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처럼 견뎌라”…1년간 고립 훈련
입력 2016.05.06 (21:43)
수정 2016.05.06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030년으로 예정된 화성 유인 탐사를 위한 훈련이 하와이의 지상 최대 활화산 지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화성과 유사한 환경에서 1년간 완벽한 고립 생활을 견뎌내야 합니다.
보도에 신방실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탐사 중 거대한 모래 폭풍을 만나 혼자 남겨진 주인공.
<녹취> "나는 여전히 살아있어. 놀랐지?"
운 좋게 목숨은 건졌지만 척박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을 기울입니다.
실제 탐사 과정에서 충분히 맞닥뜨릴 수 있는 상황,
미국 나사는 2030년 화성 유인 탐사를 앞두고 실전 같은 훈련에 돌입했습니다.
가파른 협곡과 붉은빛 토양은 화성을 떠올리게 하지만, 이곳은 지구 최대 활화산인 하와이 마우나로아 정상 부근입니다.
해발고도 2500m, 돔 형태의 가상 우주기지에선 화성 탐사를 재현한 훈련이 한창입니다.
1년 동안 완벽하게 고립돼서 생활하는 실험에 6명의 과학자가 참가했습니다.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은 카메라와 센서에 의해 감시되는데, 화성과 똑같은 일과에 제한된 물 사용, 우주복 착용은 물론 통신 환경까지 그대로입니다.
<녹취> 훈련 참가자 : "이메일뿐만 아니라 고향 사람들과 통화도 할 수 있지만 수백만 마일 떨어져 있는 상황을 가정해 20분간 지연돼 들립니다."
실시간 통신에 익숙한 참가자들에게 가장 힘든 대목으로 꼽히는데, 장기간의 고립에 따른 심리 연구가 이번 훈련의 주된 목적입니다.
<인터뷰> 이강환(국립과천과학관 천문학박사) : "한정된 사람들과 고립된 상태로 생활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게 됩니다."
출발에서 귀환까지 3년 정도 걸리는 화성 탐사, 붉은 행성 화성에 머무는 500일 동안 외로움과 고립감을 이기는 것이 가장 큰 성공 조건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2030년으로 예정된 화성 유인 탐사를 위한 훈련이 하와이의 지상 최대 활화산 지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화성과 유사한 환경에서 1년간 완벽한 고립 생활을 견뎌내야 합니다.
보도에 신방실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탐사 중 거대한 모래 폭풍을 만나 혼자 남겨진 주인공.
<녹취> "나는 여전히 살아있어. 놀랐지?"
운 좋게 목숨은 건졌지만 척박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을 기울입니다.
실제 탐사 과정에서 충분히 맞닥뜨릴 수 있는 상황,
미국 나사는 2030년 화성 유인 탐사를 앞두고 실전 같은 훈련에 돌입했습니다.
가파른 협곡과 붉은빛 토양은 화성을 떠올리게 하지만, 이곳은 지구 최대 활화산인 하와이 마우나로아 정상 부근입니다.
해발고도 2500m, 돔 형태의 가상 우주기지에선 화성 탐사를 재현한 훈련이 한창입니다.
1년 동안 완벽하게 고립돼서 생활하는 실험에 6명의 과학자가 참가했습니다.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은 카메라와 센서에 의해 감시되는데, 화성과 똑같은 일과에 제한된 물 사용, 우주복 착용은 물론 통신 환경까지 그대로입니다.
<녹취> 훈련 참가자 : "이메일뿐만 아니라 고향 사람들과 통화도 할 수 있지만 수백만 마일 떨어져 있는 상황을 가정해 20분간 지연돼 들립니다."
실시간 통신에 익숙한 참가자들에게 가장 힘든 대목으로 꼽히는데, 장기간의 고립에 따른 심리 연구가 이번 훈련의 주된 목적입니다.
<인터뷰> 이강환(국립과천과학관 천문학박사) : "한정된 사람들과 고립된 상태로 생활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게 됩니다."
출발에서 귀환까지 3년 정도 걸리는 화성 탐사, 붉은 행성 화성에 머무는 500일 동안 외로움과 고립감을 이기는 것이 가장 큰 성공 조건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성처럼 견뎌라”…1년간 고립 훈련
-
- 입력 2016-05-06 21:53:49
- 수정2016-05-06 22:34:22
<앵커 멘트>
2030년으로 예정된 화성 유인 탐사를 위한 훈련이 하와이의 지상 최대 활화산 지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화성과 유사한 환경에서 1년간 완벽한 고립 생활을 견뎌내야 합니다.
보도에 신방실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탐사 중 거대한 모래 폭풍을 만나 혼자 남겨진 주인공.
<녹취> "나는 여전히 살아있어. 놀랐지?"
운 좋게 목숨은 건졌지만 척박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을 기울입니다.
실제 탐사 과정에서 충분히 맞닥뜨릴 수 있는 상황,
미국 나사는 2030년 화성 유인 탐사를 앞두고 실전 같은 훈련에 돌입했습니다.
가파른 협곡과 붉은빛 토양은 화성을 떠올리게 하지만, 이곳은 지구 최대 활화산인 하와이 마우나로아 정상 부근입니다.
해발고도 2500m, 돔 형태의 가상 우주기지에선 화성 탐사를 재현한 훈련이 한창입니다.
1년 동안 완벽하게 고립돼서 생활하는 실험에 6명의 과학자가 참가했습니다.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은 카메라와 센서에 의해 감시되는데, 화성과 똑같은 일과에 제한된 물 사용, 우주복 착용은 물론 통신 환경까지 그대로입니다.
<녹취> 훈련 참가자 : "이메일뿐만 아니라 고향 사람들과 통화도 할 수 있지만 수백만 마일 떨어져 있는 상황을 가정해 20분간 지연돼 들립니다."
실시간 통신에 익숙한 참가자들에게 가장 힘든 대목으로 꼽히는데, 장기간의 고립에 따른 심리 연구가 이번 훈련의 주된 목적입니다.
<인터뷰> 이강환(국립과천과학관 천문학박사) : "한정된 사람들과 고립된 상태로 생활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게 됩니다."
출발에서 귀환까지 3년 정도 걸리는 화성 탐사, 붉은 행성 화성에 머무는 500일 동안 외로움과 고립감을 이기는 것이 가장 큰 성공 조건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2030년으로 예정된 화성 유인 탐사를 위한 훈련이 하와이의 지상 최대 활화산 지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화성과 유사한 환경에서 1년간 완벽한 고립 생활을 견뎌내야 합니다.
보도에 신방실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성 탐사 중 거대한 모래 폭풍을 만나 혼자 남겨진 주인공.
<녹취> "나는 여전히 살아있어. 놀랐지?"
운 좋게 목숨은 건졌지만 척박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을 기울입니다.
실제 탐사 과정에서 충분히 맞닥뜨릴 수 있는 상황,
미국 나사는 2030년 화성 유인 탐사를 앞두고 실전 같은 훈련에 돌입했습니다.
가파른 협곡과 붉은빛 토양은 화성을 떠올리게 하지만, 이곳은 지구 최대 활화산인 하와이 마우나로아 정상 부근입니다.
해발고도 2500m, 돔 형태의 가상 우주기지에선 화성 탐사를 재현한 훈련이 한창입니다.
1년 동안 완벽하게 고립돼서 생활하는 실험에 6명의 과학자가 참가했습니다.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은 카메라와 센서에 의해 감시되는데, 화성과 똑같은 일과에 제한된 물 사용, 우주복 착용은 물론 통신 환경까지 그대로입니다.
<녹취> 훈련 참가자 : "이메일뿐만 아니라 고향 사람들과 통화도 할 수 있지만 수백만 마일 떨어져 있는 상황을 가정해 20분간 지연돼 들립니다."
실시간 통신에 익숙한 참가자들에게 가장 힘든 대목으로 꼽히는데, 장기간의 고립에 따른 심리 연구가 이번 훈련의 주된 목적입니다.
<인터뷰> 이강환(국립과천과학관 천문학박사) : "한정된 사람들과 고립된 상태로 생활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게 됩니다."
출발에서 귀환까지 3년 정도 걸리는 화성 탐사, 붉은 행성 화성에 머무는 500일 동안 외로움과 고립감을 이기는 것이 가장 큰 성공 조건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