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차, 속도 제한장치 풀고 ‘무법 질주’

입력 2016.05.12 (19:15) 수정 2016.05.12 (1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고속도로를 달리다보면 과속을 하지 못하도록 애초 설계돼 있는 버스나 화물차들이 과속하는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알고봤더니 무등록 업자를 통해 속도 제한 프로그램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의 한 관광버스 차고지에서 경찰이 운행 기록장치 등을 점검합니다.

최근까지 여러 대의 버스가 과속을 일삼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당초 최고 시속 110km로 제한돼 출고됐지만 실제 도로에선 130km 이상으로 달렸습니다.

경찰에 붙잡힌 무등록 차량정비업자들이 3천만 원짜리 전자제어 프로그램으로 제한 속도를 높여놨기 때문입니다.

<녹취> 속도제한 해제 정비업자(음성변조) : "이렇게까지 문제가 확대될 줄 모르고, 다들 주변에서 하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버스 주차지와 화물차 주차장 등을 돌며 이들이 속도제한을 풀어준 대형차량은 모두 5천5백여 대에 이릅니다.

상당수 차량들은 11인승 이상 승합차 등에 적용된 제한 속도를 훨씬 넘긴 시속 140km까지 속도를 높여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속도를 높여줄 때마다 대당 15~30만 원씩 10억 원 가량을 챙겼습니다.

<인터뷰> 윤한회(부산경찰청 교통조사계장) : "화물 차량 중에 택배차량이나 냉동 차량, 또 활어 차량 등 시간이 돈인 직업을 가진 분들이 주 고객층이었습니다."

경찰은 자동차 관리법 위반 혐의로 업자 41살 이 모 씨 등 2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또 속도 제한을 불법 해제한 차주 5천5백여 명에게 과태료 처분과 임시검사 명령을 하도록 국토교통부에 통보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형차, 속도 제한장치 풀고 ‘무법 질주’
    • 입력 2016-05-12 19:18:54
    • 수정2016-05-12 19:55:06
    뉴스 7
<앵커 멘트>

고속도로를 달리다보면 과속을 하지 못하도록 애초 설계돼 있는 버스나 화물차들이 과속하는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알고봤더니 무등록 업자를 통해 속도 제한 프로그램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의 한 관광버스 차고지에서 경찰이 운행 기록장치 등을 점검합니다.

최근까지 여러 대의 버스가 과속을 일삼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당초 최고 시속 110km로 제한돼 출고됐지만 실제 도로에선 130km 이상으로 달렸습니다.

경찰에 붙잡힌 무등록 차량정비업자들이 3천만 원짜리 전자제어 프로그램으로 제한 속도를 높여놨기 때문입니다.

<녹취> 속도제한 해제 정비업자(음성변조) : "이렇게까지 문제가 확대될 줄 모르고, 다들 주변에서 하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버스 주차지와 화물차 주차장 등을 돌며 이들이 속도제한을 풀어준 대형차량은 모두 5천5백여 대에 이릅니다.

상당수 차량들은 11인승 이상 승합차 등에 적용된 제한 속도를 훨씬 넘긴 시속 140km까지 속도를 높여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속도를 높여줄 때마다 대당 15~30만 원씩 10억 원 가량을 챙겼습니다.

<인터뷰> 윤한회(부산경찰청 교통조사계장) : "화물 차량 중에 택배차량이나 냉동 차량, 또 활어 차량 등 시간이 돈인 직업을 가진 분들이 주 고객층이었습니다."

경찰은 자동차 관리법 위반 혐의로 업자 41살 이 모 씨 등 2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또 속도 제한을 불법 해제한 차주 5천5백여 명에게 과태료 처분과 임시검사 명령을 하도록 국토교통부에 통보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