 형제.
가업을 이어받아 전복 양식을 하고 있습니다.
형제가 힘을 모은 덕분에 귀어 7년 만에 양식장 규모를 6배나 늘렸습니다.
<인터뷰> 장헌주-장헌철(귀어 8년 차) : "바다 사업이라는 게 부가가치가 앞으로 미래 전망 있다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8년 전 귀어한 지명철 씨는 톳과 다시마 양식을 합니다.
기술부족으로 고전했지만, 이제는 연간 6백 톤의 해조류를 생산하는 부자 어민이 됐습니다.
<인터뷰> 지명철(귀어 9년 차) : "마을 사람들도 좋고 인심 좋고 또 돈 벌이도 어느 정도 잘 되고 그래 가지고 내려오길 잘했구나."
최근 5년 사이 완도에 귀어한 사람은 8백여 명, 이중 70%가 20~40대의 청년 어부입니다.
귀어는 성공하면 농업보다 소득이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투자비용도 많습니다.
또 기술을 익혀야 하고, 어업권 획득까지 길게는 10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일(완도군 양식기획팀장) : "일정 기간 어촌계에 정착해야 되고 어촌 계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이 때문에 귀어 결정에 앞서 정부가 운영하는 '귀어귀촌 종합센터'와 지자체의 '어업인 교육기관' 도움을 받아 충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어촌 이주 1등’ 전남 완도…비결은?
-
- 입력 2016-02-09 21:35:37
- 수정2016-02-09 21:49:20

<앵커 멘트>
도시를 떠나 물고기를 잡고, 어패류를 키우며 일구는 제2의 인생.
이런 생각 해보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정부가 어촌으로 이주하는 '귀어인' 수를 추산해보니, 해마다 30% 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닷일은 고되기는 하지만, 어촌 소득이 농촌보다 15% 가량 높은데요.
귀어인들이 가장 희망하는 지역은 전남입니다.
국내 갯벌의 40%, 양식장의 70%가 몰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귀어는 투자비나 어업 면허 같은 진입 장벽도 만만치 않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국내 귀어 1번지, 전남 완도를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건축업을 접고 귀어한 장헌주 씨 형제.
가업을 이어받아 전복 양식을 하고 있습니다.
형제가 힘을 모은 덕분에 귀어 7년 만에 양식장 규모를 6배나 늘렸습니다.
<인터뷰> 장헌주-장헌철(귀어 8년 차) : "바다 사업이라는 게 부가가치가 앞으로 미래 전망 있다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8년 전 귀어한 지명철 씨는 톳과 다시마 양식을 합니다.
기술부족으로 고전했지만, 이제는 연간 6백 톤의 해조류를 생산하는 부자 어민이 됐습니다.
<인터뷰> 지명철(귀어 9년 차) : "마을 사람들도 좋고 인심 좋고 또 돈 벌이도 어느 정도 잘 되고 그래 가지고 내려오길 잘했구나."
최근 5년 사이 완도에 귀어한 사람은 8백여 명, 이중 70%가 20~40대의 청년 어부입니다.
귀어는 성공하면 농업보다 소득이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투자비용도 많습니다.
또 기술을 익혀야 하고, 어업권 획득까지 길게는 10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일(완도군 양식기획팀장) : "일정 기간 어촌계에 정착해야 되고 어촌 계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이 때문에 귀어 결정에 앞서 정부가 운영하는 '귀어귀촌 종합센터'와 지자체의 '어업인 교육기관' 도움을 받아 충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도시를 떠나 물고기를 잡고, 어패류를 키우며 일구는 제2의 인생.
이런 생각 해보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정부가 어촌으로 이주하는 '귀어인' 수를 추산해보니, 해마다 30% 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바닷일은 고되기는 하지만, 어촌 소득이 농촌보다 15% 가량 높은데요.
귀어인들이 가장 희망하는 지역은 전남입니다.
국내 갯벌의 40%, 양식장의 70%가 몰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귀어는 투자비나 어업 면허 같은 진입 장벽도 만만치 않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국내 귀어 1번지, 전남 완도를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건축업을 접고 귀어한 장헌주 씨 형제.
가업을 이어받아 전복 양식을 하고 있습니다.
형제가 힘을 모은 덕분에 귀어 7년 만에 양식장 규모를 6배나 늘렸습니다.
<인터뷰> 장헌주-장헌철(귀어 8년 차) : "바다 사업이라는 게 부가가치가 앞으로 미래 전망 있다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8년 전 귀어한 지명철 씨는 톳과 다시마 양식을 합니다.
기술부족으로 고전했지만, 이제는 연간 6백 톤의 해조류를 생산하는 부자 어민이 됐습니다.
<인터뷰> 지명철(귀어 9년 차) : "마을 사람들도 좋고 인심 좋고 또 돈 벌이도 어느 정도 잘 되고 그래 가지고 내려오길 잘했구나."
최근 5년 사이 완도에 귀어한 사람은 8백여 명, 이중 70%가 20~40대의 청년 어부입니다.
귀어는 성공하면 농업보다 소득이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투자비용도 많습니다.
또 기술을 익혀야 하고, 어업권 획득까지 길게는 10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일(완도군 양식기획팀장) : "일정 기간 어촌계에 정착해야 되고 어촌 계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이 때문에 귀어 결정에 앞서 정부가 운영하는 '귀어귀촌 종합센터'와 지자체의 '어업인 교육기관' 도움을 받아 충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