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선 84% ‘1인 조업’…사고 땐 속수무책
입력 2016.04.01 (21:43)
수정 2016.04.01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어선의 80% 이상은 5톤 미만으로 어민 혼자 배를 운항하고 고기도 잡는 1인 조업 어선입니다.
그러다보니 사고가 나면 도와줄 사람이 없어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보완대책이 시급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경이 경비정과 헬기를 동원해 실종어민 수색작업을 벌입니다.
지난 2월 18일 고성 앞바다에서는 조업중이던 50대 어민 1명이 실종됐습니다.
같은 달 23일에는 신안 앞바다에서도 어민 1명이 조업 도중 숨졌습니다.
두 사고 모두 1인 조업어선 사고였습니다.
동해안 조업 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흔들리는 배 위에서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어민이 혼자 그물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녹취> 최용길(1인 조업 어민) : "엄청나게 거추장스러워요. 이게(구명조끼). 너무 거추장스러우니까 일을 못해요, 일을."
주변에 다른 어선도 없어 사고가 나면 도움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 최영식(속초해양경비안전서 경비함정장) : "그물과 같이 사람이 딸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배는 전진하고 있으니까 사람만 딸려 들어가고 그 배를 세울 사람이 없습니다."
이처럼 위험한 1인조업은 어촌 인구감소로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기준으로 1인 조업 어선으로 추정되는 5톤 미만 어선은 국내어선의 84%에 이릅니다.
모두 5만 7천여척이나 됩니다.
최근 4년 동안 발생한 1인조업 사고는 천 6백여 건, 73명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
1인 조업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구명조끼 착용 계도와 무선 통신장비 보완, 단체조업 유도 등 안전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국내 어선의 80% 이상은 5톤 미만으로 어민 혼자 배를 운항하고 고기도 잡는 1인 조업 어선입니다.
그러다보니 사고가 나면 도와줄 사람이 없어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보완대책이 시급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경이 경비정과 헬기를 동원해 실종어민 수색작업을 벌입니다.
지난 2월 18일 고성 앞바다에서는 조업중이던 50대 어민 1명이 실종됐습니다.
같은 달 23일에는 신안 앞바다에서도 어민 1명이 조업 도중 숨졌습니다.
두 사고 모두 1인 조업어선 사고였습니다.
동해안 조업 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흔들리는 배 위에서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어민이 혼자 그물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녹취> 최용길(1인 조업 어민) : "엄청나게 거추장스러워요. 이게(구명조끼). 너무 거추장스러우니까 일을 못해요, 일을."
주변에 다른 어선도 없어 사고가 나면 도움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 최영식(속초해양경비안전서 경비함정장) : "그물과 같이 사람이 딸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배는 전진하고 있으니까 사람만 딸려 들어가고 그 배를 세울 사람이 없습니다."
이처럼 위험한 1인조업은 어촌 인구감소로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기준으로 1인 조업 어선으로 추정되는 5톤 미만 어선은 국내어선의 84%에 이릅니다.
모두 5만 7천여척이나 됩니다.
최근 4년 동안 발생한 1인조업 사고는 천 6백여 건, 73명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
1인 조업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구명조끼 착용 계도와 무선 통신장비 보완, 단체조업 유도 등 안전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선 84% ‘1인 조업’…사고 땐 속수무책
-
- 입력 2016-04-01 21:51:35
- 수정2016-04-01 22:16:06

<앵커 멘트>
국내 어선의 80% 이상은 5톤 미만으로 어민 혼자 배를 운항하고 고기도 잡는 1인 조업 어선입니다.
그러다보니 사고가 나면 도와줄 사람이 없어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보완대책이 시급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경이 경비정과 헬기를 동원해 실종어민 수색작업을 벌입니다.
지난 2월 18일 고성 앞바다에서는 조업중이던 50대 어민 1명이 실종됐습니다.
같은 달 23일에는 신안 앞바다에서도 어민 1명이 조업 도중 숨졌습니다.
두 사고 모두 1인 조업어선 사고였습니다.
동해안 조업 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흔들리는 배 위에서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어민이 혼자 그물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녹취> 최용길(1인 조업 어민) : "엄청나게 거추장스러워요. 이게(구명조끼). 너무 거추장스러우니까 일을 못해요, 일을."
주변에 다른 어선도 없어 사고가 나면 도움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 최영식(속초해양경비안전서 경비함정장) : "그물과 같이 사람이 딸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배는 전진하고 있으니까 사람만 딸려 들어가고 그 배를 세울 사람이 없습니다."
이처럼 위험한 1인조업은 어촌 인구감소로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기준으로 1인 조업 어선으로 추정되는 5톤 미만 어선은 국내어선의 84%에 이릅니다.
모두 5만 7천여척이나 됩니다.
최근 4년 동안 발생한 1인조업 사고는 천 6백여 건, 73명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
1인 조업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구명조끼 착용 계도와 무선 통신장비 보완, 단체조업 유도 등 안전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국내 어선의 80% 이상은 5톤 미만으로 어민 혼자 배를 운항하고 고기도 잡는 1인 조업 어선입니다.
그러다보니 사고가 나면 도와줄 사람이 없어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보완대책이 시급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경이 경비정과 헬기를 동원해 실종어민 수색작업을 벌입니다.
지난 2월 18일 고성 앞바다에서는 조업중이던 50대 어민 1명이 실종됐습니다.
같은 달 23일에는 신안 앞바다에서도 어민 1명이 조업 도중 숨졌습니다.
두 사고 모두 1인 조업어선 사고였습니다.
동해안 조업 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흔들리는 배 위에서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어민이 혼자 그물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녹취> 최용길(1인 조업 어민) : "엄청나게 거추장스러워요. 이게(구명조끼). 너무 거추장스러우니까 일을 못해요, 일을."
주변에 다른 어선도 없어 사고가 나면 도움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 최영식(속초해양경비안전서 경비함정장) : "그물과 같이 사람이 딸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배는 전진하고 있으니까 사람만 딸려 들어가고 그 배를 세울 사람이 없습니다."
이처럼 위험한 1인조업은 어촌 인구감소로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기준으로 1인 조업 어선으로 추정되는 5톤 미만 어선은 국내어선의 84%에 이릅니다.
모두 5만 7천여척이나 됩니다.
최근 4년 동안 발생한 1인조업 사고는 천 6백여 건, 73명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
1인 조업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구명조끼 착용 계도와 무선 통신장비 보완, 단체조업 유도 등 안전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
김민정 기자 mjnews@kbs.co.kr
김민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