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업소 대부분 미신고…지자체 ‘뒷짐’
입력 2016.05.13 (17:09)
수정 2016.05.13 (1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면회객들을 상대로 한 논산훈련소 주변 숙박업소들의 바가지 영업행태, 얼마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상당수 시설들이 신고도 하지 않고 영업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논산 훈련소 주변 숙박업소입니다.
펜션 간판을 달고, 방마다 호수가 붙어 있습니다.
10만 원 이상을 받고 숙박과 대실 영업을 해왔지만 숙박이나 민박업으로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펜션 업주(음성변조) : "(시에다 민박이라든지 아니면 숙박으로 등록 못 하셨죠?) 안 해주죠. 우리뿐만 아니고 다 (그렇게)하죠. 그거야."
공무원과 숙박과 민박신고증 교부대장을 들고 인근을 돌아봤습니다.
<녹취> "(여기 등록이 돼 있는 데예요?) 안 돼 있어요. (민박업으로 등록이 안 됐다고요?) 네."
바로 옆 펜션도 마찬가지.
훈련소 일대에서 영업 중인 80여 곳의 숙박시설 중 논산시에 등록된 곳은 24곳.
나머지는 간판만 단 불법 시설입니다.
무등록 업소기 때문에 탈세 가능성도 높고, 자치단체의 위생지도는 물론, 화재보험 의무가입 대상도 아닙니다.
논산시도 알고 있지만 방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우종갑(논산시 공보팀장) : "잠을 자는 행위를 하지 않는 이상은 숙박시설로 단속할 수 있는 법적 조항이 없습니다."
그러나, 숙박도 가능합니다.
<녹취> 숙박업주(음성변조) : "(가격이 얼마정도 해요?) 10만 원에서 왔다갔다 해요. (1박 2일은 얼마인데요.) 1박 2일은 3만 원 추가가 돼요."
국군의 요람, 논산시의 명성을 위해서라도 훈련소 주변 무등록 업소에 대한 전면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면회객들을 상대로 한 논산훈련소 주변 숙박업소들의 바가지 영업행태, 얼마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상당수 시설들이 신고도 하지 않고 영업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논산 훈련소 주변 숙박업소입니다.
펜션 간판을 달고, 방마다 호수가 붙어 있습니다.
10만 원 이상을 받고 숙박과 대실 영업을 해왔지만 숙박이나 민박업으로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펜션 업주(음성변조) : "(시에다 민박이라든지 아니면 숙박으로 등록 못 하셨죠?) 안 해주죠. 우리뿐만 아니고 다 (그렇게)하죠. 그거야."
공무원과 숙박과 민박신고증 교부대장을 들고 인근을 돌아봤습니다.
<녹취> "(여기 등록이 돼 있는 데예요?) 안 돼 있어요. (민박업으로 등록이 안 됐다고요?) 네."
바로 옆 펜션도 마찬가지.
훈련소 일대에서 영업 중인 80여 곳의 숙박시설 중 논산시에 등록된 곳은 24곳.
나머지는 간판만 단 불법 시설입니다.
무등록 업소기 때문에 탈세 가능성도 높고, 자치단체의 위생지도는 물론, 화재보험 의무가입 대상도 아닙니다.
논산시도 알고 있지만 방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우종갑(논산시 공보팀장) : "잠을 자는 행위를 하지 않는 이상은 숙박시설로 단속할 수 있는 법적 조항이 없습니다."
그러나, 숙박도 가능합니다.
<녹취> 숙박업주(음성변조) : "(가격이 얼마정도 해요?) 10만 원에서 왔다갔다 해요. (1박 2일은 얼마인데요.) 1박 2일은 3만 원 추가가 돼요."
국군의 요람, 논산시의 명성을 위해서라도 훈련소 주변 무등록 업소에 대한 전면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가지 업소 대부분 미신고…지자체 ‘뒷짐’
-
- 입력 2016-05-13 17:21:13
- 수정2016-05-13 17:47:42

<앵커 멘트>
면회객들을 상대로 한 논산훈련소 주변 숙박업소들의 바가지 영업행태, 얼마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상당수 시설들이 신고도 하지 않고 영업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논산 훈련소 주변 숙박업소입니다.
펜션 간판을 달고, 방마다 호수가 붙어 있습니다.
10만 원 이상을 받고 숙박과 대실 영업을 해왔지만 숙박이나 민박업으로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펜션 업주(음성변조) : "(시에다 민박이라든지 아니면 숙박으로 등록 못 하셨죠?) 안 해주죠. 우리뿐만 아니고 다 (그렇게)하죠. 그거야."
공무원과 숙박과 민박신고증 교부대장을 들고 인근을 돌아봤습니다.
<녹취> "(여기 등록이 돼 있는 데예요?) 안 돼 있어요. (민박업으로 등록이 안 됐다고요?) 네."
바로 옆 펜션도 마찬가지.
훈련소 일대에서 영업 중인 80여 곳의 숙박시설 중 논산시에 등록된 곳은 24곳.
나머지는 간판만 단 불법 시설입니다.
무등록 업소기 때문에 탈세 가능성도 높고, 자치단체의 위생지도는 물론, 화재보험 의무가입 대상도 아닙니다.
논산시도 알고 있지만 방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우종갑(논산시 공보팀장) : "잠을 자는 행위를 하지 않는 이상은 숙박시설로 단속할 수 있는 법적 조항이 없습니다."
그러나, 숙박도 가능합니다.
<녹취> 숙박업주(음성변조) : "(가격이 얼마정도 해요?) 10만 원에서 왔다갔다 해요. (1박 2일은 얼마인데요.) 1박 2일은 3만 원 추가가 돼요."
국군의 요람, 논산시의 명성을 위해서라도 훈련소 주변 무등록 업소에 대한 전면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면회객들을 상대로 한 논산훈련소 주변 숙박업소들의 바가지 영업행태, 얼마 전 전해드렸는데요.
취재 결과 상당수 시설들이 신고도 하지 않고 영업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논산 훈련소 주변 숙박업소입니다.
펜션 간판을 달고, 방마다 호수가 붙어 있습니다.
10만 원 이상을 받고 숙박과 대실 영업을 해왔지만 숙박이나 민박업으로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펜션 업주(음성변조) : "(시에다 민박이라든지 아니면 숙박으로 등록 못 하셨죠?) 안 해주죠. 우리뿐만 아니고 다 (그렇게)하죠. 그거야."
공무원과 숙박과 민박신고증 교부대장을 들고 인근을 돌아봤습니다.
<녹취> "(여기 등록이 돼 있는 데예요?) 안 돼 있어요. (민박업으로 등록이 안 됐다고요?) 네."
바로 옆 펜션도 마찬가지.
훈련소 일대에서 영업 중인 80여 곳의 숙박시설 중 논산시에 등록된 곳은 24곳.
나머지는 간판만 단 불법 시설입니다.
무등록 업소기 때문에 탈세 가능성도 높고, 자치단체의 위생지도는 물론, 화재보험 의무가입 대상도 아닙니다.
논산시도 알고 있지만 방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우종갑(논산시 공보팀장) : "잠을 자는 행위를 하지 않는 이상은 숙박시설로 단속할 수 있는 법적 조항이 없습니다."
그러나, 숙박도 가능합니다.
<녹취> 숙박업주(음성변조) : "(가격이 얼마정도 해요?) 10만 원에서 왔다갔다 해요. (1박 2일은 얼마인데요.) 1박 2일은 3만 원 추가가 돼요."
국군의 요람, 논산시의 명성을 위해서라도 훈련소 주변 무등록 업소에 대한 전면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
-
박병준 기자 lol@kbs.co.kr
박병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