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 ‘새로운 수’…“바둑 진화 계기”
입력 2016.03.16 (21:25)
수정 2016.03.16 (21: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알파고는 단순히 대국에서 이긴 것을 넘어 바둑의 고정관념을 산산이 깨뜨리는 새로운 수를 선보여 충격을 안겼습니다.
바둑계는 이런 인공지능의 도전을 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회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정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첫번째 대국에서 나온 80과 102, 이어진 2국의 5선에 어깨짚은 37, 그리고 3국의 32에 이어 4국에서 둔 23, 최종 5국에서 우상귀 단수친 열여덟번째 수까지.
프로 고수들은 처음 보는 알파고의 '신수'에 고개를 갸웃했지만, 의미심장한 수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터뷰> 이세돌(9단/프로 기사) : "여러 바둑격언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알파고를 보면서 기존의 수법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더 연구해야 하겠습니다."
인간의 기준으로는 실수였지만, 그것이 곧 묘수였음을 알려준 인공지능의 충격적인 한 수.
지난 1930년대 우칭위안, 90년대 이창호가 기존 패러다임을 깨며 바둑 혁명을 일으킨 것처럼,
알파고는 인간이 즐겨온 가장 오래된 두뇌 게임 가운데 하나인 바둑의 고정 관념과 틀을 무너뜨렸습니다.
<인터뷰> 하호정(4단/프로 기사) : "1국은 실력에 놀랐고 2국은 좀 슬펐고 3국은 경이로웠고 인정하게 됐습니다."
인간이 지면 바둑계 전체는 물론 기사들의 몰락까지 우려했었던 바둑계는, 인공지능이 그려낸 새로운 기보를 집중 연구해 인간 바둑을 한단계 더 진화시키자는 공감대를 이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충희입니다.
알파고는 단순히 대국에서 이긴 것을 넘어 바둑의 고정관념을 산산이 깨뜨리는 새로운 수를 선보여 충격을 안겼습니다.
바둑계는 이런 인공지능의 도전을 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회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정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첫번째 대국에서 나온 80과 102, 이어진 2국의 5선에 어깨짚은 37, 그리고 3국의 32에 이어 4국에서 둔 23, 최종 5국에서 우상귀 단수친 열여덟번째 수까지.
프로 고수들은 처음 보는 알파고의 '신수'에 고개를 갸웃했지만, 의미심장한 수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터뷰> 이세돌(9단/프로 기사) : "여러 바둑격언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알파고를 보면서 기존의 수법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더 연구해야 하겠습니다."
인간의 기준으로는 실수였지만, 그것이 곧 묘수였음을 알려준 인공지능의 충격적인 한 수.
지난 1930년대 우칭위안, 90년대 이창호가 기존 패러다임을 깨며 바둑 혁명을 일으킨 것처럼,
알파고는 인간이 즐겨온 가장 오래된 두뇌 게임 가운데 하나인 바둑의 고정 관념과 틀을 무너뜨렸습니다.
<인터뷰> 하호정(4단/프로 기사) : "1국은 실력에 놀랐고 2국은 좀 슬펐고 3국은 경이로웠고 인정하게 됐습니다."
인간이 지면 바둑계 전체는 물론 기사들의 몰락까지 우려했었던 바둑계는, 인공지능이 그려낸 새로운 기보를 집중 연구해 인간 바둑을 한단계 더 진화시키자는 공감대를 이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충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알파고 ‘새로운 수’…“바둑 진화 계기”
-
- 입력 2016-03-16 21:25:33
- 수정2016-03-16 21:33:55
<앵커 멘트>
알파고는 단순히 대국에서 이긴 것을 넘어 바둑의 고정관념을 산산이 깨뜨리는 새로운 수를 선보여 충격을 안겼습니다.
바둑계는 이런 인공지능의 도전을 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회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정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첫번째 대국에서 나온 80과 102, 이어진 2국의 5선에 어깨짚은 37, 그리고 3국의 32에 이어 4국에서 둔 23, 최종 5국에서 우상귀 단수친 열여덟번째 수까지.
프로 고수들은 처음 보는 알파고의 '신수'에 고개를 갸웃했지만, 의미심장한 수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터뷰> 이세돌(9단/프로 기사) : "여러 바둑격언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알파고를 보면서 기존의 수법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더 연구해야 하겠습니다."
인간의 기준으로는 실수였지만, 그것이 곧 묘수였음을 알려준 인공지능의 충격적인 한 수.
지난 1930년대 우칭위안, 90년대 이창호가 기존 패러다임을 깨며 바둑 혁명을 일으킨 것처럼,
알파고는 인간이 즐겨온 가장 오래된 두뇌 게임 가운데 하나인 바둑의 고정 관념과 틀을 무너뜨렸습니다.
<인터뷰> 하호정(4단/프로 기사) : "1국은 실력에 놀랐고 2국은 좀 슬펐고 3국은 경이로웠고 인정하게 됐습니다."
인간이 지면 바둑계 전체는 물론 기사들의 몰락까지 우려했었던 바둑계는, 인공지능이 그려낸 새로운 기보를 집중 연구해 인간 바둑을 한단계 더 진화시키자는 공감대를 이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충희입니다.
알파고는 단순히 대국에서 이긴 것을 넘어 바둑의 고정관념을 산산이 깨뜨리는 새로운 수를 선보여 충격을 안겼습니다.
바둑계는 이런 인공지능의 도전을 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회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정충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첫번째 대국에서 나온 80과 102, 이어진 2국의 5선에 어깨짚은 37, 그리고 3국의 32에 이어 4국에서 둔 23, 최종 5국에서 우상귀 단수친 열여덟번째 수까지.
프로 고수들은 처음 보는 알파고의 '신수'에 고개를 갸웃했지만, 의미심장한 수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터뷰> 이세돌(9단/프로 기사) : "여러 바둑격언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알파고를 보면서 기존의 수법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더 연구해야 하겠습니다."
인간의 기준으로는 실수였지만, 그것이 곧 묘수였음을 알려준 인공지능의 충격적인 한 수.
지난 1930년대 우칭위안, 90년대 이창호가 기존 패러다임을 깨며 바둑 혁명을 일으킨 것처럼,
알파고는 인간이 즐겨온 가장 오래된 두뇌 게임 가운데 하나인 바둑의 고정 관념과 틀을 무너뜨렸습니다.
<인터뷰> 하호정(4단/프로 기사) : "1국은 실력에 놀랐고 2국은 좀 슬펐고 3국은 경이로웠고 인정하게 됐습니다."
인간이 지면 바둑계 전체는 물론 기사들의 몰락까지 우려했었던 바둑계는, 인공지능이 그려낸 새로운 기보를 집중 연구해 인간 바둑을 한단계 더 진화시키자는 공감대를 이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충희입니다.
-
-
정충희 기자 leo@kbs.co.kr
정충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