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한민국 현장을 가다] ‘미래 먹거리’ 인공지능…“인재가 경쟁력”
입력 2016.03.16 (21:31)
수정 2016.03.16 (21: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의 시대가 바짝 다가왔음을 실감하게 됐는데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분야 산업 규모는 세계시장의 1.5%에 불과합니다.
예산과 인력 모두, 부족한 상태에서도 인공지능을 차세대 핵심 기술로 보고, 연구에 매진하는 곳이 있는데요,
신지혜 기자! 대학 연구실이죠, 어떤 연구가 이뤄지는 건가요?
<리포트>
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입니다.
제 옆에 있는 이 인공지능 로봇은 간단한 내용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주변의 많은 사물 가운데서 이렇게 사람만을 인지하고 따라다닐 수 있는데요.
또, 이렇게 스스로 만화를 돌려본 다음에 줄거리를 공부하고 질문을 하면 간단히 설명도 할 수 있습니다.
알파고가 수많은 기보를 입력해서 스스로 바둑 실력을 올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기능을 강화해 로봇이 스스로 언어를 익혀 인간에게 외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학생 20여명과 인공지능 연구를 하는 장병탁 교수 나와 계십니다.
<인터뷰> 장병탁(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교수님, 우리나라가 좀 늦은 것 아닌가요?) 이거는 머리쓰는 일이기 떄문에 우리도 충분히 따라갈 수도 있고 더 잘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저희가 연구하는건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대우를 받거든요. 젊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박사급 고급인력이 필요한데 지금은 부족하죠."
실제로 연구인력을 확보하려는 경쟁은 세계적으로 치열한데요.
여기 있는 이 로봇도 알파고처럼 인공지능을 이용해 게임을 하는 기기인데요,
4년 전 일본 소프트뱅크가 이걸 개발한 프랑스업체를 통째로 인수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인공지능 벤처기업에 몰린 투자액이 3500억 원을 넘는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딱 열 배입니다.
인재 유출을 막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청년들을 끌어들이려면 이제부터라도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에서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의 시대가 바짝 다가왔음을 실감하게 됐는데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분야 산업 규모는 세계시장의 1.5%에 불과합니다.
예산과 인력 모두, 부족한 상태에서도 인공지능을 차세대 핵심 기술로 보고, 연구에 매진하는 곳이 있는데요,
신지혜 기자! 대학 연구실이죠, 어떤 연구가 이뤄지는 건가요?
<리포트>
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입니다.
제 옆에 있는 이 인공지능 로봇은 간단한 내용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주변의 많은 사물 가운데서 이렇게 사람만을 인지하고 따라다닐 수 있는데요.
또, 이렇게 스스로 만화를 돌려본 다음에 줄거리를 공부하고 질문을 하면 간단히 설명도 할 수 있습니다.
알파고가 수많은 기보를 입력해서 스스로 바둑 실력을 올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기능을 강화해 로봇이 스스로 언어를 익혀 인간에게 외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학생 20여명과 인공지능 연구를 하는 장병탁 교수 나와 계십니다.
<인터뷰> 장병탁(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교수님, 우리나라가 좀 늦은 것 아닌가요?) 이거는 머리쓰는 일이기 떄문에 우리도 충분히 따라갈 수도 있고 더 잘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저희가 연구하는건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대우를 받거든요. 젊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박사급 고급인력이 필요한데 지금은 부족하죠."
실제로 연구인력을 확보하려는 경쟁은 세계적으로 치열한데요.
여기 있는 이 로봇도 알파고처럼 인공지능을 이용해 게임을 하는 기기인데요,
4년 전 일본 소프트뱅크가 이걸 개발한 프랑스업체를 통째로 인수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인공지능 벤처기업에 몰린 투자액이 3500억 원을 넘는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딱 열 배입니다.
인재 유출을 막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청년들을 끌어들이려면 이제부터라도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에서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 대한민국 현장을 가다] ‘미래 먹거리’ 인공지능…“인재가 경쟁력”
-
- 입력 2016-03-16 21:32:31
- 수정2016-03-16 21:39:19
<앵커 멘트>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의 시대가 바짝 다가왔음을 실감하게 됐는데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분야 산업 규모는 세계시장의 1.5%에 불과합니다.
예산과 인력 모두, 부족한 상태에서도 인공지능을 차세대 핵심 기술로 보고, 연구에 매진하는 곳이 있는데요,
신지혜 기자! 대학 연구실이죠, 어떤 연구가 이뤄지는 건가요?
<리포트>
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입니다.
제 옆에 있는 이 인공지능 로봇은 간단한 내용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주변의 많은 사물 가운데서 이렇게 사람만을 인지하고 따라다닐 수 있는데요.
또, 이렇게 스스로 만화를 돌려본 다음에 줄거리를 공부하고 질문을 하면 간단히 설명도 할 수 있습니다.
알파고가 수많은 기보를 입력해서 스스로 바둑 실력을 올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기능을 강화해 로봇이 스스로 언어를 익혀 인간에게 외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학생 20여명과 인공지능 연구를 하는 장병탁 교수 나와 계십니다.
<인터뷰> 장병탁(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교수님, 우리나라가 좀 늦은 것 아닌가요?) 이거는 머리쓰는 일이기 떄문에 우리도 충분히 따라갈 수도 있고 더 잘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저희가 연구하는건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대우를 받거든요. 젊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박사급 고급인력이 필요한데 지금은 부족하죠."
실제로 연구인력을 확보하려는 경쟁은 세계적으로 치열한데요.
여기 있는 이 로봇도 알파고처럼 인공지능을 이용해 게임을 하는 기기인데요,
4년 전 일본 소프트뱅크가 이걸 개발한 프랑스업체를 통째로 인수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인공지능 벤처기업에 몰린 투자액이 3500억 원을 넘는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딱 열 배입니다.
인재 유출을 막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청년들을 끌어들이려면 이제부터라도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에서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의 시대가 바짝 다가왔음을 실감하게 됐는데요.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분야 산업 규모는 세계시장의 1.5%에 불과합니다.
예산과 인력 모두, 부족한 상태에서도 인공지능을 차세대 핵심 기술로 보고, 연구에 매진하는 곳이 있는데요,
신지혜 기자! 대학 연구실이죠, 어떤 연구가 이뤄지는 건가요?
<리포트>
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입니다.
제 옆에 있는 이 인공지능 로봇은 간단한 내용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주변의 많은 사물 가운데서 이렇게 사람만을 인지하고 따라다닐 수 있는데요.
또, 이렇게 스스로 만화를 돌려본 다음에 줄거리를 공부하고 질문을 하면 간단히 설명도 할 수 있습니다.
알파고가 수많은 기보를 입력해서 스스로 바둑 실력을 올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기능을 강화해 로봇이 스스로 언어를 익혀 인간에게 외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학생 20여명과 인공지능 연구를 하는 장병탁 교수 나와 계십니다.
<인터뷰> 장병탁(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교수님, 우리나라가 좀 늦은 것 아닌가요?) 이거는 머리쓰는 일이기 떄문에 우리도 충분히 따라갈 수도 있고 더 잘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저희가 연구하는건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대우를 받거든요. 젊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박사급 고급인력이 필요한데 지금은 부족하죠."
실제로 연구인력을 확보하려는 경쟁은 세계적으로 치열한데요.
여기 있는 이 로봇도 알파고처럼 인공지능을 이용해 게임을 하는 기기인데요,
4년 전 일본 소프트뱅크가 이걸 개발한 프랑스업체를 통째로 인수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인공지능 벤처기업에 몰린 투자액이 3500억 원을 넘는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딱 열 배입니다.
인재 유출을 막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청년들을 끌어들이려면 이제부터라도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에서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