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배운 한 풀려” 초등학생 된 할머니들

입력 2016.03.02 (19:17) 수정 2016.03.02 (1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경남 거창의 한 산골 마을에서 조금 특별한 입학식이 열렸습니다.

칠순을 훌쩍 넘긴 할머니 29명이 만학의 꿈을 안고 늦깎이 초등학생이 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곱게 단장한 할머니들이 삼삼오오 교정에 들어섭니다.

초등학교 입학식에 참석하기 위해서입니다.

대부분 칠순을 넘긴 할머니들이지만 생애 첫 학교 생활에 마음이 설렙니다.

<인터뷰> 이윤분(79세) : "내 입으로 읽고 내 손으로 쓸 수가 있고, 그런 게 기쁘고, 벌써 해야 했는데 싶고, 이 좋은 세상에 진작 왔어야 하는데..."

손주 뻘인 재학생들이 우렁찬 인사로 할머니들을 맞이합니다.

<인터뷰> 주준영(북상초등학교 5학년) : "귀도 잘 안 들리고 눈도 잘 안 보이고 하실 텐데, 이렇게 공부하고 싶다고 하시니까 많이 응원해 드려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가난했던 시절, 여자라는 이유로 학교 문턱을 밟아보지 못해 평생 설움으로 남았던 할머니들, 꿈에 그리던 책가방을 받아들자 이내 눈시울이 젖어듭니다.

<인터뷰> 정무순(73살) : "이제 새로 태어난 기분입니다. 끝까지 열심히 끝까지 해내겠습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할머니 29명은 3년 동안 '학력 인정교실'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졸업장을 받게 됩니다.

<녹취> "마음이 뿌듯하다. 더 열심히 해야겠다."

만학의 꿈을 안은 할머니들이 제 2의 인생을 향한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녹취> "하나 둘 셋 파이팅"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못 배운 한 풀려” 초등학생 된 할머니들
    • 입력 2016-03-02 19:22:44
    • 수정2016-03-02 19:53:57
    뉴스 7
<앵커 멘트>

경남 거창의 한 산골 마을에서 조금 특별한 입학식이 열렸습니다.

칠순을 훌쩍 넘긴 할머니 29명이 만학의 꿈을 안고 늦깎이 초등학생이 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곱게 단장한 할머니들이 삼삼오오 교정에 들어섭니다.

초등학교 입학식에 참석하기 위해서입니다.

대부분 칠순을 넘긴 할머니들이지만 생애 첫 학교 생활에 마음이 설렙니다.

<인터뷰> 이윤분(79세) : "내 입으로 읽고 내 손으로 쓸 수가 있고, 그런 게 기쁘고, 벌써 해야 했는데 싶고, 이 좋은 세상에 진작 왔어야 하는데..."

손주 뻘인 재학생들이 우렁찬 인사로 할머니들을 맞이합니다.

<인터뷰> 주준영(북상초등학교 5학년) : "귀도 잘 안 들리고 눈도 잘 안 보이고 하실 텐데, 이렇게 공부하고 싶다고 하시니까 많이 응원해 드려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가난했던 시절, 여자라는 이유로 학교 문턱을 밟아보지 못해 평생 설움으로 남았던 할머니들, 꿈에 그리던 책가방을 받아들자 이내 눈시울이 젖어듭니다.

<인터뷰> 정무순(73살) : "이제 새로 태어난 기분입니다. 끝까지 열심히 끝까지 해내겠습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할머니 29명은 3년 동안 '학력 인정교실'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졸업장을 받게 됩니다.

<녹취> "마음이 뿌듯하다. 더 열심히 해야겠다."

만학의 꿈을 안은 할머니들이 제 2의 인생을 향한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녹취> "하나 둘 셋 파이팅"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